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기준금리 0%대 갈까…미중 무역협상이 분수령
입력
수정
10∼11월 인하 이어 내년 1분기 추가인하시 1.00% 도달
"0%대도 가능" vs "서두르지 않을 것" 전망 혼조…이주열 "대외위험 전개 보겠다"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펴는 가운데 한국은행도 어려워진 대내외 경제 여건을 고려해 연 1.00% 혹은 그 아래로까지 기준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다만 현재 진행 중인 미중 무역협상이 갈등 완화의 물꼬를 틀 경우 미국이 금리인하를 중단할 개연성이 있는 만큼 협상의 전개 추이와 향후 대내외 여건이 금리 향방을 가르는 중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1.33%로 기준금리(연 1.50%)보다 0.17%포인트 낮았다.
이는 채권시장에서 한은이 한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를 반영한 결과다.시장 전문가 사이에서도 한은이 다음 달 16일 내지 11월 29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한 차례(1.50%→1.25%) 낮출 것이라는 전망을 놓고는 큰 이견이 없다.
경제 성장세가 갈수록 둔화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하락으로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대두하고 있어 한은으로선 금리 동결을 고수할 명분이 줄어든 탓이다.
경기 하강기에 접어들었던 지난해 11월 한은의 금리 인상을 촉발했던 가계부채 증가도 어느 정도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시장의 관심은 내년에도 한은이 금리 인하를 지속할지 여부다.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SG) 연구원은 "8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과 최근 경제지표를 볼 때 올해 10월에 이어 내년 1분기도 인하가 이뤄져 기준금리가 연 1.0%로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세계경제가 내년 들어 더 악화한다면 연 1.0%보다 더 낮은 0%대 기준금리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내년도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보수적으로 내다보는 시각도 있다.
구혜영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기준금리가 과거 저점인 연 1.25%에 도달한 이후 추가 금리인하를 놓고는 한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하 속도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연준이 서두르지 않는 상황에서 한은이 앞다퉈 금리를 빠르게 내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판단했다.
앞서 미 연준은 지난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2.00∼2.25%에서 1.75∼2.00%로 0.25%포인트 내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회의 결정을 두고 '보험성'이라는 점을 재확인하며 기조적인 금리 인하 아니냐는 시장의 의혹을 차단했다.
이에 일각에선 '매파적 인하'라는 평가가 나왔다.다만, 파월 의장은 금리인하 결정 후 회견에서 "만약 경제가 하강하면, 더욱더 폭넓은 연속적인 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이라면서도 "그것(경기하강)은 우리가 보고 있다거나 예상하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추가 인하 여지를 열어둔 것이다.
연준에서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파월 의장 발언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잘 풀리지 않고 경기가 나빠진다면 금리를 내리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며 "이는 미중 무역협상이 틀어지는 게 연준이 보는 기본 시나리오가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결국, 연준의 추가 행보와 한은의 내년도 금리 향방은 미중 양국이 향후 무역협상을 어떻게 풀어낼지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현재로선 연준이 10월에도 추가 인하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다만 미중 고위급 회의 결과가 의미 있게 나올 경우엔 연준의 추가 인하가 없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시장금리가 갑자기 크게 하락했던 것은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한 이후 '연준 금리인하가 보험성이 아닐 수 있다'란 인식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최근 협상 재개 소식이 나오자 다시 보험성 인하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시장금리도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중 협상에 성과가 있고 한일 무역갈등이 조기에 마무리되지 않는 이상 한은이 내년 1분기 중 추가 인하를 할 것"이라며 "다만,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1.00%로 내리는 과정에서 금리 하한을 둘러싼 논쟁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한편 이주열 한은 총재는 19일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고려할 주요 변수가 무엇이냐는 기자들 물음에 "대외 리스크가 어떻게 전개될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0%대도 가능" vs "서두르지 않을 것" 전망 혼조…이주열 "대외위험 전개 보겠다"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펴는 가운데 한국은행도 어려워진 대내외 경제 여건을 고려해 연 1.00% 혹은 그 아래로까지 기준금리를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다만 현재 진행 중인 미중 무역협상이 갈등 완화의 물꼬를 틀 경우 미국이 금리인하를 중단할 개연성이 있는 만큼 협상의 전개 추이와 향후 대내외 여건이 금리 향방을 가르는 중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1.33%로 기준금리(연 1.50%)보다 0.17%포인트 낮았다.
이는 채권시장에서 한은이 한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를 반영한 결과다.시장 전문가 사이에서도 한은이 다음 달 16일 내지 11월 29일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한 차례(1.50%→1.25%) 낮출 것이라는 전망을 놓고는 큰 이견이 없다.
경제 성장세가 갈수록 둔화하는 가운데 소비자물가 하락으로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대두하고 있어 한은으로선 금리 동결을 고수할 명분이 줄어든 탓이다.
경기 하강기에 접어들었던 지난해 11월 한은의 금리 인상을 촉발했던 가계부채 증가도 어느 정도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시장의 관심은 내년에도 한은이 금리 인하를 지속할지 여부다.
오석태 소시에테제네랄(SG) 연구원은 "8월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과 최근 경제지표를 볼 때 올해 10월에 이어 내년 1분기도 인하가 이뤄져 기준금리가 연 1.0%로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세계경제가 내년 들어 더 악화한다면 연 1.0%보다 더 낮은 0%대 기준금리도 가능하다고 본다"고 평가했다.내년도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보수적으로 내다보는 시각도 있다.
구혜영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기준금리가 과거 저점인 연 1.25%에 도달한 이후 추가 금리인하를 놓고는 한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인하 속도를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연준이 서두르지 않는 상황에서 한은이 앞다퉈 금리를 빠르게 내릴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판단했다.
앞서 미 연준은 지난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기존 2.00∼2.25%에서 1.75∼2.00%로 0.25%포인트 내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번 회의 결정을 두고 '보험성'이라는 점을 재확인하며 기조적인 금리 인하 아니냐는 시장의 의혹을 차단했다.
이에 일각에선 '매파적 인하'라는 평가가 나왔다.다만, 파월 의장은 금리인하 결정 후 회견에서 "만약 경제가 하강하면, 더욱더 폭넓은 연속적인 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이라면서도 "그것(경기하강)은 우리가 보고 있다거나 예상하는 게 아니다"고 말했다.
추가 인하 여지를 열어둔 것이다.
연준에서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김진일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파월 의장 발언은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이 잘 풀리지 않고 경기가 나빠진다면 금리를 내리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며 "이는 미중 무역협상이 틀어지는 게 연준이 보는 기본 시나리오가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다"고 분석했다.
결국, 연준의 추가 행보와 한은의 내년도 금리 향방은 미중 양국이 향후 무역협상을 어떻게 풀어낼지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윤여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현재로선 연준이 10월에도 추가 인하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다만 미중 고위급 회의 결과가 의미 있게 나올 경우엔 연준의 추가 인하가 없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시장금리가 갑자기 크게 하락했던 것은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한 이후 '연준 금리인하가 보험성이 아닐 수 있다'란 인식이 커졌기 때문"이라며 "최근 협상 재개 소식이 나오자 다시 보험성 인하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시장금리도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중 협상에 성과가 있고 한일 무역갈등이 조기에 마무리되지 않는 이상 한은이 내년 1분기 중 추가 인하를 할 것"이라며 "다만,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1.00%로 내리는 과정에서 금리 하한을 둘러싼 논쟁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한편 이주열 한은 총재는 19일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고려할 주요 변수가 무엇이냐는 기자들 물음에 "대외 리스크가 어떻게 전개될지, 국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보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