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 헬기 동체 온전한 형태 아냐…실종자 추정 시신 1구 발견"
입력
수정
"잠수사가 시신 인양해야 실종자 여부 확인…수중 수색·구조 활동 집중"
"동체 수심 72m 지점서 발견…정밀 탐색 후 사고 헬기 수중인양 검토"독도 인근 해상에서 응급환자를 태우고 육지로 가던 중 바다에 추락한 소방헬기 동체가 사고 14시간여 만에 수심 72m 지점에서 발견됨에 따라 실종자 수색·구조가 본격화되고 있다.추락한 헬기 동체 인근에서 실종자로 추정되는 시신 1구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해경은 해군과 함께 무인잠수정(ROV) 등 탐지 장비를 투입해 수중 수색 활동을 집중하고 있다.
◇ 사고 14시간여 만에 수심 72m 지점서 헬기 동체 발견
동해해양지방경찰청은 1일 독도 인근 해상에서 응급환자를 태우고 육지로 가던 소방헬기 추락사고와 관련 "동체가 발견된 만큼 수중수색에 집중해 수색 및 구조 활동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동해해경청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오늘 오후 1시 35분부터 2시 25분까지 진행된 해양경찰 중앙 특수구조단 잠수 인력 3명이 독도 남방 약 600m, 수심 72m 지점을 수중수색 중 소방헬기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이어 "수중수색을 위한 수중탐지 장비가 장착된 해경 잠수 지원함이 오후 4시께, 심해 구조가 가능한 해군 청해진함(4천t급 잠수 구조함)은 오후 5시 40분께 현장에 도착 즉시 수중 구조활동에 나선다"고 덧붙였다.
사고 헬기 상태는 원형 그대로의 온전한 형태는 아닌 것으로 해경은 밝혔다.
해경은 추가적인 정밀탐색 과정에서 동체 상태와 생존자 여부를 확인한 뒤 청해진함을 이용해 사고 헬기의 수중 인양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2015년 가거도에서 발생한 해경 헬기 추락사고 당시에도 해군이 수심 80m 지점에서 사고 헬기를 인양한 사례가 있다고 해경은 밝혔다.◇ "실종자 추정 시신 1구 발견 확인 중"
해경은 이날 사고 헬기 동체 인근에서 실종자로 추정되는 시신 1구를 발견해 확인하고 있다.
시신 1구는 무인잠수정이 발견했으며, 잠수사 등을 통해 인양해야 실종자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사고 헬기 탑승자들이 동체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에 대비해 수중 수색을 강화할 계획이다.
탑승자 생존 가능성에 대해 해경은 "국제 해상수색 구조 지침상에 수온이 15∼20도 미만인 경우 50% 생존 시간이 6시간이라고 규정돼 있다"며 "사고가 난 지 17시간이 지난 상황이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도 예단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해경은 독도 남쪽 직경 약 9.2㎞를 7개 수색 구역으로 나눠 해경 함정 4척, 소형 고속보트 8대, 해군함 2척, 관공선 3척, 어선 3척 등 14척을 투입해 해상 수색 중이다.
또 해경 항공기 5대, 해군 항공기 1대, 소방 항공기 4대 등 총 10대가 항공 수색을 병행하고 있다.
이어 조명탄 172발을 투하하는 등 야간 수색도 진행할 계획이다.
추락 헬기는 지난달 31일 오후 11시 26분께 독도에서 환자와 보호자, 소방구조대원 등 7명을 태우고 이륙한 뒤 2∼3분간 비행하다가 인근 200∼300m 지점에 추락했다.◇ 독도 인근 해상 사고에 왜 소방헬기 투입됐나
사고 헬기는 독도 인근에서 홍게를 잡던 50대 어선 선원이 왼쪽 엄지손가락 첫마디가 절단됐다는 응급 상황을 접수하고서 이 환자를 이송하고자 독도에 착륙했다가 이륙한 지 2분도 안 돼 바다로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독도 근인 해상에서 난 사고에 소방헬기가 투입된 이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소방당국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신고 일원화 시스템에 의해 독도경비대에서 공동 대응 요청이 와 소방 헬기가 출동했다"며 "사고 헬기를 포함해 영남 119 특수구조단 헬기 2대가 돌아가면서 독도경비대로 출동한다"고 밝혔다.
이어 "독도에서 육지로 이동하려면 함정보다는 헬기가 우선 출동한다"며 "독도 조업 중 다친 환자가 독도경비대에서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환자를 독도경비대에서 태워 이송하던 중 사고가 났다"고 설명했다.
영남 119 특수구조단 헬기 2대가 울릉도와 독도에 출동한 건수는 올해 들어 10월 말까지 모두 11건이고, 지난해는 모두 27건 출동했다고 소방당국은 덧붙였다.
