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S 배상금에 부동산 규제대책까지…시련의 은행株
입력
수정
지면A19
"DLS 배상금 2000억원 추정"은행주에 악재가 쏟아지고 있다. 감독당국의 검사 결과 해외 금리연계형 파생결합증권(DLS)을 ‘부실 판매’한 것으로 드러난 우리·하나은행은 2000억원에 달하는 손해배상을 해야 하고 은행권 전반으로 DLS 판매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여기에 정부가 담보인정비율(LTV) 규제를 강화하는 부동산 대책을 다시 내놓으면서 은행의 핵심 수익 기반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도 더해지고 있다.
하나금융·우리금융지주 등
이달 들어 일제히 주가 하락
2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우리금융지주는 3.25%(400원) 하락한 1만1900원에 장을 마쳤다. 하나금융지주도 1.58% 하락했고 신한지주(-1.65%), KB금융(-1.53%) 등 다른 은행주도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우리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의 주가 하락은 금융감독원이 전날 발표한 우리·하나은행의 DLS·DLF 중간검사 결과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들 두 은행이 DLS·DLF 설계, 제조, 판매 전 과정에서 투자자 보호보다 자사 이익을 중시해 리스크 관리와 내부 통제에 소홀했던 사실이 드러났다”며 “은행들도 이 같은 사실을 인정해 향후 금감원의 분쟁조정 절차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이베스트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으로 두 은행의 DLS·DLF에서 확정된 투자자 손실액은 각각 2008억원, 2174억원 수준이다. 배상 비율을 50%로 가정하더라도 예상 배상액은 각각 1000억~110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번 사태는 다른 시중은행에도 영향을 미쳐 은행권 전반의 비이자수익을 감소시킬 것으로 우려됐다. 전 연구원은 “우리 KEB하나 국민 신한 등 4대 시중은행의 DLS 판매 수익은 지난해 평균 1266억원으로 지주 세전이익의 2.0~4.1%를 차지했고 올 들어서도 7월 누적 기준으로 이미 1000억원을 넘는 등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번 사건으로 판매 제한 등 제재가 내려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도 은행의 주된 수익원인 주택담보대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전날 국토교통부는 분양가 상한제 보완 대책을 발표하면서 대출 규제 확대 방안을 추가로 내놨다.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의 개인사업자 가운데 임대사업자뿐 아니라 매매사업자에게도 LTV 40%를 적용하고 1주택자라도 고가주택에 대해서는 전세자금대출 공적 보증을 제한하는 등 부동산 금융 규제를 강화하겠다는 내용이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