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내년 韓경제성장률 2.2% 전망…환율은 1169원 예상"
입력
수정
국고채 3년물 연평균 금리는 1.4% 전망한국금융연구원은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2.2%로 전망했다.금융연구원은 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2020 경제 및 금융 전망 세미나'를 열고 이런 전망치를 내놨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9%로, 지난 8월 전망(2.1%) 때보다 낮춰 잡았다.
연구원은 내년 글로벌 교역량 반등과 반도체 시장 개선 전망, 주요국의 완화적인 통화·재정정책 등은 한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이와 함께 정부 정책 등으로 민간소비도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겠지만, 건설 부문 부진과 계속되는 경기 불확실성, 가계 소비심리 악화가 전체 성장률에 하방 압력을 가할 것으로 판단했다.
올해와 내년 국내총생산(GDP) 항목별 증가율은 민간소비 1.8% → 2.1%, 설비투자 -7.9% → 3.6%, 건설투자 -4.5% → -3.9%, 총수출 1.7 → 2.9%, 총수입 -1.0% →1.4%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내년 취업자 수는 22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실업률은 3.9%를 전망했다
연구원은 정부의 일자리 확대 정책은 고용에 긍정적이겠지만 인구구조 변화와 글로벌 교역 부진, 경기회복 지연 등이 마이너스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1%다.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겠지만, 대외 불확실성과 국내 경기회복 지연이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출 전망이다.
연구원은 또 내년 국고채 3년물 연평균 금리는 1.4%, 경상수지는 534억달러 흑자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원/달러 평균 환율은 올해(1,166원)보다 소폭 높은 달러당 1,169원으로 예상했다.금융시장은 내년에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하면서 올해와 비슷한 추세를 보이겠지만,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주식시장은 국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는 있지만, 주요국 경기둔화로 큰 폭의 상승 가능성은 작다는 게 연구원의 전망이다.
금융산업의 현실도 녹록지 않다.
연구원은 국내은행의 내년 대출자산 성장률이 5% 초중반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에는 5% 중후반이었다.
은행업은 경쟁 심화, 소비자 보호 관련 비용 상승, 수수료 관련 영업의 위축 가능성 등으로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은 7% 초반으로 하락할 것으로 봤다.
순이자마진(NIM) 또한 시장금리의 하락으로 올해보다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보험업과 카드업, 리스·할부 금융업 등 비은행 금융업도 모두 수익성과 성장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우리 경제가 현재 잠재성장률을 크게 밑도는 부진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상황"이라며 "대내외 여건의 구조적인 변화도 중장기적인 성장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 하강 위험에 대응해 단기적으로는 통화·재정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중장기 측면에서는 누적된 가계 부채, 인구 고령화, 산업 경쟁력 약화 등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하는 등 성장잠재력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저금리 장기화로 금융사의 과도한 위험자산 투자, 가계의 부채 확대 등이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내년 경제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함께 제기됐다.
토론자로 참석한 장재철 KB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금융연구원의 전망치가 다소 낙관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미·중 무역분쟁에 의한 불확실성과 디플레이션 우려, 소비 증가세 등을 고려할 때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대로 경기 하방압력도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재정지출을 늘리는 것도 좋지만 신흥국에서 하는 감세 정책도 조심스럽게 검토해봐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광희 기획재정부 종합정책과장은 "불확실성은 있겠지만 내년엔 회복 흐름을 가져갈 것이란 게 정부의 인식"이라며 "특히 설비투자 면에서 유지보수 외에 기업의 새로운 투자를 끌어내기 위해 어떤 인센티브를 줄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병희 기재부 국제금융과장은 "올해는 대부분의 국가가 금리를 인하하고 일종의 양적 완화를 통해 상당한 유동성을 공급해왔기 때문에 내년에는 완화 정책의 여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유 과장은 "저금리 기조로 금융시장의 취약성이 누적되고 나중에 금융 불안을 가져올 수 있다는 걸 IMF뿐만 아니라 정부도 인지하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여러 요인을 점검하고, 국제금융기구와도 협업해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9%로, 지난 8월 전망(2.1%) 때보다 낮춰 잡았다.
