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김정은, 북·미정상회담 12월로 정해 놓은 상태"
입력
수정
지면A6
국회 정보위 국감서 브리핑국가정보원이 4일 국회 정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 시기를 12월로 정해 놓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이 기한을 지키기 위해 북한이 이달 중순 또는 다음달 초 미국과 실무협상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달 또는 내달초 실무회담 예상
김정은 연내 中 방문 가능성도
이혜훈 "12월 미·북 정상회담은
국정원의 합리적 추측이라 했다"
국회 정보위 여야 간사인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이은재 자유한국당 의원은 이날 국정원에서 비공개로 진행된 국감 중간브리핑에서 “(미·북) 양쪽 입장을 토대로 한 본격적 절충을 위해 늦어도 12월 초까지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는 보고가 있었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날 국감엔 서훈 국정원장과 1~3차장 이외에 국정원 1·2급 부서장 전원이 기관 증인으로 출석했다.하지만 여야 간사 브리핑 뒤 이혜훈 국회 정보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12월 미·북 정상회담은 국정원의 합리적 추측일 뿐”이라며 “서 원장은 북한이 미국에 제시한 ‘올해 말이란 시한’은 연내 미·북 정상회담을 목표로 잡고 있는 것으로 추측했다고 선을 그었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북·중 수교 70주년을 계기로 김정은의 연내 중국 방문 가능성을 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북·미 실무회담이 순조롭게 이뤄질 경우 예상되는 3차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북한이 중국과 협의할 필요성이 있고,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전 방중한 전례를 볼 때 연내 방중 가능성이 있다고 국정원이 보고했다”고 말했다. 김정은의 한국 답방 여부에 대해선 “아직은 가능성이 전혀 없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는 이동식 발사대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이동식 ICBM을 싣고 일정한 지점에 발사대 거치를 한 뒤 ICBM을 발사하는데, 이것도 결국 이동식이라는 답변을 받았다”며 “이는 서 원장 말이었다”고 전했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지난 1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감에서 “ICBM은 이동식 발사대로 발사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밝힌 내용과 배치되는 것이다.국정원은 북한이 지난달 31일 발사한 초대형 방사포는 8월 24일과 5월 10일 발사한 발사체와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보고했다. 김 의원은 “추진기관 성능, 정밀유도 기능 검증에 이어 연발사격 능력을 시험하기 위해 3분 간격으로 두 발을 발사한 것이라고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최근 북한 미사일이 액체연료에서 고체연료로 가고 있는데, 미사일 발사에서 고체연료의 경우 사전 준비가 없어 우리나라에서 (연료 준비를) 인식하기가 어렵다”며 “고체연료가 되면 매우 위협적인 요인이 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아직 고체연료 단계까진 가지 않았다는 게 국정원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일 북한이 시험 발사한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북극성-3형’에 대해선 “신규 제작한 발사 장비로 대지에서 발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북한이 신포조선소에서 기존 로미오급을 개조한 신형 잠수함을 건조하고 있으며 마무리 단계라 주시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해당 잠수함은 전폭이 약 7m, 전장은 약 80m로 추정된다.
김정은의 금강산 내 남측 시설 철거 지시에 대해선 “대남뿐만 아니라 대미 협박용”이라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대미 외교 총책임자인 최선희 외무성 제1부상이 김정은의 금강산 현지 시찰에 동행한 것을 근거로 들었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