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의료강국 대한민국
입력
수정
지면A32
김상은 < 서울대 의대 교수 brainkimm@hanmail.net >몇 개월 전 독일인 친구로부터 뜻밖의 이메일을 받았다. 한국의 병원과 의사를 소개해달라는 내용이었다. 자신의 친척이 소화기 질환으로 독일의 한 병원에 갔더니 담당 의사가 해당 질병에 관해서는 한국의 실력이 세계 최고니 한국에 가서 수술받기를 권고했다는 것이다. 한 외국인 의사가 개인 차원의 의학적 경험과 지식으로 내린 판단일 수 있지만 의사인 필자로서도 한국 의료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실감할 수 있는 계기였다.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의료 기술을 보유한 의료강국이다. 질병의 예방·진단·치료 기술이 선진국에 뒤지지 않는다. 암 환자 생존율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국가암등록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2~2016년 사이 진단된 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암 환자가 일반인과 비교해 5년간 생존할 확률)은 70.6%에 달한다. 대장암과 위암 생존율은 세계 1위다.한국을 찾은 해외 의료관광객이 외국인 환자 유치가 허용된 지 10년 만인 지난해 200만 명을 넘어섰다. 지난해에만 약 38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들이 쓴 총 진료비는 1조원 규모로, 10년 만에 20배 가까이 커졌다. 이런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미용성형 등 특정 분야의 의료서비스 비중이 여전히 높은 것은 아쉽다. 한 해 1억 명에 달하는 세계 의료관광시장의 주요 공급자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수준 높은 우리 의료 기술을 활용해 중증·희귀난치성 질환으로 의료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
해마다 10월이 되면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한국인 수상자가 나올지 매번 관심이 모아진다. 한국은 산업화와 압축 고도성장 과정에서 기초과학보다는 응용과학과 기술 개발에 연구개발 자원을 집중 투자했다. 그 결과 짧은 시간에 기술강국으로, 또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다. 반면 생리의학·물리학·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나오는 노벨 과학상 수상자를 한 번도 배출하지 못했다.
기초과학 연구에 대한 우리 정부의 지원은 199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제대로 된 기초 연구의 역사가 30년도 채 되지 않는 셈이다. 이달 발간된 한국연구재단 보고서에 따르면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의 핵심연구 시작 단계부터 노벨상 수상까지 걸린 총 기간은 평균 31.4년이었다. 한국의 의료·의학이 세계 최고의 의료 기술과 노벨 과학상,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