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미 앞둔 文대통령, 비핵화 협상 동력 극대화 방안 부심

출국 D-1일, 한미정상회담·유엔총회 기조연설 등 준비 전념
무르익는 북미 비핵화 협상 재개 분위기…文대통령에 호재
구체적 방법론 놓고 북미 이견 좁히는 데 주력할 듯
문재인 대통령이 북미 간 비핵화 협상 동력을 극대화하는 데 부심하고 있다.지난 2월 북미 정상의 '하노이 노딜' 이후 답보 상태였던 북미 대화가 재개될 조짐을 뚜렷이 보이는 데 따른 것이다.

이번 기회를 살리지 못하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진전이 요원해질 수 있다는 판단 아래 문 대통령은 오는 22∼26일 미국 방문을 계기로 비핵화 촉진자 역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미국 출국 하루 전인 21일 방미 준비에 몰두했다.전날에 이어 이날도 공식 일정을 비웠다.

문 대통령의 방미 준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목은 역시 취임 후 아홉번째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한미정상회담이라고 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협력 방안을 주로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임박한 것으로 보이는 북미 간 실무협상을 앞당김으로써 3차 북미정상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설득하는 데 공을 들일 전망이다.

현재 북미가 대화 재개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는 만큼 시기만 놓고 본다면 문 대통령에게는 이번 방미가 더없이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북미 실무협상의 북측 수석대표인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는 전날 협상의 결과를 낙관한다는 담화를 발표했다.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관계 구축을 재임 기간 미국에 일어난 가장 좋은 일로 꼽으면서 협상의 긍정적 결과에 대한 기대를 키웠다.

양측을 협상 테이블에서 조속히 마주 앉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비핵화의 구체적 방법론을 둘러싼 양측의 견해차를 좁히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문 대통령이 북미의 입장을 조율해 양측이 모두 납득할 수 있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 19일 기자들과 만나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할 북한의 메시지가 있는가'라는 물음에 "직접적으로 답할 수 없다"면서도 "동맹으로서 한미 정상이 소통해야 할 내용이 있다"고 답했다.

답변을 보는 관점에 따라서는 청와대와 정부가 파악 중인 북측의 의중을 토대로 이번 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중재 역할에 나서리라는 해석이 가능해 보인다.

물론 북한과 미국이 각각 원하는 비핵화 방법론의 차이가 작지 않은 탓에 이런 작업이 순탄치 않으리라는 전망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서 경질된 '강경파' 존 볼턴 전 보좌관이 북미 협상 결과를 비관적으로 점치자 지난 18일(현지시간) '새로운 방법론'을 꺼내 들었다.

김명길 대사는 담화에서 이를 두고 "쌍방이 서로에 대한 신뢰를 쌓으며 실현 가능한 것부터 하나씩 단계적으로 풀어나가는 것이 최상의 선택이라는 취지가 아닌가 싶다"고 해석했다.

김 대사의 발언에서 유추해볼 수 있는 북한의 입장은 '단계적 접근'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말한 '새 방법'이 무엇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현재 미국은 최종 단계를 포함한 비핵화의 정의와 로드맵에 포괄적으로 합의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북미 간 견해차는 여전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북미 간 비핵화 합의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당위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 국제사회의 전폭적인 지지를 당부할 방침이다.

비핵화의 상응조치로 북한에 대한 제재 완화 등을 논의하는 국면에서는 장기적으로 국제사회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국제사회가 함께할 때 한반도 평화는 더 굳건해질 것"이라며 "이번 유엔총회가 함께 만드는 한반도 평화를 위해 국제사회의 적극적 참여와 협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게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