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갈등에 독일 車업체 투자↓…자율주행 지연될 듯"
입력
수정
국민대 정구민 교수 "자율주행 레벨3 상용화 시기 2023년 전망"
미·중 무역갈등으로 독일 자동차업체들이 어려움을 겪으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도 늦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정구민 국민대 교수는 2일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세미나에서 '2019 프랑크푸르트모터쇼(IAA)의 주요 동향과 시사점'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정 교수는 자율주행 레벨3 본격 상용화 시기가 2021년에서 2023년께로 미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독일의 자동차업체 벤츠와 BMW, 아우디폭스바겐의 투자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어서다. 당초엔 미국과 서유럽 고속도로 정밀지도가 작년에 구축되면 자동차 업체들이 올해부터 레벨3 자율주행을 시험하고 내년엔 일부, 2021년엔 본격 상용화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자동차 업체 준비 부족 등으로 인해 고속도로 정밀지도 제작이 내년께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정 교수는 말했다.
미국자동차공학회(SAE)는 자율주행을 레벨 0∼5까지 6단계로 구분하며 레벨 3은 제한적(조건부) 자율주행이다. 특정 주행모드에서 시스템이 차량주행을 맡고 운전자는 시스템 개입 요청 때에만 한다.
즉, 위험 발생 시에만 개입하는 것이다.
정 교수는 자율주행 레벨3 상용화가 늦어지는 동안 자동차 업체들은 레벨2 기술 수준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19 프랑크푸르트모터쇼는 규모가 상당히 축소됐다.
중국 시장 부진으로 실적이 좋지 않은 독일 업체들이 전시를 줄였기 때문이다.
전기차 분야에서 뒤처진 미국과 일본 업체들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친환경차와 소형차로 유럽시장에서 선전하는 현대차그룹은 양호한 수준이었고, 중국업체들이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 적극적인 모습이 보였다고 정 교수는 평가했다.
기술 측면 키워드는 전기차, 실내공간, 자율주행 센서, 모빌리티 서비스를 꼽았다.
전기차에서는 고급형과 보급형, 수소연료로 세분화하는 전략과 충전 인프라 확장, 전기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탄소중립 등이 화두였다고 전했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다가오며 자동차 실내를 어떻게 꾸미고 어떤 경험을 제공할지에 관심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이날 세미나에 이어 '2020 올해의 차(COTY)' 전반기 심사를 했다. 올해 8월까지 출시된 23개 브랜드 70대(부분변경 모델 포함) 가운데 회원사 온라인 투표를 통해 1차 후보로 선정된 16개 브랜드 28대를 대상으로 도로와 트랙에서 주행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합뉴스
미·중 무역갈등으로 독일 자동차업체들이 어려움을 겪으며 자율주행 기술 개발도 늦어질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정구민 국민대 교수는 2일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에서 열린 한국자동차기자협회(KAJA) 세미나에서 '2019 프랑크푸르트모터쇼(IAA)의 주요 동향과 시사점'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정 교수는 자율주행 레벨3 본격 상용화 시기가 2021년에서 2023년께로 미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독일의 자동차업체 벤츠와 BMW, 아우디폭스바겐의 투자가 여의치 않은 상황이어서다. 당초엔 미국과 서유럽 고속도로 정밀지도가 작년에 구축되면 자동차 업체들이 올해부터 레벨3 자율주행을 시험하고 내년엔 일부, 2021년엔 본격 상용화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자동차 업체 준비 부족 등으로 인해 고속도로 정밀지도 제작이 내년께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정 교수는 말했다.
미국자동차공학회(SAE)는 자율주행을 레벨 0∼5까지 6단계로 구분하며 레벨 3은 제한적(조건부) 자율주행이다. 특정 주행모드에서 시스템이 차량주행을 맡고 운전자는 시스템 개입 요청 때에만 한다.
즉, 위험 발생 시에만 개입하는 것이다.
정 교수는 자율주행 레벨3 상용화가 늦어지는 동안 자동차 업체들은 레벨2 기술 수준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19 프랑크푸르트모터쇼는 규모가 상당히 축소됐다.
중국 시장 부진으로 실적이 좋지 않은 독일 업체들이 전시를 줄였기 때문이다.
전기차 분야에서 뒤처진 미국과 일본 업체들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친환경차와 소형차로 유럽시장에서 선전하는 현대차그룹은 양호한 수준이었고, 중국업체들이 유럽시장 진출을 위해 적극적인 모습이 보였다고 정 교수는 평가했다.
기술 측면 키워드는 전기차, 실내공간, 자율주행 센서, 모빌리티 서비스를 꼽았다.
전기차에서는 고급형과 보급형, 수소연료로 세분화하는 전략과 충전 인프라 확장, 전기를 친환경적으로 생산하는 탄소중립 등이 화두였다고 전했다.
자율주행차 시대가 다가오며 자동차 실내를 어떻게 꾸미고 어떤 경험을 제공할지에 관심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자동차기자협회는 이날 세미나에 이어 '2020 올해의 차(COTY)' 전반기 심사를 했다. 올해 8월까지 출시된 23개 브랜드 70대(부분변경 모델 포함) 가운데 회원사 온라인 투표를 통해 1차 후보로 선정된 16개 브랜드 28대를 대상으로 도로와 트랙에서 주행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