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뚝뚝, 증시 답답…돈 굴릴 데 어디 없소?
입력
수정
지면B1
무역분쟁·브렉시트 여파, 글로벌 경기 불안글로벌 경기를 예측하기 더욱 힘들어졌다. 세계 경제의 성장동력이 약해지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등 각종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 세계 3대 경제권인 미국과 중국,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이 모두 금리를 인하한 것도 이 때문이다.
재테크 전문가 "기본에 충실하라"
때론 쉬어가는 것도 투자 !
예금·채권·리츠에 묻어두자
미국 중앙은행(Fed)은 지난달 17~18일 개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통화정책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를 연 2.0~2.25%에서 1.75~2.0%로 0.25%포인트 내렸다. Fed는 성명에서 “가계 지출이 강한 속도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고정 투자와 수출이 약화됐다”면서 “지난 12개월 기준 전반적인 인플레이션과 음식·에너지 등을 제외한 인플레이션도 2%를 밑돌고 있다”고 분석했다.이에 따라 우리나라 투자자들도 재테크 방향을 설정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은은 지난 7월 금리를 연 1.75%에서 1.5%로 인하한 뒤 8월에는 금리를 동결했다. 숨 고르기에 들어갔지만 10월 중엔 한은도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연 2~3%의 수익률도 건지기 힘들다.
재테크 전문가들은 이럴 때일수록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보유 현금 규모를 늘리고 채권 투자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각 은행이 내놓은 특판예금에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예·적금 늘리고, 채권에 관심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지난해 말 국내 부자(금융 자산 10억원 이상) 400명을 심층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공격적인 투자 비중을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금융자산 비중을 확대하겠다고 응답한 비중은 10%에 불과했다. 기존 수준 유지(85.5%)가 가장 많았고 4.5%는 축소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예·적금 비중을 유지하거나 일시적으로 높이는 것도 나쁘지 않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경기 불확실성이 걷히고 좋은 투자처가 나타났을 때 재빨리 자금을 투입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금융감독원 금융상품 통합 비교공시 사이트 ‘금융상품 한눈에’에 따르면 현재 1년 만기 은행 정기예금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높은 기본금리는 연 1.9%다. 전북은행 ‘JB 다이렉트예금통장’과 광주은행 ‘쏠쏠한마이쿨예금’ 등이 공동 1위(연 1.9%)다. 연 1.8%짜리 카카오뱅크의 ‘카카오뱅크 정기예금’은 2위다. 이들 상품은 우대조건이 없어서 최고 금리가 기본금리와 동일하다.
기본금리가 연 1.71%인 대구은행의 ‘내손안에 예금’은 각종 우대조건 충족 시 최고 연 2.06%까지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최초 가입 시 0.1%포인트, 공과금 납부를 등록하면 0.1%포인트, 인터넷 또는 스마트뱅킹을 통해 가입하면 0.05%포인트 등을 우대해준다.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올해 채권 투자 수익률은 다른 상품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다만 개인이 채권을 직접 사고팔기가 어렵기 때문에 채권형 펀드를 통해 투자하는 게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이자비용 절감 고민해야
이자 수익을 얻기 힘들 때는 지출되는 금융비용을 줄이는 것도 방법이다. 실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과거 받아둔 대출의 상환 부담을 줄일 방법을 고민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연 20%대 고금리 대출을 쓰고 있는 사람들은 정부가 내놓은 정책대출 ‘햇살론17’을 활용하면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다. 햇살론17은 저소득·저신용자가 연 20% 이상 고금리를 받는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으로 내몰리는 일을 막겠다는 취지로 출시했다. 연 소득이 3500만원 이하거나 신용등급 6등급 이하면서 연 소득 4500만원 이하인 사람이 신청할 수 있다.
대출 심사를 간소화하고 연 17.9%의 단일 금리, 최대 700만원의 단일 한도로 빌려주는 점이 특징이다. 돈이 더 필요하면 방문·대면상담을 거쳐 최대 1400만원까지 한도를 늘릴 수 있다.
다만 중도상환수수료를 낼 수 있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중도상환수수료란 돈을 빌린 소비자가 만기 전 대출금을 갚으려 할 때 금융회사가 부과하는 일종의 위약금이다. 일반적으로 3년 이내에 갚을 때 남은 대출금의 1.5%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다.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지 3년이 지났다면 중도상환수수료를 낼 필요가 없다. 보다 낮은 금리를 제시하는 곳을 찾아 갈아타면 된다.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중앙회는 내년부터 저축은행의 중도상환수수료율을 최대 2% 범위에서 대출 종류에 따라 차등화하기로 했다. 또 수수료 부과 기간은 최대 3년으로 하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