멧돼지 돼지열병 전파 위험 커졌는데…엇박자 속 뒷북대책만(종합)
입력
수정
사체 접촉한 파리·쥐로도 전이될 수 있어…살아있는 멧돼지 남하 가능성도
환경부·농식품부 엇박자 되풀이…국방부도 뒤늦게 헬기 동원 'DMZ 방역'
경기도 연천군 내 비무장지대(DMZ)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검출되면서 멧돼지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 수개월 전 북한 내 돼지열병 발병을 확인하고도 접경지 멧돼지 등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응해온 정부는 부처별 엇박자 속 뒷북 대책만 내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TV]
4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2일 연천군 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 혈액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정밀 진단한 결과 돼지열병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했다. 환경부의 멧돼지 예찰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이번 사례를 계기로 DMZ 내가 이미 상당 부분 '오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멧돼지를 포함한 돼지류는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극히 미량만 노출돼도 감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새·쥐·파리·고양이 등 야생동물들이 돼지열병에 감염된 멧돼지 사체나 배설물 등에 접촉했을 때도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다. 결국 살아있는 멧돼지가 철장으로 막혀 있는 DMZ를 넘나들기는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고 하더라도, DMZ 내에 방치된 멧돼지 사체들이 확산의 '원흉'이 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한돈양돈연구소 대표인 정현규 박사는 "DMZ가 오염돼 있다는 것은 야생동물을 통해 바이러스가 언제든 더 남하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이번에 DMZ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역시 (야생동물을 통해 감염된) 비슷한 케이스가 아닐까 추정하는 것"이고 설명했다.
살아있는 멧돼지가 남하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국회 국방위 소속 바른미래당 하태경 의원도 전날 국방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인용해 "2018년부터 올해 9월까지 9개 사단 13개소에서 GOP(일반전초) 철책이 파손됐고, 현재 보강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5건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북한이 ASF 발생 사실을 국제기구에 보고했던 지난 5월 이후로도 파손된 사례는 7건에 달했다고 하 의원은 전했다.
ASF에 감염된 북한지역의 야생멧돼지들이 GOP 철책을 절대 넘어올 수 없다고 한 국방부의 설명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러나 정작 야생동물을 관리하는 환경부는 이런 가능성은 배제한 채 발생 초기부터 멧돼지를 통한 직·간접적 전파 가능성은 작게 점쳤다.
접경지의 멧돼지 서식 현황에 대한 통계도 없다.
그러다 연천 DMZ 내 폐사체 발견을 계기로 우려가 커지자 4일에서야 관련 인력을 2배로 늘려 예찰을 강화하라는 '뒷북' 대책을 내놨다.
국방부 역시 같은 날 DMZ를 포함한 민간인통제선(민통선) 이북의 모든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헬기를 동원한 항공 방역을 시작하기로 했다.
지난달 17일 경기도 파주 양돈농장에서 첫 확진 판정이 나온 이후 18일이 지나서야 방역의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는 DMZ 소독에 나선 것이다.
방역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대책은 상대적으로 농가에서 사육하는 '집돼지 잡기'에만 집중된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실제 농식품부는 전날까지도 경기도 파주·김포 내 농가의 모든 돼지를 대상으로 수매 혹은 살처분한다는 초강수 대응책을 내놨지만, 야생 멧돼지에 대해선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4일 브리핑에서 이런 지적에 "나름대로는 관계부처 간 협력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면서도 "그간은 (접경지 야생멧돼지 검사 결과가) 음성이었지만 양성으로 나왔으니 그 부분 대책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추가 대책 필요성을 시인했다.
일각에서는 DMZ 내 감염 폐사체 발견을 계기로 북한과의 방역 협력 필요성도 거듭 제기되고 있다.
DMZ는 남북한이 아닌 유엔사 관할이어서,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남북 모두에게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멧돼지 사이에서 돼지열병이 만연할 경우 사실상 일일이 잡아낼 수 없어 토착화 우려도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DMZ 내 남북 간 공동조사 필요성 검토 여부 등에 대해 "여러 가지 가능성을 놓고 검토하도록 하겠다"면서도 정부의 방역 협력 제안에는 북측이 아직 반응이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환경부·농식품부 엇박자 되풀이…국방부도 뒤늦게 헬기 동원 'DMZ 방역'
경기도 연천군 내 비무장지대(DMZ)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검출되면서 멧돼지를 통한 바이러스 전파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 수개월 전 북한 내 돼지열병 발병을 확인하고도 접경지 멧돼지 등에 대해 소극적으로 대응해온 정부는 부처별 엇박자 속 뒷북 대책만 내놓고 있다는 지적이다.
