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만원 vs 317만원…비정규직-정규직 임금격차 더 벌어져
입력
수정
지면A3
‘316만5000원 vs 172만9000원.’
29일 통계청이 내놓은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나온 올해 6~8월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이다. 차이는 작년 136만5000원에서 올해 143만6000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금액 기준)으로 벌어졌다. 올해 임금 상승률은 5.2%로 똑같았지만 절대금액의 차이가 이런 결과를 낳았다.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처음 낸 2004년만 해도 정규직(176만9000원)과 비정규직(115만3000원) 간 임금 격차는 61만6000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후 정규직 급여가 상대적으로 높게 뛰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격차는 벌어졌다. 이런 추세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운 문재인 정부에서도 계속됐다.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월평균 임금 비율은 2017년 55.03%에서 2018년 54.64%, 올해 54.63%로 2년 연속 하락했다. 근속기간 격차도 확대됐다. 정규직의 평균 근속기간(8월 기준)은 지난해 7년9개월에서 올해 7년10개월로 소폭 늘어난 반면 비정규직은 2년7개월에서 2년5개월로 쪼그라들었다. 임금과 근속기간은 좋은 직장, 안정적인 직장 여부를 가르는 핵심 요소란 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처우 개선’ 약속에도 불구하고 실제 근로환경은 악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전반적인 고용환경이 나빠지면서 전체 임금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5년11개월)도 작년(6년1개월)보다 2개월 줄어들었다. 산업계 관계자는 “민간에서 창출하는 제대로 된 일자리는 줄어들고 세금으로 만든 단기 일자리만 늘어나다 보니 근속연수가 줄어든 것”이라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민간이 질 좋은 일자리를 많이 창출할 수 있도록 세제 혜택을 늘리고 관련 규제도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
29일 통계청이 내놓은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나온 올해 6~8월 정규직 근로자와 비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이다. 차이는 작년 136만5000원에서 올해 143만6000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금액 기준)으로 벌어졌다. 올해 임금 상승률은 5.2%로 똑같았지만 절대금액의 차이가 이런 결과를 낳았다.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처음 낸 2004년만 해도 정규직(176만9000원)과 비정규직(115만3000원) 간 임금 격차는 61만6000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후 정규직 급여가 상대적으로 높게 뛰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격차는 벌어졌다. 이런 추세는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운 문재인 정부에서도 계속됐다.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 월평균 임금 비율은 2017년 55.03%에서 2018년 54.64%, 올해 54.63%로 2년 연속 하락했다. 근속기간 격차도 확대됐다. 정규직의 평균 근속기간(8월 기준)은 지난해 7년9개월에서 올해 7년10개월로 소폭 늘어난 반면 비정규직은 2년7개월에서 2년5개월로 쪼그라들었다. 임금과 근속기간은 좋은 직장, 안정적인 직장 여부를 가르는 핵심 요소란 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비정규직 처우 개선’ 약속에도 불구하고 실제 근로환경은 악화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전반적인 고용환경이 나빠지면서 전체 임금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5년11개월)도 작년(6년1개월)보다 2개월 줄어들었다. 산업계 관계자는 “민간에서 창출하는 제대로 된 일자리는 줄어들고 세금으로 만든 단기 일자리만 늘어나다 보니 근속연수가 줄어든 것”이라며 “정부는 지금이라도 민간이 질 좋은 일자리를 많이 창출할 수 있도록 세제 혜택을 늘리고 관련 규제도 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