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대입개선안 11월 발표…정시 비중 높아진다
입력
수정
"학종 쏠림 심각한 대학들과 정시 확대 협의중"
"정시 비중 상향 포함한 입시제도 개편안 마련할 것"

교육부는 22일 "그동안 학생부종합전형(학종) 비율 쏠림이 심각한 대학들, 특히 서울 소재 일부 대학에 대해 정시(수능 위주) 전형 비율이 확대될 수 있도록 협의해 왔다"며 "당정청도 이런 상황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협의를 지속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이날 오전 문 대통령은 국회 시정연설에서 "정시 비중 상향을 포함한 입시제도 개편안을 마련하겠다"고 언급했다.
교육부는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등 입학전형에서 학종 선발 비율이 높고 특수목적고·자율형사립고(자사고) 학생을 많이 뽑는 대학 13곳을 대상으로 학종을 포함한 입시제도 전반 실태를 조사 중이다.
교육부는 이달 중 실태조사를 마치고 11월 중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종 개선 방안과 정시 비중 상향을 포함한 입시 개선안을 내놓을 계획이다.올해 치러지는 2020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수능 위주 전형(정시) 비중은 19.9%다. 수도권 대학의 정시 비중은 25.6%(서울 지역 27.1%), 지방 16.6%다. 2021학년도 입시에서는 정시 비중이 20.7%로 상향 조정될 예정이다. 수도권은 27.3%(서울 28.9%), 지방 16.1%로 확대된다.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 등 서울 지역 15개 주요 대학은 2020학년도 입시에서 학종 전형으로 평균 43.7%, 수능 위주(정시) 전형으로 평균 27.5%를 선발한다. 2021학년도 입시에서는 학종으로 평균 44.0%, 정시로 평균 29.5%를 뽑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