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첫 부마항쟁 기념식 참석…항쟁 참가자 다독이며 위로
입력
수정
국가기념일 지정 후 첫 기념식…부마항쟁 피해자에 사과
부마항쟁 참여자들과 항쟁 당시 배포된 선언문 등 특별전시 관람
한국당 황교안·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등과 악수하고 행사장 떠나문재인 대통령은 16일 경남 창원시 경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했다.문 대통령이 취임 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기념식은 40주년을 기념하는 동시에 부마민주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처음 열리는 기념식이었다.
이로써 부마민주항쟁은 4·19 혁명, 5·18 광주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과 함께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4대 민주항쟁으로 자리매김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기념식이 열린 경남대는 1979년 10월 16일 부산에서 시작된 시민항쟁이 마산으로 확산한 출발점으로, 부마민주항쟁 당시 경남대 도서관 앞에 모인 학생들은 교문이 막히자 담장을 넘어 마산 시내로 나가 시민과 함께 유신철폐 시위를 벌였다.
부마민주항쟁 참여자와 가족 30여명이 애국가를 제창하며 시작된 기념식은 송기인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의 경과보고와 참가자 증언 영상 등으로 구성된 '그날의 부마'라는 제목의 주제공연으로 이어졌다.
공연에서는 경남대 학생이 참여한 가운데 부마항쟁 참가자이자 현 부마진상규명위원회 위원 옥정애 씨의 딸 이옥빈 씨가 편지를 낭독해 눈길을 끌었다.문 대통령은 무대 위의 학생들이 '유신철폐 독재타도'를 외치자 진지한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였고 부인 김정숙 여사는 잠시 눈을 감은 채 긴 한숨을 내쉬었다.
김 여사는 옆자리에 앉은 옥 씨가 눈물을 훔치자 등을 쓰다듬으며 위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40년 전 민주화를 위해 싸운 피해자, 관계자에게 정부를 대표해 공식 사과했다.문 대통령은 "부마민주항쟁은 유신독재를 무너뜨리고 6월 민주항쟁까지 이어지게 한 위대한 시민항쟁"이라고 평가했다.
기념사를 마치고 내려온 문 대통령은 다시 한번 눈물을 흘린 옥 씨 등을 위로하고 자리에 앉았다.두 번째 주제공연에서는 배우 조진웅 씨가 부마민주항쟁 당시 국제신문 기자로 일하며 항쟁에 참여한 고(故) 임수생 시인의 작품인 '거대한 불꽃 부마민주항쟁'을 낭송했다.
이어 전체 참석자는 부마민주항쟁 당시 '우리의 소원은 통일' 중 '통일'을 '자유', '민주'로 개사해 불렀던 것처럼 함께 노래를 불러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노래 제창은 10월 부마에서 시작된 항쟁이 5월 광주로 이어졌던 역사적 의미를 담아 1절은 광주 구 전남도청 앞에서 '오월 소나무합창단'이 선창하고 2절부터는 기념식 현장에서 부산시립합창단, 창원 다문화소년소녀합창단이 함께 불렀다.
기념식에는 문 대통령 외에도 부마민주항쟁 관련자와 부산·창원의 예술인은 물론 부마민주항쟁을 비롯한 민주화운동단체 대표도 함께 참석했다.
김명수 대법원장과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권순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김경수 경남지사, 오거돈 부산시장 등도 참석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도 자리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식이 끝나자 황 대표와 손 대표를 비롯한 주요 내빈들과 악수한 뒤 부마민주항쟁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행사장을 떠났다.
한편, 문 대통령은 기념식에 앞서 항쟁 참가자들과 함께 이명곤 부마민주항쟁 기념재단 상임이사의 설명을 들으며 '부마민주항쟁 특별전시'를 관람했다.
이번 전시는 부마민주항쟁재단이 전국을 순회하며 진행 중인 행사로, 40주년 기념식을 맞아 경남대 본관에서 19일까지 열린다.
문 대통령은 1979년 부산대에서 민주선언문을 작성해 배포한 신재식 씨, 정광민 씨 등과 함께 당시 배포된 선언문 및 사진 등을 살펴봤다.
문 대통령은 "(당시) 부산에 이어 마산시민도 (항쟁을) 확산시켜야 한다는 심정이었을 것 같다"면서 "부산·창원·경남이 통합해 기념식을 하는 게 어떻겠냐는 논의가 있었는데 이번에 통합해 치르게 돼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부마민주항쟁 관련 군 수사 자료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자료에는 1979년 10월 18일 낮 12시 20분경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이 부산에 내려와 진압작전 회의에 참석해 '초기 진압작전이 중요하며 군이 개입한 이상 강력한 수단으로 데모 확산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한 내용이 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이 상임이사는 이에 대해 "보안사령관은 계엄사령부 지휘체계 내에 있지 않다"며 "이 회의 직후 오후 1시 30분께 공수여단과 해병대 등이 부산에서 무력 진압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부마항쟁 참여자들과 항쟁 당시 배포된 선언문 등 특별전시 관람
한국당 황교안·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 등과 악수하고 행사장 떠나문재인 대통령은 16일 경남 창원시 경남대학교에서 개최된 제40주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했다.문 대통령이 취임 후 부마민주항쟁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기념식은 40주년을 기념하는 동시에 부마민주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후 처음 열리는 기념식이었다.