연구원은 내년 글로벌 교역량 반등과 반도체 시장 개선 전망, 주요국의 완화적인 통화·재정정책 등은 한국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했다.이와 함께 정부 정책 등으로 민간소비도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이겠지만, 건설 부문 부진과 계속되는 경기 불확실성, 가계 소비심리 악화가 전체 성장률에 하방 압력을 가할 것으로 판단했다.
올해와 내년 국내총생산(GDP) 항목별 증가율은 민간소비 1.8% → 2.1%, 설비투자 -7.9% → 3.6%, 건설투자 -4.5% → -3.9%, 총수출 1.7 → 2.9%, 총수입 -1.0% →1.4%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 내년 취업자 수는 22만명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실업률은 3.9%를 전망했다
연구원은 정부의 일자리 확대 정책은 고용에 긍정적이겠지만 인구구조 변화와 글로벌 교역 부진, 경기회복 지연 등이 마이너스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1%다.국제유가와 농산물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겠지만, 대외 불확실성과 국내 경기회복 지연이 수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출 전망이다.
연구원은 또 내년 국고채 3년물 연평균 금리는 1.4%, 경상수지는 534억달러 흑자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원/달러 평균 환율은 올해(1,166원)보다 소폭 높은 달러당 1,169원으로 예상했다.금융시장은 내년에도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하면서 올해와 비슷한 추세를 보이겠지만,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연구원은 내다봤다.
주식시장은 국내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는 있지만, 주요국 경기둔화로 큰 폭의 상승 가능성은 작다는 게 연구원의 전망이다.
금융산업의 현실도 녹록지 않다.
연구원은 국내은행의 내년 대출자산 성장률이 5% 초중반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에는 5% 중후반이었다.
은행업은 경쟁 심화, 소비자 보호 관련 비용 상승, 수수료 관련 영업의 위축 가능성 등으로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은 7% 초반으로 하락할 것으로 봤다.
순이자마진(NIM) 또한 시장금리의 하락으로 올해보다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보험업과 카드업, 리스·할부 금융업 등 비은행 금융업도 모두 수익성과 성장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우리 경제가 현재 잠재성장률을 크게 밑도는 부진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상황"이라며 "대내외 여건의 구조적인 변화도 중장기적인 성장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경기 하강 위험에 대응해 단기적으로는 통화·재정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용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중장기 측면에서는 누적된 가계 부채, 인구 고령화, 산업 경쟁력 약화 등 한국 경제의 구조적 취약성을 개선하는 등 성장잠재력을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저금리 장기화로 금융사의 과도한 위험자산 투자, 가계의 부채 확대 등이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한 철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내년 경제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함께 제기됐다.
토론자로 참석한 장재철 KB증권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금융연구원의 전망치가 다소 낙관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미·중 무역분쟁에 의한 불확실성과 디플레이션 우려, 소비 증가세 등을 고려할 때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대로 경기 하방압력도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재정지출을 늘리는 것도 좋지만 신흥국에서 하는 감세 정책도 조심스럽게 검토해봐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광희 기획재정부 종합정책과장은 "불확실성은 있겠지만 내년엔 회복 흐름을 가져갈 것이란 게 정부의 인식"이라며 "특히 설비투자 면에서 유지보수 외에 기업의 새로운 투자를 끌어내기 위해 어떤 인센티브를 줄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병희 기재부 국제금융과장은 "올해는 대부분의 국가가 금리를 인하하고 일종의 양적 완화를 통해 상당한 유동성을 공급해왔기 때문에 내년에는 완화 정책의 여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유 과장은 "저금리 기조로 금융시장의 취약성이 누적되고 나중에 금융 불안을 가져올 수 있다는 걸 IMF뿐만 아니라 정부도 인지하고 있다"며 "내부적으로 여러 요인을 점검하고, 국제금융기구와도 협업해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