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대미 대화기조 속에도 南 철저 외면…"南, 美 무서워 해"
입력
수정
꽉막힌 남북교류 속 문재인 정부에 대한 기대 접은 듯…北, 南의 대미종속 비아냥북한이 미국과 대화에는 유화적 태도를 보이면서도 남측에는 눈길조차 주지 않고 냉담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다.'기대했던' 문재인 정부가 미국의 눈치만 보면서 남북관계를 한미동맹에 철저히 종속시키고 있다는 북한 지도부의 불신이 자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조선중앙통신은 15일 '금강산은 북과 남의 공유물이 아니다' 제목의 기사에서 금강산 지역의 남측 시설 철거를 재차 촉구하며 남측 당국의 '대미추종'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통신은 "사대의식에 쩌들은 남쪽의 위정자들은 풍전등화의 이 시각에조차 정신 못 차리고 '금강산관광 문제를 조미 협상에서 다루어야 한다', '비핵화 협상이 진전되어야만 실효적인 관광 협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얼빠진 소리를 하면서 미국에까지 찾아가 속사정을 털어보려고 하지만 상전의 표정은 냉담하기만 하다"라고 비아냥거렸다.또 "미국이 무서워 10여년 동안이나 금강산관광 시설들을 방치해두고 나앉아있던 남조선당국이 철거 불똥이 발등에 떨어져서야 화들짝 놀라 관광 재개에도 끼워달라고 청탁하고 있으니 가련하다 해야 하겠는가 아니면 철면피하다 해야 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전날 김영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의 담화는 더욱 직설적이다.
그는 한미연합공중훈련 축소 가능성을 시사한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한 것이라고 믿고 싶다면서 "나는 그가 이러한 결심을 남조선 당국과 사전에 합의하고 내렸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특히 이 같은 판단과 관련해 그는 "왜냐하면 남조선 정계를 아무리 둘러보아도 이런 현명한 용단을 내릴 인물이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에서 북한 지도부가 문재인 정부의 한미동맹 우선 정책에 대한 불만을 넘어 한미관계를 '주종관계'로 인식하고 있음을 읽을 수 있다.
사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북한 지도부의 불신은 남북 정상이 선언한 합의가 대북제재에 기반한 한미동맹에 밀리면서 축적돼 오다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을 기점으로 절정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김정은 정권은 지난해 한반도의 정세변화를 위한 노력 과정에서 선대와 달리 문재인 정부에 기대어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영변 핵시설 '폐기'를 결단하는 등 대남 의존도를 키웠다.그러나 인도적 차원의 독감(인플루엔자) 치료제 타미플루 지원조차 물거품 되는 등 남측이 미국 주도의 대북제재에 지속해서 발을 맞추면서 남측 정부에 대한 기대를 완전히 접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 당국자들과 매체들이 문 대통령을 향해 "말과 행동이 다르다"라거나 '위선'과 '이중적 태도'를 주장하며 거친 막말을 쏟아내는가 하면 남측을 겨냥해 빈번한 '무력시위'를 강행한 데서도 북측 지도부의 배신감과 불신이 드러난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4월 전 세계에 공개한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문 대통령에게 "오지랖 넓은 '중재자·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라고 운운하기도 했다.