이로써 부마민주항쟁은 4·19 혁명, 5·18 광주민주화운동, 6·10 민주항쟁과 함께 대한민국 민주화운동을 대표하는 4대 민주항쟁으로 자리매김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기념식이 열린 경남대는 1979년 10월 16일 부산에서 시작된 시민항쟁이 마산으로 확산한 출발점으로, 부마민주항쟁 당시 경남대 도서관 앞에 모인 학생들은 교문이 막히자 담장을 넘어 마산 시내로 나가 시민과 함께 유신철폐 시위를 벌였다.
부마민주항쟁 참여자와 가족 30여명이 애국가를 제창하며 시작된 기념식은 송기인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 이사장의 경과보고와 참가자 증언 영상 등으로 구성된 '그날의 부마'라는 제목의 주제공연으로 이어졌다.
공연에서는 경남대 학생이 참여한 가운데 부마항쟁 참가자이자 현 부마진상규명위원회 위원 옥정애 씨의 딸 이옥빈 씨가 편지를 낭독해 눈길을 끌었다.문 대통령은 무대 위의 학생들이 '유신철폐 독재타도'를 외치자 진지한 표정으로 고개를 끄덕였고 부인 김정숙 여사는 잠시 눈을 감은 채 긴 한숨을 내쉬었다.
김 여사는 옆자리에 앉은 옥 씨가 눈물을 훔치자 등을 쓰다듬으며 위로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40년 전 민주화를 위해 싸운 피해자, 관계자에게 정부를 대표해 공식 사과했다.문 대통령은 "부마민주항쟁은 유신독재를 무너뜨리고 6월 민주항쟁까지 이어지게 한 위대한 시민항쟁"이라고 평가했다.
기념사를 마치고 내려온 문 대통령은 다시 한번 눈물을 흘린 옥 씨 등을 위로하고 자리에 앉았다.두 번째 주제공연에서는 배우 조진웅 씨가 부마민주항쟁 당시 국제신문 기자로 일하며 항쟁에 참여한 고(故) 임수생 시인의 작품인 '거대한 불꽃 부마민주항쟁'을 낭송했다.
이어 전체 참석자는 부마민주항쟁 당시 '우리의 소원은 통일' 중 '통일'을 '자유', '민주'로 개사해 불렀던 것처럼 함께 노래를 불러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노래 제창은 10월 부마에서 시작된 항쟁이 5월 광주로 이어졌던 역사적 의미를 담아 1절은 광주 구 전남도청 앞에서 '오월 소나무합창단'이 선창하고 2절부터는 기념식 현장에서 부산시립합창단, 창원 다문화소년소녀합창단이 함께 불렀다.
기념식에는 문 대통령 외에도 부마민주항쟁 관련자와 부산·창원의 예술인은 물론 부마민주항쟁을 비롯한 민주화운동단체 대표도 함께 참석했다.
김명수 대법원장과 유남석 헌법재판소장, 권순일 중앙선거관리위원장,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김경수 경남지사, 오거돈 부산시장 등도 참석했다.
자유한국당 황교안·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도 자리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식이 끝나자 황 대표와 손 대표를 비롯한 주요 내빈들과 악수한 뒤 부마민주항쟁 관계자들과 기념사진을 찍고 행사장을 떠났다.
한편, 문 대통령은 기념식에 앞서 항쟁 참가자들과 함께 이명곤 부마민주항쟁 기념재단 상임이사의 설명을 들으며 '부마민주항쟁 특별전시'를 관람했다.
이번 전시는 부마민주항쟁재단이 전국을 순회하며 진행 중인 행사로, 40주년 기념식을 맞아 경남대 본관에서 19일까지 열린다.
문 대통령은 1979년 부산대에서 민주선언문을 작성해 배포한 신재식 씨, 정광민 씨 등과 함께 당시 배포된 선언문 및 사진 등을 살펴봤다.
문 대통령은 "(당시) 부산에 이어 마산시민도 (항쟁을) 확산시켜야 한다는 심정이었을 것 같다"면서 "부산·창원·경남이 통합해 기념식을 하는 게 어떻겠냐는 논의가 있었는데 이번에 통합해 치르게 돼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부마민주항쟁 관련 군 수사 자료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자료에는 1979년 10월 18일 낮 12시 20분경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이 부산에 내려와 진압작전 회의에 참석해 '초기 진압작전이 중요하며 군이 개입한 이상 강력한 수단으로 데모 확산을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한 내용이 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이 상임이사는 이에 대해 "보안사령관은 계엄사령부 지휘체계 내에 있지 않다"며 "이 회의 직후 오후 1시 30분께 공수여단과 해병대 등이 부산에서 무력 진압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