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2 지진에 물주입 멈췄다면 포항강진 발생 가능성 1% 미만"(종합)
입력
수정
샤피로 독일 베를린자유대 교수, 15일 국제 심포지엄서 주장
2017년 11월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인재'(人災)라는 조사 결과가 올해 초 발표된 가운데 수차례 나타난 '전조'를 간과해 강진을 막을 기회를 놓쳤다는 주장이 재차 제기됐다. 세르지 샤피로 독일 베를린자유대 교수는 15일 밀레니엄힐튼서울에서 열린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 주최 '2019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에서 "(2016년 12월 23일)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유체주입을 멈췄으면 포항지진의 발생확률을 1% 미만, (2017년 4월 15일) 규모 3.3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유체주입을 멈췄으면 포항지진 발생확률을 3% 미만으로 낮출 수 있었다"는 의견을 냈다.
다만 그는 "이는 간단한 가정에 기반해 계산한 초기적인 연구 결과"라고 전제하며 "다른 요소를 더 반영해서 연구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샤피로 교수는 이어 "EGS(심부지열발전) 자극 같은 경우 지진 활동을 촉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면서 "스위스 바젤에서 일어난 규모 3.2의 지진이 대표 사례"라고 설명했다. ◇ 포항지진은 '인재'…"10회 넘는 경고음을 무시"
올해 3월 정부조사연구단은 2017년 포항에서 발생한 강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의 활동으로 촉발됐다고 발표했다.
지열발전소에는 시추공(지열정) 2개(PX-1·PX-2)가 있는데, 조사단은 PX-2로 유체(물)를 주입할 때, 그 영향으로 단층이 어긋나며 강진이 발생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연구단장을 맡았던 이강근 서울대 교수는 심포지엄에서 이런 결과를 다시 소개하며 "5차 수리 자극 뒤 포항지진의 전진과 본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조사단의 공식 발표 당시에도 이 강진이 일어나기 전 규모 3.0 내외의 지진이 발생한 것을 '위험 신호'로 포착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김광희 부산대 교수는 당시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진을 막을 기회가 여러 번 있었는데 놓쳤다.
이수(진흙 등이 포함된 물) 누출이나 미소지진 발생 등 문제가 생기면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는 과정이 있는데, 그게 미흡했던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도 김 교수는 "PX2 약 3천800m 깊이에서 652㎥의 이수가 누출됐을 때, 수리자극을 할 때마다 지진이 있었을 때 조사를 해야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시추 이전단계에서도 지진 위험성, 위해성 분석이 미비했고 지하 단층 조사도 부족했다"면서 "10번 이상의 '경고음'이 있었는데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 "포항EGS 연구진, 시추공 근처 단층 존재 알았을 것"
정부조사연구단에 해외연구진으로 참여한 시마모토 도시히코 일본 교토대 교수도 "미소지진을 모니터링하는 게 EGS의 표준 도구임에도 포항지열발전소 팀은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고 같은 의견을 냈다.
이 밖에도 그는 포항EGS 연구진을 향한 의혹을 여럿 제기했다.
시마모토 교수는 "기록이 잘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연구진이 시추공 근처의 단층에 존재를 알았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그러면서도 "위치 분석은 완전히 틀렸고 단층암 조사는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진이나 지질학적인 기초 없이 어떻게 지열발전 프로젝트 추진이 승인됐는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국가의 경우 EGS 프로젝트 기간이 20년 정도인데 비해 포항의 경우엔 2013년부터 2017년으로 기간이 짧은 것도 의아하다고 말했다.
시마모토 교수는 또 "연구하는 입장에서 (이 프로젝트와 관련된) 자료를 얻기 어려웠다"고 토로하며 "모든 관련 자료를 즉시 공개해야 하며, 이를 활용한 국제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의 영향이라는 의혹을 처음 제기했던 이진한 고려대 교수 역시 "물이 (단층에) 직접 주입되면 적은 양으로도 큰 규모의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포항지진을 일으킨 단층은 복잡한 구조로 이뤄졌다"고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한편 강태섭 부경대 교수는 이날 포항지진의 여진 모니터링 결과, 규모 2.0 이상의 여진이 100회 정도 발생했지만, 발생 빈도가 점차 줄어 작년 4월부터는 이런 규모의 여진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현재까지 이 부지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어서 추가 장비를 구축한 뒤 연구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2017년 11월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인재'(人災)라는 조사 결과가 올해 초 발표된 가운데 수차례 나타난 '전조'를 간과해 강진을 막을 기회를 놓쳤다는 주장이 재차 제기됐다. 세르지 샤피로 독일 베를린자유대 교수는 15일 밀레니엄힐튼서울에서 열린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 주최 '2019 포항지진 2주년 국제심포지엄'에서 "(2016년 12월 23일)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유체주입을 멈췄으면 포항지진의 발생확률을 1% 미만, (2017년 4월 15일) 규모 3.3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유체주입을 멈췄으면 포항지진 발생확률을 3% 미만으로 낮출 수 있었다"는 의견을 냈다.
