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3대 중요 소비생활분야 '의·식·주'→'식·주·금융'
입력
수정
소비자원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조사…종합소비생활만족도 70점
국내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3대 소비생활 분야는 '식'(식품·외식)과 '주'(주거·가구), 금융(금융·보험)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한국소비자원이 7월24일부터 8월30일까지 20세 이상 남녀 8천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 조사해 13일 발표한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 중 21.4%가 '식품·외식'을 소비생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이어 '주거·가구'(12%), '금융·보험'(11.4%) 등으로 중요하다고 답했다.
소비생활 11개 분야 중 '금융·보험'이 3순위 안에 포함된 것은 2013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반면 그동안 계속 3순위 안에 포함됐던 의류는 이번 조사에서 병원·의료, 교육에 이어 중요도가 6순위로 밀려났다.
식품·외식 분야는 지금까지 4번의 조사에서 계속 1위를 차지했으나 중요도 비중은 2013년 첫 조사 때 40.8%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소비자가 체감하는 종합 소비생활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9.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평가됐다.2017년 조사 때의 76.6점보다는 하락했지만 2015년 63.8점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소비생활 만족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71점을 받은 식품·외식이었고 금융·보험은 67.9점으로 가장 만족도가 낮았다.
응답자 중 52.6%는 지난 2년간 11개 소비생활분야 26개 품목에서 소비자 문제를 경험했다고 답했다.소비자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한 분야는 식품·외식이었고 이어 정보통신, 의류 순이었다.
구매로 실제 신체·생명·재산상 구체적 피해를 경험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품목은 '배달·포장음식/식품'(7.2%)이었다.
소비자문제 유형 중 '거래 시 사업자 부당행위' 경험이 많은 분야는 보험, 정보통신기기, 금융 거래 순이었으며, '거짓·과장·기만 표시광고' 경험은 배달·포장음식/식품, 외식, 식료품, 의약품 순으로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거래방식별 월평균 이용 횟수는 편의점이 6.9회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형마트(4.6회), 재래시장(3.8회), 모바일 쇼핑(3.3회), 로컬 푸드 마켓(3.0회), 인터넷 쇼핑(2.8회) 순으로 많았다.
소비자 문제 경험률은 전화권유판매(67.1%), 해외직구(50.4%), SNS 플랫폼 쇼핑(49.4%)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에서 불만을 경험한 소비자 중 64.6%가 이의를 제기했으며 이의 제기 후 사업자 대응에 대해서는 '만족' 응답이 31.1%로 '불만족'(10.9%)보다 3배가량 많았다.
지역별로 종합 소비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은 대구(76.8점)였으며 이어 부산(73.4점), 울산(72.2점) 등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소비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은 광역지방자치단체는 제주(62.8점)였다.
소비자원은 2년마다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의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1.10%P다.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의 제5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수립에 참고자료로 제공하고 지역 맞춤형 소비자정책 발굴과 소비자행정 활성화에도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국내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3대 소비생활 분야는 '식'(식품·외식)과 '주'(주거·가구), 금융(금융·보험)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한국소비자원이 7월24일부터 8월30일까지 20세 이상 남녀 8천명을 대상으로 면접 설문 조사해 13일 발표한 '2019 한국의 소비생활지표' 자료에 따르면 응답자 중 21.4%가 '식품·외식'을 소비생활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꼽았다.
이어 '주거·가구'(12%), '금융·보험'(11.4%) 등으로 중요하다고 답했다.
소비생활 11개 분야 중 '금융·보험'이 3순위 안에 포함된 것은 2013년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반면 그동안 계속 3순위 안에 포함됐던 의류는 이번 조사에서 병원·의료, 교육에 이어 중요도가 6순위로 밀려났다.
식품·외식 분야는 지금까지 4번의 조사에서 계속 1위를 차지했으나 중요도 비중은 2013년 첫 조사 때 40.8%의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소비자가 체감하는 종합 소비생활만족도는 100점 만점에 69.9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평가됐다.2017년 조사 때의 76.6점보다는 하락했지만 2015년 63.8점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소비생활 만족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71점을 받은 식품·외식이었고 금융·보험은 67.9점으로 가장 만족도가 낮았다.
응답자 중 52.6%는 지난 2년간 11개 소비생활분야 26개 품목에서 소비자 문제를 경험했다고 답했다.소비자 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한 분야는 식품·외식이었고 이어 정보통신, 의류 순이었다.
구매로 실제 신체·생명·재산상 구체적 피해를 경험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품목은 '배달·포장음식/식품'(7.2%)이었다.
소비자문제 유형 중 '거래 시 사업자 부당행위' 경험이 많은 분야는 보험, 정보통신기기, 금융 거래 순이었으며, '거짓·과장·기만 표시광고' 경험은 배달·포장음식/식품, 외식, 식료품, 의약품 순으로 많았던 것으로 조사됐다.거래방식별 월평균 이용 횟수는 편의점이 6.9회로 가장 많았고 이어 대형마트(4.6회), 재래시장(3.8회), 모바일 쇼핑(3.3회), 로컬 푸드 마켓(3.0회), 인터넷 쇼핑(2.8회) 순으로 많았다.
소비자 문제 경험률은 전화권유판매(67.1%), 해외직구(50.4%), SNS 플랫폼 쇼핑(49.4%)에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에서 불만을 경험한 소비자 중 64.6%가 이의를 제기했으며 이의 제기 후 사업자 대응에 대해서는 '만족' 응답이 31.1%로 '불만족'(10.9%)보다 3배가량 많았다.
지역별로 종합 소비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은 대구(76.8점)였으며 이어 부산(73.4점), 울산(72.2점) 등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소비생활만족도가 가장 낮은 광역지방자치단체는 제주(62.8점)였다.
소비자원은 2년마다 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의 신뢰수준은 95%, 표본오차는 ±1.10%P다.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정부의 제5차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수립에 참고자료로 제공하고 지역 맞춤형 소비자정책 발굴과 소비자행정 활성화에도 활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