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절반은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해
입력
수정
중소기업의 절반가량은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문인력 부족과 투자 대비 효과의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에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 및 대응수준과 정책과제 파악을 위해 30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중소제조업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4일 밝혔다.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중소기업은 36.3%로 2년 전(39.5%)에 비해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하지만 같은 기간 디지털 전환을 체감하는 냐는 질문은 8%포인트 증가한 43%가 ‘그렇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29.3%)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이 가장 중요한 목표(55.7%)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응답기업의 50.6%는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준비와 관련,‘2~3년 내 대응계획을 마련할 것’이라는 응답이 10.0%로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대응)인력 부족’(28.7%)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28.3%) ‘투자자금 부족’(27.7%) ‘4차 산업혁명 등 교육 부족’(19.3%) 순으로 응답했다.제조현장 대응실태 및 개선과제와 관련해 현재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수준은 대부분 1단계(25.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16%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주요기술을 도입했고 33%는 향후 활용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 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을 위해 클라우드·빅데이터 기술을 도입 할 경우 ‘효율성 증대’(54.2%)가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조사됐다.
다만 비용부담(38.2%), 전담‧운용 인력 등 조직역량 부족(30.5%) 등이 걸림돌로 꼽혔다. 제조현장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는 ‘현장인력 부족’(34.0%) ‘생산설비 노후화’(27.3%) ‘시스템 도입 및 관리’(24.3%) ‘낮은 생산성’(18.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 관련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2.7%에 그쳤다.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 부재’(72.0%)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향후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53.7%) ‘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혜택 등 지원’(36.3%)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26.7%) ‘신기술·시스템 및 설비 지원 확대’(18.7%)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고도화 지원’(14.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중소기업중앙회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 및 대응수준과 정책과제 파악을 위해 300개 중소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중소제조업 4차 산업혁명 대응 실태조사’를 실시했다고 4일 밝혔다.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중소기업은 36.3%로 2년 전(39.5%)에 비해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하지만 같은 기간 디지털 전환을 체감하는 냐는 질문은 8%포인트 증가한 43%가 ‘그렇다’고 답했다.
중소기업은 4차 산업혁명이 ‘생산’에 가장 큰 영향(29.3%)을 미치고, ‘생산성 향상’이 가장 중요한 목표(55.7%)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다. 응답기업의 50.6%는 4차 산업혁명이 ‘기회이자 위기’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준비와 관련,‘2~3년 내 대응계획을 마련할 것’이라는 응답이 10.0%로 가장 높았다. 중소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어려운 이유로는 ‘전문(대응)인력 부족’(28.7%) ‘투자대비 효과 불확실’(28.3%) ‘투자자금 부족’(27.7%) ‘4차 산업혁명 등 교육 부족’(19.3%) 순으로 응답했다.제조현장 대응실태 및 개선과제와 관련해 현재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수준은 대부분 1단계(25.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기업의 16%가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주요기술을 도입했고 33%는 향후 활용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제조 데이터의 수집‧분석‧활용을 위해 클라우드·빅데이터 기술을 도입 할 경우 ‘효율성 증대’(54.2%)가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조사됐다.
다만 비용부담(38.2%), 전담‧운용 인력 등 조직역량 부족(30.5%) 등이 걸림돌로 꼽혔다. 제조현장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할 사항으로는 ‘현장인력 부족’(34.0%) ‘생산설비 노후화’(27.3%) ‘시스템 도입 및 관리’(24.3%) ‘낮은 생산성’(18.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 관련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2.7%에 그쳤다. ‘중소기업의 현실을 고려한 정책 부재’(72.0%)를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향후 정부가 중소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과제로는 ‘중소기업 맞춤형 컨설팅 지원 사업’(53.7%) ‘투자·연구자금 관련 세제혜택 등 지원’(36.3%) ‘인재양성 및 근로자 재교육 지원’(26.7%) ‘신기술·시스템 및 설비 지원 확대’(18.7%)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 및 고도화 지원’(14.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정욱조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정부가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현장의 인식과 대응수준은 기대에 못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전문‧운용인력, 투자역량 부족 등 중소기업의 애로를 보완할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