특사경 '1호 타깃' 보고서 뭐길래…증권가 "스마트폰부터 바꾸자" 술렁
입력
수정
지면A24
하나금투 연구원, 작년 상반기
한 코스닥종목 4회 매수 추천
한달새 주가 2배 가까이 급등


그러나 “A연구원이 보고서를 내기 전 선행 매수를 했다고 하더라도 크게 문제삼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한 증권사 연구원은 “애널리스트가 매수 추천 보고서를 쓴 뒤 실제 주가가 오르는 확률은 절반에도 못 미칠 것”이라며 “보고서가 발표된 당일 주가가 급등락한 게 아니라면 친인척 등 명의로 주식을 거래했다 하더라도 법적 책임을 묻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 및 자산운용업계에서는 이번 사건의 파장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우려하는 분위기다.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현재로서는 A연구원의 개인적 일탈 사건으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서도 “다만 두 달 전 출범한 특사경의 ‘1호 사건’인 만큼 애널리스트 한 명을 잡는 선에서 끝내지 않을 것 같아 불안한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도 “이번 사건이 터지고 나서 일단 스마트폰부터 바꿔야겠다는 애널리스트들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금감원 관계자는 “특사경은 법적으로 인지 수사를 할 수 없도록 돼 있어 사건의 경중을 따져 수사하는 게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이번 사건도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의 의뢰를 받아 수사에 착수한 것일 뿐 1호 사건이란 점에 별다른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호기/김동현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