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미래車에 2.4兆 파격베팅…"게임체인저 되겠다"
입력
수정
지면B3
다시 뛰는 국가대표 기업들현대자동차그룹의 최근 경영 화두는 ‘수익성 확보’다. 무리한 판매 계획을 세우고 물량을 밀어내기보다 내실있는 생산·판매를 통해 수익 기반을 다지겠다는 취지다. 이를 통해 자동차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전략이다. 이와 함께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연구개발(R&D) 및 미래 기술 투자를 대폭 확대해 자율주행자동차, 친환경차 등 미래차 시장의 주도권을 쥔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美·中 시장 명예회복 ‘시동’현대차그룹은 해외시장에서 △판매 실적 및 수익성 회복 △조직 혁신 및 민첩성 제고 △미래 사업 실행력 강화 등에 관한 방향을 최근 다시 정립했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기아자동차는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먼저 ‘명예 회복’에 나설 계획이다. 미국과 중국 시장에서 승부를 보지 못하면 글로벌 시장 전체에서 밀릴지 모른다는 위기감에서다.
현대·기아차는 우선 미국 시장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라인업을 대폭 늘리고 있다. 올초 현대차 팰리세이드와 기아차 텔룰라이드를 출시해 미국 대형 SUV 시장에 도전장을 냈다.중국에선 현지 최대 인터넷서비스 업체인 바이두 등과 협업해 첨단기술을 적용한 신차들을 앞세우고 있다. 현대차는 ix25 싼타페 쏘나타, 기아차는 K3 KX3 등 중국 전략 차종도 대거 내놨다. 또 중국 정부의 환경 규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아반떼 플러그인하이브리드카(PHEV), 코나 전기차(EV) 등 친환경차 판매를 본격화한다. 인도 등 신흥시장 공략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기아차는 지난 8월 연산 30만 대 규모의 인도 공장 가동에 들어갔다. 동남아시아에선 반조립제품(CKD) 생산 및 판매를 늘리기로 했다.
친환경차 확대 전략도 세웠다. 현대차그룹은 2025년까지 현재 15종인 친환경차를 44종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차량 전동화에만 3조3000억원을 쏟아붓는다. 앞으로 다가올 탈(脫)내연기관 시대를 맞아 선제적 투자를 통해 ‘게임체인저’로 도약하기 위한 차원이다.전체 사업 투자 규모도 대폭 늘린다. 올해부터 2023년까지 5년간 총투자액이 45조3000억원에 달한다. 연평균 9조600억원 수준이다. 지난 5년(2014~2018년)간 연평균 투자액(약 5조7000억원)보다 58.9% 늘어난 규모다.
미래차 글로벌 협업체계 구축
자율주행 등 미래차 시장 주도권을 쥐기 위한 투자도 대폭 확대하고 있다. 미국에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을 위한 합작사를 설립하기로 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글로벌 ‘톱3’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업체인 아일랜드의 앱티브와 손잡고 2조4000억원씩 투자하기로 했다. 2022년까지 4단계 자율주행 시스템을 내놓는다는 목표도 세웠다. 현대차가 외국 기업과 함께 조(兆) 단위 미래차 투자에 나선 것은 창사 52년 만에 처음이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이 미래차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기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 수석부회장은 “현대차그룹이 글로벌 자율주행 생태계를 선도할 것”이라며 “미래차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회사의 합작 투자 규모는 4조8000억원에 달한다. 현대차그룹과 앱티브가 20억달러(약 2조4000억원)씩 들여 내년 미국 보스턴에 합작사를 세우고 관련 투자에 나선다. 합작사 설립뿐만 아니라 관련 R&D, 테스트 작업,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에 대규모 투자를 할 방침이다. 합작사는 세계 어느 지역에서나 운행 가능한 완전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는 목표를 잡았다. 2022년까지 자율주행 플랫폼(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을 마칠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2017년부터 다양한 미래 기술 기업에 투자하고 있다. 과거 다른 그룹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부 투자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한 달에 한 번꼴로 전략적 투자에 나섰다. 차량공유 기업부터 자율주행 기술 보유 기업,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제작 기업, 드론 기술 기업 등 분야도 다양해졌다.
44종현대자동차그룹은 현재 15종인 친환경차를 2025년까지 44종으로 늘린다. 이를 위해 차량 전동화에만 3조3000억원을 쏟아부을 방침이다. 선제적 투자로 미래 친환경차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