사고 원인에 대해 소방당국은 "헬기 블랙박스와 동체에 설치된 교신 녹음 장비를 회수해야 확인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실종자 가족 43명 중 28명이 울릉도로 이동했으며, 일부는 기상 상황에 따라 독도 사고 현장으로 이동할 계획이라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추락 소방헬기 동체 추정 물체 찾아"…실종자 가족 울릉도 도착 / 연합뉴스 (Yonhapnews)/연합뉴스
"동체 수심 72m 지점서 발견…정밀 탐색 후 사고 헬기 수중인양 검토"독도 인근 해상에서 응급환자를 태우고 육지로 가던 중 바다에 추락한 소방헬기 동체가 사고 14시간여 만에 수심 72m 지점에서 발견됨에 따라 실종자 수색·구조가 본격화되고 있다.추락한 헬기 동체 인근에서 실종자로 추정되는 시신 1구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해경은 해군과 함께 무인잠수정(ROV) 등 탐지 장비를 투입해 수중 수색 활동을 집중하고 있다.
◇ 사고 14시간여 만에 수심 72m 지점서 헬기 동체 발견
동해해양지방경찰청은 1일 독도 인근 해상에서 응급환자를 태우고 육지로 가던 소방헬기 추락사고와 관련 "동체가 발견된 만큼 수중수색에 집중해 수색 및 구조 활동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동해해경청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오늘 오후 1시 35분부터 2시 25분까지 진행된 해양경찰 중앙 특수구조단 잠수 인력 3명이 독도 남방 약 600m, 수심 72m 지점을 수중수색 중 소방헬기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이어 "수중수색을 위한 수중탐지 장비가 장착된 해경 잠수 지원함이 오후 4시께, 심해 구조가 가능한 해군 청해진함(4천t급 잠수 구조함)은 오후 5시 40분께 현장에 도착 즉시 수중 구조활동에 나선다"고 덧붙였다.
사고 헬기 상태는 원형 그대로의 온전한 형태는 아닌 것으로 해경은 밝혔다.
해경은 추가적인 정밀탐색 과정에서 동체 상태와 생존자 여부를 확인한 뒤 청해진함을 이용해 사고 헬기의 수중 인양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2015년 가거도에서 발생한 해경 헬기 추락사고 당시에도 해군이 수심 80m 지점에서 사고 헬기를 인양한 사례가 있다고 해경은 밝혔다.◇ "실종자 추정 시신 1구 발견 확인 중"
해경은 이날 사고 헬기 동체 인근에서 실종자로 추정되는 시신 1구를 발견해 확인하고 있다.
시신 1구는 무인잠수정이 발견했으며, 잠수사 등을 통해 인양해야 실종자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사고 헬기 탑승자들이 동체에서 벗어났을 가능성에 대비해 수중 수색을 강화할 계획이다.
탑승자 생존 가능성에 대해 해경은 "국제 해상수색 구조 지침상에 수온이 15∼20도 미만인 경우 50% 생존 시간이 6시간이라고 규정돼 있다"며 "사고가 난 지 17시간이 지난 상황이기 때문에 어떠한 상황도 예단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해경은 독도 남쪽 직경 약 9.2㎞를 7개 수색 구역으로 나눠 해경 함정 4척, 소형 고속보트 8대, 해군함 2척, 관공선 3척, 어선 3척 등 14척을 투입해 해상 수색 중이다.
또 해경 항공기 5대, 해군 항공기 1대, 소방 항공기 4대 등 총 10대가 항공 수색을 병행하고 있다.
이어 조명탄 172발을 투하하는 등 야간 수색도 진행할 계획이다.
추락 헬기는 지난달 31일 오후 11시 26분께 독도에서 환자와 보호자, 소방구조대원 등 7명을 태우고 이륙한 뒤 2∼3분간 비행하다가 인근 200∼300m 지점에 추락했다.◇ 독도 인근 해상 사고에 왜 소방헬기 투입됐나
사고 헬기는 독도 인근에서 홍게를 잡던 50대 어선 선원이 왼쪽 엄지손가락 첫마디가 절단됐다는 응급 상황을 접수하고서 이 환자를 이송하고자 독도에 착륙했다가 이륙한 지 2분도 안 돼 바다로 추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독도 근인 해상에서 난 사고에 소방헬기가 투입된 이유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소방당국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신고 일원화 시스템에 의해 독도경비대에서 공동 대응 요청이 와 소방 헬기가 출동했다"며 "사고 헬기를 포함해 영남 119 특수구조단 헬기 2대가 돌아가면서 독도경비대로 출동한다"고 밝혔다.
이어 "독도에서 육지로 이동하려면 함정보다는 헬기가 우선 출동한다"며 "독도 조업 중 다친 환자가 독도경비대에서 가까이 있었기 때문에 환자를 독도경비대에서 태워 이송하던 중 사고가 났다"고 설명했다.
영남 119 특수구조단 헬기 2대가 울릉도와 독도에 출동한 건수는 올해 들어 10월 말까지 모두 11건이고, 지난해는 모두 27건 출동했다고 소방당국은 덧붙였다.
사고 원인에 대해 소방당국은 "헬기 블랙박스와 동체에 설치된 교신 녹음 장비를 회수해야 확인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실종자 가족 43명 중 28명이 울릉도로 이동했으며, 일부는 기상 상황에 따라 독도 사고 현장으로 이동할 계획이라고 소방당국은 설명했다."추락 소방헬기 동체 추정 물체 찾아"…실종자 가족 울릉도 도착 / 연합뉴스 (Yonhapnews)/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