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강국' 깃발 올렸지만…핵심 인재 7명뿐, 터키보다 경쟁력 떨어져
입력
수정
지면A5
AI 연구·인력 세계 하위권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인공지능(AI) 정부가 되겠다”며 AI 역량 강화를 강조했지만 현실은 초라하다. 한국의 AI 연구와 관련 인력 수준은 세계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연구 환경이 부실하고 규제까지 발목을 잡고 있다. 정부 입맛에 따라 예산 집행이 중단되기도 한다.핵심인재 7명에 불과국책 연구기관인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이달 초 내놓은 ‘인공지능 두뇌지수: 핵심인재 분석과 의미’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AI 상위 전문가 500명 중 한국은 7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25개국을 대상으로 2009년부터 작년까지 나온 논문과 논문 인용 수 등을 분석해 세계 AI 핵심인재 500명을 선정한 결과다.
국가전략 나오면 달라질까
미국이 73명(14.6%)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중국(65명), 스위스(47명), 독일(36명), 영국(31명) 등의 순이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싱가포르(31명), 홍콩(29명), 대만(9명)이 포함됐으며 한국보다 많았다. 경제 규모가 한국보다 훨씬 작은 터키도 19명에 달했다. 한국은 전체 25개 국가 중 19위에 그쳤다.이승환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책임연구원은 “한국 AI 연구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결과”라며 “해외 유명 AI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연구원 수만 봐도 터키가 한국보다 AI 강국”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중국 칭화대가 내놓은 ‘2018 인공지능 보고서’에서도 한국의 전체 AI 연구인력(2664명)은 터키(3385명)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과 중국의 AI 인력은 각각 2만8536명과 1만8232명에 달했다.
한국은 국내 인력 수요에 비해서도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다.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는 올해 부족한 AI 인력을 1595명으로 추산했다. 부족 인력은 2022년엔 3132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AI 교육은 부실
전문가들은 한국의 AI 역량이 떨어지는 것은 관련 교육제도가 부실한 영향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승환 책임연구원은 “해외 선진국에서는 코딩 등 프로그래밍 교육의 체계가 갖춰진 지 오래됐고 필요에 따라 AI 교육 내용이 수시로 바뀐다”며 “국내에서도 교육제도를 개선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인력이 나오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국내 대학원에서 AI 대학원을 잇따라 열고 있지만 AI 전문가가 부족해 알찬 수업을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 대학에서 배출된 AI 인재가 모자라자 국내 기업은 캐나다, 미국 등 AI 교육 역량이 우수한 해외 대학과 손잡고 있다.
그동안 정부에서 손놓고 있었던 건 아니다. 박근혜 정부는 2016년 ‘알파고 쇼크’를 계기로 한국형 AI를 개발한다는 취지에서 민간 기업과 손잡고 AI연구소(지능정보기술연구원)를 설립했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LG전자, SK텔레콤, KT, 네이버, 한화생명 등 7개 기업이 30억원씩 출자해 주식회사 형태로 출범한 연구소다. 정부도 연간 150억원씩 5년간 총 750억원에 이르는 연구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와 맞물려 정부 예산이 모두 삭감됐다.
각종 규제도 심각
AI 연구 과정에서 각종 데이터 활용은 필수다. 데이터를 많이 모아 활용할 수 있어야 AI 연구를 활성화할 수 있다. 국내에선 익명화한 개인정보 활용이 막혀 있다.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한국에서 활약해야 할 AI 핵심 인재가 한국에 남아 있지 않고 다 해외로 나가고 있다”며 “인재들이 떠나는 것은 국내에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어렵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정부는 관련 규제를 개선하기 위해 ‘데이터3법(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데이터3법은 일부 시민단체의 반대와 정치권의 무관심으로 1년 가까이 국회에 묶여 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