다만 그는 "이는 간단한 가정에 기반해 계산한 초기적인 연구 결과"라고 전제하며 "다른 요소를 더 반영해서 연구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샤피로 교수는 이어 "EGS(심부지열발전) 자극 같은 경우 지진 활동을 촉발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면서 "스위스 바젤에서 일어난 규모 3.2의 지진이 대표 사례"라고 설명했다. ◇ 포항지진은 '인재'…"10회 넘는 경고음을 무시"
올해 3월 정부조사연구단은 2017년 포항에서 발생한 강진이 인근 지열발전소의 활동으로 촉발됐다고 발표했다.
지열발전소에는 시추공(지열정) 2개(PX-1·PX-2)가 있는데, 조사단은 PX-2로 유체(물)를 주입할 때, 그 영향으로 단층이 어긋나며 강진이 발생했다고 결론을 내렸다.
연구단장을 맡았던 이강근 서울대 교수는 심포지엄에서 이런 결과를 다시 소개하며 "5차 수리 자극 뒤 포항지진의 전진과 본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조사단의 공식 발표 당시에도 이 강진이 일어나기 전 규모 3.0 내외의 지진이 발생한 것을 '위험 신호'로 포착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이 나왔다.
김광희 부산대 교수는 당시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진을 막을 기회가 여러 번 있었는데 놓쳤다.
이수(진흙 등이 포함된 물) 누출이나 미소지진 발생 등 문제가 생기면 원인을 면밀히 파악하는 과정이 있는데, 그게 미흡했던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도 김 교수는 "PX2 약 3천800m 깊이에서 652㎥의 이수가 누출됐을 때, 수리자극을 할 때마다 지진이 있었을 때 조사를 해야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시추 이전단계에서도 지진 위험성, 위해성 분석이 미비했고 지하 단층 조사도 부족했다"면서 "10번 이상의 '경고음'이 있었는데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 "포항EGS 연구진, 시추공 근처 단층 존재 알았을 것"
정부조사연구단에 해외연구진으로 참여한 시마모토 도시히코 일본 교토대 교수도 "미소지진을 모니터링하는 게 EGS의 표준 도구임에도 포항지열발전소 팀은 이를 제대로 수행하지 않았다"고 같은 의견을 냈다.
이 밖에도 그는 포항EGS 연구진을 향한 의혹을 여럿 제기했다.
시마모토 교수는 "기록이 잘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연구진이 시추공 근처의 단층에 존재를 알았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그러면서도 "위치 분석은 완전히 틀렸고 단층암 조사는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지진이나 지질학적인 기초 없이 어떻게 지열발전 프로젝트 추진이 승인됐는지 궁금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국가의 경우 EGS 프로젝트 기간이 20년 정도인데 비해 포항의 경우엔 2013년부터 2017년으로 기간이 짧은 것도 의아하다고 말했다.
시마모토 교수는 또 "연구하는 입장에서 (이 프로젝트와 관련된) 자료를 얻기 어려웠다"고 토로하며 "모든 관련 자료를 즉시 공개해야 하며, 이를 활용한 국제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소의 영향이라는 의혹을 처음 제기했던 이진한 고려대 교수 역시 "물이 (단층에) 직접 주입되면 적은 양으로도 큰 규모의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면서 "포항지진을 일으킨 단층은 복잡한 구조로 이뤄졌다"고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했다.
한편 강태섭 부경대 교수는 이날 포항지진의 여진 모니터링 결과, 규모 2.0 이상의 여진이 100회 정도 발생했지만, 발생 빈도가 점차 줄어 작년 4월부터는 이런 규모의 여진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현재까지 이 부지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어서 추가 장비를 구축한 뒤 연구를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