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분당 제2사옥 '로봇 친화형 빌딩'으로 짓는다
입력
수정
"로봇과 사람이 공존하는 로봇 친화형 빌딩"
로봇-자율주행-AI-클라우드 기술 융합
"서비스 로봇 1세대 실현"

네이버는 28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개발자 콘퍼런스 '데뷰(DEVIEW) 2019'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제2 사옥 건축에는 '프로젝트 1784'라는 이름이 붙었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대표(사진)는 제2사옥에 대해 "로봇과 사람이 공존하는 이 공간은 네이버랩스의 기술 비전을 위한 의미 있는 시도가 될 것이다. 네이버의 모든 미래 기술들이 연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최초의 '로봇 친화형 빌딩'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네이버랩스가 지난 6월 발표한 기술 비전 '에이시티(A-CITY)'와도 연결된다. 에이시티는 도심의 각 공간들이 다양한 자율주행 머신들로 촘촘하게 연결되고, 배송 및 물류 등 서비스까지 자동화되는 미래도시다.
제2사옥은 로봇-자율주행-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 네이버의 차세대 기술들이 융합·연결되는 '테크 컨버전스 빌딩'으로 기획했다.석 대표는 "기술과 빌딩 인프라가 유기적으로 결합될 이 공간은 기존 기술 실증 수준을 크게 뛰어넘는 새로운 표준을 보여줄 기회가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네이버는 사람과 자연스러운 공존이 가능한 최첨단 서비스 로봇 운영 시스템, AI 기반의 다양한 융합 솔루션이 회사 업무 시스템과 자연스럽게 연동되는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공간 그 자체가 직원들의 '비서'가 되는 셈이다. 이를 위해 네이버는 네이버랩스, 클로바, 비즈니스 플랫폼(NBP) 등 모든 기술 조직의 역량을 모으고 있다. 기술 구현, 서비스 경험을 고려해 건물을 설계하고 있다. 석 대표는 "얼굴인식을 통한 공간 출입부터 자율주행 로봇을 활용한 딜리버리 등 새로운 서비스들이 자연스럽게 구현될 것"이라며 "실제 네이버가 보유한 우수한 기술들이 빌딩 내부에 대거 적용될 것이다"고 했다.
△심층 강화학습 기반 로봇 자율주행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과 연동된 5G 브레인리스 로봇 기술 △0.1초 수준의 얼굴인식 기술 △로봇 전용로 및 센서 시스템 등 빌딩 인프라 △컴퓨터 비전 및 딥러닝 기술 등이 활용될 예정이다. △로봇과 사람의 소통(HRI) 연구 역시 고도화하고 있다.
석 대표는 무인딜리버리, 무인숍 등 다양한 목적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 도로 위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 '알트(ALT) 프로젝트를 공개했다.그는 "궁극적으로 실내 자율주행 로봇 플랫폼 어라운드(AROUND)와 통합해 실내-실외-도로 등 모든 물리 공간에서 정보와 서비스가 끊김 없이 연결되도록 할 것"이라며 "사람과 로봇이 상호 공존하는 '진정한 서비스 로봇의 1세대'를 실현하겠다는 것이 네이버의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