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욱 대전商議 회장 "쇠퇴하는 과학도시 대전…규제자유특구 지정 꼭 필요"
입력
수정
지면A28
지방경제 긴급진단…상의 회장에게 듣는다 (4)대전상공회의소는 다음달 정부의 2차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앞두고 대전이 지정되도록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 등 지역 경제계의 의견을 모아 정부에 건의문을 전달하기로 했다. 대덕연구단지를 배경으로 성장한 대전은 최근 정부의 4차 산업혁명 관련 국책사업에서 연이어 고배를 마시고 있다.
스타트업 파크·규제자유특구 등
올들어 정부 국책사업 잇단 고배
국내 최고 두뇌 모인 대덕특구
벤처·스타트업 요람으로 키워야
지난해 3월 취임한 정성욱 대전상공회의소 회장(72·금성백조주택 회장)은 16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대전이 그동안 과학과 비즈니스를 결합한 산·학·연 첨단도시로 발전해 왔지만 스타트업 파크 조성사업 공모(7월), 규제자유특구 지정(4월) 등에서 탈락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중소벤처기업부는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같은 개방형 혁신창업 거점을 마련하는 스타트업 파크 조성사업 공모에 인천시를 선정했다. 대전시는 2위에 머물렀다. 대전은 규제자유특구 지정에서도 쓴잔을 마셨다. 특구로 지정되면 참여하는 기업에 규제개선, 연구개발비 지원, 투자유치를 위한 세제 지원 등 혜택이 많다.
정 회장은 “우리나라 최고의 두뇌가 모인 대덕연구개발특구와 같은 곳에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이 발아할 수 있도록 규제자유특구를 지정해주지 않아 아쉬움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2차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위해 대전시와 공동으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최근 대전이 성장동력을 잃어가는 원인으로 ‘역차별’을 꼽았다. 인근에 세종시가 있다는 이유로 정부가 국책사업에서 대전을 제외한다는 게 지역 상공인들의 생각이라고 했다. 시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난달까지 5년간 세종시로 전입한 인구 중 37.4%가 대전에서 전출했다. 수도권 비율은 26.0%에 불과했다. 정 회장은 “이 기간 대전에서 세종으로 이사한 인구가 10만2371명에 달한다”며 “지역인재들이 취업에도 불이익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정 회장은 이에 “대전 경제가 살아나려면 혁신도시 지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근 대전 경제의 심각성은 지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대전상의는 지난 15일 300개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 전망을 조사했다. ‘기업이 연초에 세운 영업이익 목표치 달성 여부’를 묻는 질문에 63.8%가 ‘못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초과 달성’이라는 응답은 2.9%에 머물렀다. 영업이익 목표치가 미달될 것이라는 주된 원인으로 ‘내수시장 둔화’(52.2%)를 1순위로 꼽았다. ‘저임금·주52시간 근로제 등 고용환경 변화’(18.8%), ‘환율·유가변동성 심화’(14.5%) 등의 순이었다. 정 회장은 “기업이 어려울 때 대전이 혁신도시로 지정되면 지역상권 확대 및 인구 증가 면에서 획기적인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2005년 5월 10개 혁신도시에 153개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했다. 하지만 대전은 인근의 세종시 건설과 대덕연구개발특구, 정부대전청사 등이 있다는 이유로 혁신도시에서 제외됐다. 정 회장은 “지역인재 채용 현황을 보더라도 혁신도시 지역의 109개 공공기관에 1423명이 채용됐지만 대전시는 제외됐다”며 “대전 혁신도시 지정에 노력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정 회장이 회장으로 있는 금성백조주택은 지난해 시공능력평가 50위를 기록했다. 대전·충남에서 최근 전국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다. 정 회장은 “대전 시민의 자랑이 될 수 있는 향토기업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임호범 기자 l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