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필요하면 고위급 협의"…아베 "모든 방법 통해 해결 모색"
입력
수정
지면A6
한·일 정상, 태국 '아세안+3'문재인 대통령이 4일 태국 방콕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단독 환담을 했다. 두 정상의 회동은 지난해 9월 미국 뉴욕에서 유엔총회를 계기로 열린 정상회담 이후 13개월 만이다. 이번 만남이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심화된 양국의 경색국면을 타개하는 전환점이 될지 주목된다.문 대통령 주도로 11분 환담문 대통령은 이날 태국 방콕 노보텔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 대기장에서 아베 총리와 약 11분간 단독 환담했다. 이날 회동은 먼저 도착한 문 대통령이 아베 총리와 인사를 나눈 후 대기장 한쪽으로 인도하면서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미리 협의된 일정이 아니었다”고 전했다.
회의서 11분 '깜짝 환담'
13개월 만에 면담한 문 대통령-아베
먼저 도착한 문 대통령이
아베에 자리 이동 권하며 대화
두 정상은 이날 회동에서 “한·일 관계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며 한·일 양국 관계의 현안은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고 고 대변인은 설명했다. 또 “최근 양국 외교부의 공식채널로 진행되고 있는 협의를 통해 실질적인 관계 진전 방안이 도출되기를 희망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필요하다면 보다 고위급 협의를 하는 방안도 검토해보자”고 제의했다. 이에 아베 총리도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도록 노력하자’고 답했다”고 고 대변인은 전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고위급 협의는 장관급이 될 수도, 그 윗단계의 협의가 될 수도 있지만 현재로선 확정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했다. 양국 정상 간 대화 내용을 고려하면 외교부 국장급 채널을 격상해 조세영 외교부 차관과 아키바 다케오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 간 차관급 협의가 열릴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번 환담을 계기로 오는 22일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전까지 양국 관계의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일본 정부는 이날 환담과 관련해 “양국 간 문제에 관해 일본의 원칙적인 입장을 확실히 전달했다”고 발표했다. 양국 발표의 온도차를 두고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인 윤상현 자유한국당 의원은 “청와대가 정상 간 짧은 환담을 과대포장한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 “자유무역 통한 확대균형” 강조
한·일 정상 간 환담 후 문 대통령은 제22차 아세안+3 정상회의 연설에서 자유무역 확대를 통한 동아시아 공동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자유무역 질서가 외풍에 흔들리지 않도록 지켜내고, 축소균형을 향해 치닫는 세계 경제를 확대균형의 길로 다시 되돌려놓아야 한다”며 ‘아세안+3’의 중심적 역할을 촉구했다. 이어 “아시아 외환위기의 폭풍이 몰아칠 때 아세안+3가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다”며 “위기 속에 하나가 돼 우리는 세계 경제 규모의 30%를 차지하는 튼튼한 경제권을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문 대통령은 외환위기가 발생한 지 20여 년이 지난 지금 또다시 보호무역주의 바람이 거세게 일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교역 위축으로 전 세계 90% 국가들이 동반 성장둔화를 겪을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우려도 있다”고 언급했다.
“3차 북·미 회담이 비핵화 중대 고비”
문 대통령은 정상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 관련, “판문점에서 역사적인 남·북·미 정상 간 만남이 성사됐지만 오랜 대결과 적대를 해소하는 일이 쉬울 리 없다”고 했다.그러면서 “3차 북·미 정상회담은 한반도 비핵화의 평화를 위한 전체 과정에서 가장 중대한 고비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오는 25일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를 상기시키며 “한·아세안 관계 도약의 특별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특사로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 참석한 로버트 오브라이언 미국 백악관 안보보좌관을 35분간 접견했다. 문 대통령은 오브라이언 보좌관과 한·일 관계를 비롯한 지역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오브라이언 보좌관은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 모친상에 대한 위로가 담긴 트럼프 대통령의 친필 서명 서한을 전달했다.
방콕=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