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모바일 결제 이용률 71.4%…한국의 2.7배

스마트폰 보급률 뒤져도 소비자 장벽·수수료 낮춰 신규시장 창출

중국이 스마트폰 보급률에서는 한국에 뒤지지만 모바일 결제는 훨씬 활성화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上海)지부가 23일 공개한 '제3자 모바일 결제 시장 한·중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중국의 모바일 결제 이용률은 71.4%로 한국 26.1%의 2.7배에 달했다.

중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69.0%로 한국 94.1%에 못 미치는 것과 상반되는 수치다.

대부분 선진국의 경우 현금에서 신용카드, 모바일로 결제 단계가 발전한 반면, 중국은 신용카드 과정을 사실상 건너뛰고 곧바로 모바일 결제가 상용화됐기 때문이다.
중국 내 모바일 결제 이용액은 2014년 6조위안(1천조원)에서 지난해 190조5천억위안(3경1천960조원)으로 4년 새 약 32배 급등했다.

반면 지난해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결제액은 38조2천억위안(6천409조원)으로 모바일 결제액에 크게 밑돌았다.

현재 사용 중인 신용카드는 9억7천만장으로 1인당 0.7장 수준이다. 보고서는 "모바일 결제 서비스의 간편성, 까다로운 신용카드 발급 조건과 높은 수수료, 복제 및 위폐 불안감 등으로 신용카드보다는 모바일 결제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현재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은 알리페이와 위챗페이가 편리성, 범용성, 낮은 수수료를 무기로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이들은 특정 단말기가 필요 없는 QR코드 방식으로 가맹점 비용 부담과 소비자 진입장벽을 낮췄고 신용카드보다 낮은 수수료로 시장을 확대했다. 모바일 결제 시장의 성장은 인터넷 쇼핑과 차량 공유, 음식 배달 등 서비스 온·오프라인 연계(O2O·Online to Offline) 시장의 폭발적인 확대로 이어졌다.
이와 달리 한국은 높은 스마트폰 보급률에도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공급자별로 모바일 결제 이용방식이 달라 이를 통한 수요 창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공급자별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야 하거나 단말기를 보유해야 하는 데다가 특정 가맹점에서만 이용 가능한 경우도 있어 중국의 편의성과 범용성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신용카드의 높은 보급률, 낮은 수수료, 많은 가맹점 수 등도 모바일 결제 수요 확대를 더디게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무역협회 심준석 상하이지부장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는 이용자 편리성 확대는 물론 핀테크 산업의 발전까지 촉진하는 장점이 있다"며 "한국은 중국의 QR코드 모델을 따라가기보다는 신용카드의 높은 보급률에 기반한 모바일 신용 결제 서비스 등의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 발전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