심지어 자연재해와 경제난에 아프리카돼지열병까지 겹치면서 올해 식량난이 최악으로 치닫는 상황에서도 남쪽의 식량 지원을 외면, '굶어 죽을지언정 남측의 지원 따위는 받지 않겠다'는 결기를 보였다.북한이 금강산의 남측 시설 철거를 결정하고 자체 개발을 강행하면서 이와 관련한 남북 간 논의도 대면 대신 서면을 고집하는 것 역시 어차피 만나봐야 미국의 허가 없이는 문재인 정부가 남북관계에서 한발짝도 움직이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이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은 북미 대화가 진전되더라도 남북관계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분리 전략으로 가는 것"이라며 "연말 북미협상이 재개되어도 신년사 등에서 대남기조를 밝힐 자리가 있으면 한국을 철저히 배제하는 입장을 정리해 밝힐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15일 '금강산은 북과 남의 공유물이 아니다' 제목의 기사에서 금강산 지역의 남측 시설 철거를 재차 촉구하며 남측 당국의 '대미추종'에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통신은 "사대의식에 쩌들은 남쪽의 위정자들은 풍전등화의 이 시각에조차 정신 못 차리고 '금강산관광 문제를 조미 협상에서 다루어야 한다', '비핵화 협상이 진전되어야만 실효적인 관광 협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얼빠진 소리를 하면서 미국에까지 찾아가 속사정을 털어보려고 하지만 상전의 표정은 냉담하기만 하다"라고 비아냥거렸다.또 "미국이 무서워 10여년 동안이나 금강산관광 시설들을 방치해두고 나앉아있던 남조선당국이 철거 불똥이 발등에 떨어져서야 화들짝 놀라 관광 재개에도 끼워달라고 청탁하고 있으니 가련하다 해야 하겠는가 아니면 철면피하다 해야 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전날 김영철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의 담화는 더욱 직설적이다.
그는 한미연합공중훈련 축소 가능성을 시사한 마크 에스퍼 미국 국방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반영한 것이라고 믿고 싶다면서 "나는 그가 이러한 결심을 남조선 당국과 사전에 합의하고 내렸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특히 이 같은 판단과 관련해 그는 "왜냐하면 남조선 정계를 아무리 둘러보아도 이런 현명한 용단을 내릴 인물이 없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에서 북한 지도부가 문재인 정부의 한미동맹 우선 정책에 대한 불만을 넘어 한미관계를 '주종관계'로 인식하고 있음을 읽을 수 있다.
사실 문재인 정부에 대한 북한 지도부의 불신은 남북 정상이 선언한 합의가 대북제재에 기반한 한미동맹에 밀리면서 축적돼 오다가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을 기점으로 절정에 달했다고 할 수 있다.김정은 정권은 지난해 한반도의 정세변화를 위한 노력 과정에서 선대와 달리 문재인 정부에 기대어 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을 성사시키고 영변 핵시설 '폐기'를 결단하는 등 대남 의존도를 키웠다.그러나 인도적 차원의 독감(인플루엔자) 치료제 타미플루 지원조차 물거품 되는 등 남측이 미국 주도의 대북제재에 지속해서 발을 맞추면서 남측 정부에 대한 기대를 완전히 접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 당국자들과 매체들이 문 대통령을 향해 "말과 행동이 다르다"라거나 '위선'과 '이중적 태도'를 주장하며 거친 막말을 쏟아내는가 하면 남측을 겨냥해 빈번한 '무력시위'를 강행한 데서도 북측 지도부의 배신감과 불신이 드러난다.
김정은 위원장은 지난 4월 전 세계에 공개한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문 대통령에게 "오지랖 넓은 '중재자·촉진자' 행세를 할 것이 아니라"라고 운운하기도 했다.
심지어 자연재해와 경제난에 아프리카돼지열병까지 겹치면서 올해 식량난이 최악으로 치닫는 상황에서도 남쪽의 식량 지원을 외면, '굶어 죽을지언정 남측의 지원 따위는 받지 않겠다'는 결기를 보였다.북한이 금강산의 남측 시설 철거를 결정하고 자체 개발을 강행하면서 이와 관련한 남북 간 논의도 대면 대신 서면을 고집하는 것 역시 어차피 만나봐야 미국의 허가 없이는 문재인 정부가 남북관계에서 한발짝도 움직이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이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북한은 북미 대화가 진전되더라도 남북관계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분리 전략으로 가는 것"이라며 "연말 북미협상이 재개되어도 신년사 등에서 대남기조를 밝힐 자리가 있으면 한국을 철저히 배제하는 입장을 정리해 밝힐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