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워크·우버·에어비앤비 등 공유기업 줄줄이 수익 악화
입력
수정
지면S5
Cover Story - 위기의 공유경제위워크, 우버, 에어비앤비 등 글로벌 공유경제 업체들이 휘청이고 있다. 세계적인 유망 기업으로 투자금이 몰려들었지만 실적 악화가 계속돼서다. 기업이 돈을 벌기 위해선 비용보다 이익이 더 커야 하지만 이들 기업은 반대다. 순손실이 커지자 이들 기업은 대규모 감원 등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감원·사업철수 등 대책 부심…공유경제 수익 회의론도
기업가치 5분의 1 토막 난 위워크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세계 최대 사무실 공유업체 위워크는 직원 약 4000명 감원을 계획하고 있다. 전체 직원 1만4000명의 약 28.5%에 달하는 규모다. 이 계획은 위워크가 속속 내놓고 있는 비용절감 조치의 일환이다. 위워크는 최근 부동산 신규 임차를 중단했다. 해외사업도 대폭 줄인다. 미국과 유럽, 일본 등에 주력하고 중국, 인도, 남미 일대에선 사업 대부분을 철수한다.
위워크는 올 들어 약 10개월 만에 기업가치가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다. 지난 1월 일본 소프트뱅크는 위워크에 대규모 투자를 하면서 위워크 기업가치를 470억달러(약 54조5000억원)로 평가했다. 반면 지난달 말 소프트뱅크는 현금난에 시달리는 위워크의 파산을 막기 위해 구제금융을 제공하면서 기업가치를 80억달러(약 9조원)로 대폭 낮춰 잡았다. 이는 위워크의 실적이 시장 기대를 크게 밑돌기 때문이다. 위워크는 작년 매출 18억달러(약 2조원)에 순손실 16억달러(약 1조8570억원)를 기록했다. 위워크는 이 실적 발표에 이어 미국 뉴욕증시에 기업공개(IPO)를 한다는 계획을 철회했다.
주요 외신은 막대한 임차료가 나가는 사업모델부터가 한계라고 지적한다. 위워크는 세계 27개국, 111개 도시에서 공유 사무실 500여 곳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입지에 들어선 건물을 빌리고, 공간 일부를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 등에 공유 사무실로 재임대하는 방식으로 영업한다. 워싱턴포스트는 “위워크가 현재 빌린 사무공간에 대해 내년에 내야 하는 임차료만 470억달러(약 54조5000억원)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위워크는 그동안 공간을 공유하는 정보기술(IT) 기업으로 포장됐지만 실상은 일반 부동산 기업과 다르지 않다”고 분석했다.
우버·에어비앤비도 실적 악화 ‘골치’
세계 최대 공유차량 기업 우버도 비용 절감을 위해 대규모 감원을 하고 있다. 지난달엔 직원 350명을 해고한다고 밝혔다. 최근 석 달간 나온 세 번째 구조조정 조치다. 우버는 지난 7월 400명, 9월에 435명을 해고했다. 우버는 지난 5월 뉴욕증시 상장 이후 주가가 계속 공모가를 밑돌고 있다. 상장 직전 기업가치를 760억달러(약 88조원)로 평가받았지만 이달 초 기준 시가총액은 528억달러(약 61조원)에 그친다.실적 악화도 심각하다. 우버는 올해 3분기(7~9월)에 11억6000만달러(약 1조3470억원) 규모 손실을 냈다고 지난 4일 발표했다. 전년 동기 손실폭(9억8600만달러)을 크게 웃돈다. 다라 코스로샤히 우버 최고경영자(CEO)는 “기존엔 빠른 성장을 최우선 목표로 삼았지만 이제는 효율성과 수익성을 중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숙박 공유업체 에어비앤비도 수익성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지난달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에어비앤비의 올해 1분기 손실은 3억600만달러(약 3550억원)에 달했다.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수준이다. 매출(8억3900만달러)이 1년 전보다 31% 늘긴 했지만 같은 기간 비용이 47% 증가하면서 손실폭이 더 커졌다.에어비앤비도 외형 확장을 위해 마케팅에 큰돈을 쏟아부으며 실적이 악화됐다. 1분기 에어비앤비의 마케팅 부문 투자액은 작년 동기 대비 58% 늘어난 3억6700만달러(약 4303억원)였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이번 실적은 에어비앤비 수익성에 대한 의심을 키워 내년 상장 계획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공유경제 스타트업 가치 의문 커져”
주요 외신은 최근 투자자들 사이에서 공유경제 기업의 가치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는 “그간 투자자들은 공유경제 스타트업의 내실보다는 미래 청사진만 보고 큰돈을 쉽게 투자했다”며 “이는 장기간 지속될 수 없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미국 IT기업 라이브퍼슨을 1995년 창립해 운영하고 있는 로버트 로카시오 최고경영자(CEO)는 파이낸셜타임스에 “요즘 스타트업들은 초반에 쉽게 수십억달러의 투자를 받아내면서 영웅 대접을 받지만 정작 증시 상장을 앞두고 수익모델을 검토해보면 실제 기업가치가 크게 줄어드는 사례가 많다”고 지적했다.
NIE 포인트대표적인 공유경제 기업들을 알아보고 이들 기업의 사업모델을 정리해보자. 2000년대 ‘닷컴 버블’에 대해서도 조사해보자. 공유경제가 주춤하는 이유와 5년 후 세계 공유경제업계가 어떤 모습으로 변할지 토론해보자.
선한결 한국경제신문 국제부 기자 alwa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