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경의 컬처insight] 넷플릭스와 극장의 공존은 가능할까
입력
수정
넷플릭스가 자체 제작한 영화는 넷플릭스에서만 보는 것이라 여겼다. 그런데 가까운 멀티플렉스에서도 넷플릭스 영화를 볼 수 있게 됐다. ‘더 킹: 헨리 5세’가 지난달 23일 메가박스에서 개봉한 것이다. 넷플릭스 영화를 상영한 건 CGV, 롯데시네마 포함 국내 3대 멀티플렉스 중 최초다. 그동안 넷플릭스 영화 상영을 강력히 거부해온 멀티플렉스 입장에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극장 개봉 자체가 국내에서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하지만 멀티플렉스의 거부로 대한극장 등 일부 극장에서만 상영됐다. 이제 멀티플렉스의 견고한 문이 하나씩 열리기 시작하면. 보다 큰 변화가 시작될 것 같다. 플랫폼간 경계를 인식조차 못한 채, 근처 극장에 쓱 들어가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 영화를 보고 있게 되지 않을까.그동안 넷플릭스와 멀티플렉스 사이에 이어져 온 갈등의 원인은 ‘홀드백(holdback)’에 있다. 홀드백은 1차 플랫폼에서 상영된 후 2차 플랫폼에서 상영되는 데 걸리는 기간을 이른다. 통상 극장에 개봉된 후 주문형 비디오(VOD) 등으로 공개되기까지 기간을 의미한다. 최근엔 넷플릭스와 같은 OTT가 생겨나면서, 극장에서 OTT로 옮겨까지의 기간을 뜻하기도 한다.
넷플릭스는 이런 홀드백 관행을 계속해서 깨 왔다. 넷플릭스 자체 플랫폼과 극장에서 동시 공개를 하거나 또는 단 며칠의 간격을 두고 극장 상영을 시도하고 있다. 2015년 첫 오리지널 영화 ‘비스트 오브 노 네이션’을 공개했을 때부터 미국 극장에서 동시 개봉을 하려 했다. 극장이라는 기존 플랫폼의 권위에 끊임없이 도전하면서도, 새로운 플랫폼의 이점을 함께 취하려는 전략이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다. 넷플릭스는 2017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를 자사 플랫폼과 극장에 동시 개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멀티플렉스와 많은 갈등을 겪었다. 지난해에도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로마’를 극장 개봉 후 단 이틀만에 넷플릭스에서 공개하기로 해 큰 논란이 됐다. 두 작품의 멀티플렉스 상영은 결국 좌초됐고, 대한극장 등에서 개봉되는 데 그쳤다.겉으론 홀드백 갈등으로만 보이지만, 저변엔 보다 근원적인 두려움이 깔려 있다. OTT에 주도권을 한번 빼앗겨 버리면, 극장의 생존이 장기적으로 위협받을 수 있다는 공포심이다. 그렇다고 이런 변화를 무작정 외면할 수도 없다. 굳이 극장에 가지 않아도, 침대에 누워 휴대폰으로 최신 영화를 볼 수 있는 세상이다. 이로 인해 하루가 다르게 극장의 수익성도 악화되고 있고, 다른 돌파구를 딱히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이 극장만의 고민은 아닌 것 같다. 넷플릭스도 계속 멀티플렉스 상영이 좌초되자,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더 킹: 헨리 5세’에선 홀드백 설정에 약간의 변화가 일어나기도 했다. 극장에서 개봉한 후 9일 후인 11월 1일에 넷플릭스에서 작품을 공개했다. 이전보다 훨씬 더 길어진 홀드백. 넷플릭스가 시장 확대를 위해 좀더 유연한 태도를 취한 것을 알 수 있다.
더이상 패권을 빼앗길 수 없는 극장, 그 힘 위에 올라타려는 OTT. 이 플랫폼간의 아슬아슬한 공존이 시작되고 있다. 과연 그 끝엔 어떤 결과가 기다리고 있을까. 적자생존이 이뤄질까, 아님 서로 윈윈하게 될까. 나날이 급변하는 플랫폼 환경 속에서 그 결과가 궁금해진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
극장 개봉 자체가 국내에서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하지만 멀티플렉스의 거부로 대한극장 등 일부 극장에서만 상영됐다. 이제 멀티플렉스의 견고한 문이 하나씩 열리기 시작하면. 보다 큰 변화가 시작될 것 같다. 플랫폼간 경계를 인식조차 못한 채, 근처 극장에 쓱 들어가 온라인동영상스트리밍(OTT) 영화를 보고 있게 되지 않을까.그동안 넷플릭스와 멀티플렉스 사이에 이어져 온 갈등의 원인은 ‘홀드백(holdback)’에 있다. 홀드백은 1차 플랫폼에서 상영된 후 2차 플랫폼에서 상영되는 데 걸리는 기간을 이른다. 통상 극장에 개봉된 후 주문형 비디오(VOD) 등으로 공개되기까지 기간을 의미한다. 최근엔 넷플릭스와 같은 OTT가 생겨나면서, 극장에서 OTT로 옮겨까지의 기간을 뜻하기도 한다.
넷플릭스는 이런 홀드백 관행을 계속해서 깨 왔다. 넷플릭스 자체 플랫폼과 극장에서 동시 공개를 하거나 또는 단 며칠의 간격을 두고 극장 상영을 시도하고 있다. 2015년 첫 오리지널 영화 ‘비스트 오브 노 네이션’을 공개했을 때부터 미국 극장에서 동시 개봉을 하려 했다. 극장이라는 기존 플랫폼의 권위에 끊임없이 도전하면서도, 새로운 플랫폼의 이점을 함께 취하려는 전략이다.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다. 넷플릭스는 2017년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를 자사 플랫폼과 극장에 동시 개봉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로 인해 멀티플렉스와 많은 갈등을 겪었다. 지난해에도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로마’를 극장 개봉 후 단 이틀만에 넷플릭스에서 공개하기로 해 큰 논란이 됐다. 두 작품의 멀티플렉스 상영은 결국 좌초됐고, 대한극장 등에서 개봉되는 데 그쳤다.겉으론 홀드백 갈등으로만 보이지만, 저변엔 보다 근원적인 두려움이 깔려 있다. OTT에 주도권을 한번 빼앗겨 버리면, 극장의 생존이 장기적으로 위협받을 수 있다는 공포심이다. 그렇다고 이런 변화를 무작정 외면할 수도 없다. 굳이 극장에 가지 않아도, 침대에 누워 휴대폰으로 최신 영화를 볼 수 있는 세상이다. 이로 인해 하루가 다르게 극장의 수익성도 악화되고 있고, 다른 돌파구를 딱히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것이 극장만의 고민은 아닌 것 같다. 넷플릭스도 계속 멀티플렉스 상영이 좌초되자, 많은 고민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더 킹: 헨리 5세’에선 홀드백 설정에 약간의 변화가 일어나기도 했다. 극장에서 개봉한 후 9일 후인 11월 1일에 넷플릭스에서 작품을 공개했다. 이전보다 훨씬 더 길어진 홀드백. 넷플릭스가 시장 확대를 위해 좀더 유연한 태도를 취한 것을 알 수 있다.
더이상 패권을 빼앗길 수 없는 극장, 그 힘 위에 올라타려는 OTT. 이 플랫폼간의 아슬아슬한 공존이 시작되고 있다. 과연 그 끝엔 어떤 결과가 기다리고 있을까. 적자생존이 이뤄질까, 아님 서로 윈윈하게 될까. 나날이 급변하는 플랫폼 환경 속에서 그 결과가 궁금해진다.
김희경 기자 h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