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對韓 수출규제 넉 달째…합의점 못찾고 평행선
입력
수정
지면A5
역사문제가 무역전쟁 비화지난 7월 4일 일본 정부는 전격적으로 반도체·디스플레이 3개 소재의 대한(對韓)수출규제를 감행했다. ‘자유롭고 공정하며 무차별적인 무역체제가 중요하다’는 내용의 일본 오사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공동성명이 나온 지 1주일도 안 된 시점이었다.
日 기습에 韓 지소미아 파기
경협·교역·인적교류 전방위 냉각
![](https://img.hankyung.com/photo/201910/AA.20825132.1.jpg)
한·일 양국 간 대립이 심해지면서 경제 협력과 교역도 약화되고 있다. 지난달 일본의 한국으로의 수출은 4027억엔(약 4조35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9% 감소했다. 맥주 등 식료품(-62.1%)과 반도체 제조장치(-55.7%), 승용차(-51.9%) 등의 수출 감소폭이 컸다. 인적 교류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다. 9월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 수는 20만12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1% 줄었다.
이 같은 교역과 교류의 감퇴현상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지난 24일 이낙연 국무총리와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이후 처음으로 최고위급 회담을 열었지만 한·일 양국 간 간극은 여전히 좁혀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2차 세계대전 이후 자유무역 혜택을 크게 봤던 일본이 이웃나라인 한국에 급격하게 반(反)자유무역적 태도를 보이게 된 데엔 최근의 동아시아 국제정세 변화가 큰 영향을 미쳤다는 시각이 많다. 냉전의 종식 및 중국의 부상과 더불어 미국이 ‘세계의 경찰’ 역할을 포기하며 동아시아 지역에서 더 이상 적극적으로 개입하길 꺼리면서 자유무역 시스템을 지탱하는 힘이 약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