[연합뉴스TV]
4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2일 연천군 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 혈액을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정밀 진단한 결과 돼지열병에 감염된 사실을 확인했다. 환경부의 멧돼지 예찰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지만, 이번 사례를 계기로 DMZ 내가 이미 상당 부분 '오염'됐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멧돼지를 포함한 돼지류는 돼지열병 바이러스에 극히 미량만 노출돼도 감염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새·쥐·파리·고양이 등 야생동물들이 돼지열병에 감염된 멧돼지 사체나 배설물 등에 접촉했을 때도 바이러스를 옮길 수 있다. 결국 살아있는 멧돼지가 철장으로 막혀 있는 DMZ를 넘나들기는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고 하더라도, DMZ 내에 방치된 멧돼지 사체들이 확산의 '원흉'이 될 가능성이 있는 셈이다.
한돈양돈연구소 대표인 정현규 박사는 "DMZ가 오염돼 있다는 것은 야생동물을 통해 바이러스가 언제든 더 남하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이번에 DMZ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역시 (야생동물을 통해 감염된) 비슷한 케이스가 아닐까 추정하는 것"이고 설명했다.
살아있는 멧돼지가 남하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국회 국방위 소속 바른미래당 하태경 의원도 전날 국방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인용해 "2018년부터 올해 9월까지 9개 사단 13개소에서 GOP(일반전초) 철책이 파손됐고, 현재 보강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5건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북한이 ASF 발생 사실을 국제기구에 보고했던 지난 5월 이후로도 파손된 사례는 7건에 달했다고 하 의원은 전했다.
ASF에 감염된 북한지역의 야생멧돼지들이 GOP 철책을 절대 넘어올 수 없다고 한 국방부의 설명은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러나 정작 야생동물을 관리하는 환경부는 이런 가능성은 배제한 채 발생 초기부터 멧돼지를 통한 직·간접적 전파 가능성은 작게 점쳤다.
접경지의 멧돼지 서식 현황에 대한 통계도 없다.
그러다 연천 DMZ 내 폐사체 발견을 계기로 우려가 커지자 4일에서야 관련 인력을 2배로 늘려 예찰을 강화하라는 '뒷북' 대책을 내놨다.
국방부 역시 같은 날 DMZ를 포함한 민간인통제선(민통선) 이북의 모든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헬기를 동원한 항공 방역을 시작하기로 했다.
지난달 17일 경기도 파주 양돈농장에서 첫 확진 판정이 나온 이후 18일이 지나서야 방역의 최전선이라고 할 수 있는 DMZ 소독에 나선 것이다.
방역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농림축산식품부의 대책은 상대적으로 농가에서 사육하는 '집돼지 잡기'에만 집중된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실제 농식품부는 전날까지도 경기도 파주·김포 내 농가의 모든 돼지를 대상으로 수매 혹은 살처분한다는 초강수 대응책을 내놨지만, 야생 멧돼지에 대해선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4일 브리핑에서 이런 지적에 "나름대로는 관계부처 간 협력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면서도 "그간은 (접경지 야생멧돼지 검사 결과가) 음성이었지만 양성으로 나왔으니 그 부분 대책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추가 대책 필요성을 시인했다.
일각에서는 DMZ 내 감염 폐사체 발견을 계기로 북한과의 방역 협력 필요성도 거듭 제기되고 있다.
DMZ는 남북한이 아닌 유엔사 관할이어서, 통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남북 모두에게 골칫거리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멧돼지 사이에서 돼지열병이 만연할 경우 사실상 일일이 잡아낼 수 없어 토착화 우려도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DMZ 내 남북 간 공동조사 필요성 검토 여부 등에 대해 "여러 가지 가능성을 놓고 검토하도록 하겠다"면서도 정부의 방역 협력 제안에는 북측이 아직 반응이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