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사람이 먼저"…카카오, 연예뉴스 댓글·카카오톡 실검 '폐지'

연예섹션 뉴스 댓글 이달 중 잠정 폐지
인물 키워드 검색어 서비스도 연내 중단
다음 실검 폐지 검토, 카카오톡 실검은 바로 폐지
"사생활 침해, 명예훼손 등 부작용 심각" 판단
여민수(오른쪽)·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는 25일 다음의 연예섹션 뉴스 댓글을 잠정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 사진=김은지 기자
카카오가 연예섹션 뉴스 댓글과 카카오톡 실시간 이슈 검색어를 잠정 폐지하는 초강수를 꺼내 들었다. 개인을 향한 도 넘은 악성 댓글이 건강한 공론장을 해치는 것은 물론 사생활 침해, 명예훼손 등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이번 조치를 시작으로 카카오는 댓글 서비스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포털 다음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실검) 등 실시간 서비스도 폐지를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할 방침이다. 여민수·조수용 카카오 공동대표(사진)는 25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카카오 오피스에서 이같은 내용의 뉴스 및 검색 서비스 개편 계획을 발표했다. 내년 상반기까지 뉴스 댓글과 실시간 서비스 등 플랫폼 전반을 개편한다고 밝혔다.

카카오톡 내 샵 검색의 실시간 이슈 검색어는 당장 이날 오후 1시부터 서비스를 중단한다. 연예섹션 뉴스 댓글도 이달 안으로 잠정 폐지된다. 인물 키워드에 대한 관련 검색어 또한 연내 중단할 예정이다.

여 대표는 "최근 안타까운 사건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연예섹션 뉴스 댓글에서 발생하는 인격모독 수준은 공론장의 건강성을 해치는 데 이르렀다"며 "건강한 공론장을 마련할 목적으로 이같은 서비스들을 시작했지만 지금은 사생활 침해와 명예훼손 등 부작용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조국 전 법무부 장관 관련 실검 이슈, 최근 유명을 달리한 가수 겸 배우 고(故) 설리(본명 최진리) 사건 등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취재진 질의에 여 대표는 "최근 일련의 사건들로만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다. 명예훼손과 관련해 많은 신고가 들어왔고, 뉴스 개편 틀을 넘어서 콘텐츠 유통 전체에서 포털의 의무와 사명을 오랜 시간 고민한 끝에 나온 결정"이라고 답했다.

가장 먼저 연예섹션의 뉴스 댓글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도 '사람'이 중심에 있었기에 내린 결정이라고 밝혔다.

조수용 대표는 "카카오는 사람을 봤다. 연예뉴스나 인물 관련 검색어를 폐지하는 것의 일관된 관점은 사람"이라며 "사람이 겪는 서비스의 폐해에 대해 플랫폼 사업자로서 조치를 취해야 했다. 정치·산업 등 다른 섹션은 공론의 장을 열어둘 것이다. 연예섹션 뉴스 댓글 폐지에 따른 이용자 반응을 고려해 연예 외 섹션에 대한 댓글 폐지도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 포털의 실검 서비스도 개편한다. 재난 등 중요한 사건을 빠르게 공유하고, 다른 이용자들의 관심사가 무엇인지 알 수 있게끔 원래의 목적을 살릴 계획이다.

필요하다면 실검을 폐지할 수도 있다는 입장. 조 대표는 "실검은 사용자가 현재 어떤 것을 궁금해하는지 트렌드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서도 "지금의 실검 서비스를 보완하는 차원이 아니라 카카오만의 방식으로 이같은 순기능을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줄이는 전면적 개편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음은 메인 화면을 포함해 실검의 전면적인 개편을 고민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중 개편이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카카오의 이같은 변화는 포털업계 경쟁자이자 업계 1위 네이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네이버 역시 최근 국정감사에서 포털의 사회적 책임에 걸맞은 '실검' 및 '악플' 대처에 미흡하다는 질타를 받았다.

네이버 측은 "뉴스 댓글 폐지 등 카카오의 계획을 막 전해들었다"면서 "관련된 계획에 대해서는 아직 드릴 말씀이 없다. (카카오가 발표한) 내용을 파악해보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는 선거기간만이라도 실검을 폐지해달라고 한 정치권 일각 요구에 대해서는 "선거기간을 염두하고 개편한 것은 아니다"라며 "선거기간은 중요 변수가 아니다. 서비스 변화는 카카오의 스케줄대로 진행된다"고 답변했다.

뉴스 서비스 역시 근본적인 개편을 추진할 방침이다. 기사를 생산하는 미디어에게 자율 결정권을 주는 방안도 포함돼 있다.

여 대표는 "댓글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것이 아니다. 콘텐츠 서비스에 충실한 프레임으로 바꾸는 개편"이라며 "뉴스 구독이 언론사 구독만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언론사와 인플루언서, 블로거 등이 만들어내는 콘텐츠는 대중들에게 미디어로 재창조되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카카오의 방식으로 언론사 구독 방식이 아닌 세상 모든 콘텐츠를 개인이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구상 중이다. 카카오만이 할 수 있는 구독 기반 콘텐츠 서비스를 만들자는 방향을 잡고 거기에 맞춰 새로운 플랫폼 준비에 착수한 상태"라고 소개했다.그는 "이 같은 개편이 비즈니스 측면에서 보면 리스크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아직은 서비스 개편을 소상히 말하기는 어렵다"면서 "이번 결정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조금 더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는 방법의 시작이라고 믿는다"고 역설했다.

성남=김은지/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