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물려주는 것보다 파는 게 이득'…"오래된 회사 많아야 하는데 안타까워"
입력
수정
지면A26
클릭! 한경이번주 페이스북에서 가장 많이 공유된 기사는 11월 12일자 <무신사 ‘10번째 유니콘’ 됐다…기업가치 2.2兆>였다. 국내 1위 온라인 패션플랫폼 무신사가 세계 최대 벤처캐피털(VC)인 세쿼이아캐피털에서 2000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면서 2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다는 소식을 단독으로 전했다.

최근 투자로 무신사는 쿠팡,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야놀자 등에 이어 국내 열 번째 유니콘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이 됐다. 네티즌은 “의류 마니아들 사이에 입소문 난 쇼핑몰이 잘돼서 기쁘다” 등의 댓글을 달았다.
이번주 한경닷컴에서 가장 많이 읽힌 기사는 11월 12일자 <중견기업 84% “가업승계 계획 잡지 못해”…“회사 물려주는 것보다 파는 게 더 이득”>이었다.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의 분석 및 시각과 한국의 현실을 담았다.
맥킨지는 보고서에서 “대주주에 대한 상속세 누진세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치가 26.3%지만 한국은 65%로 세계에서 가장 높다”며 “대표에겐 상속보다 사모펀드(PEF)가 더 매력적일 것”이라고 진단했다.
국내 중견기업들은 국내외 경제환경과 경기 침체로 인해 가업승계보다 매각을 선택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네티즌 사이에서는 “역사가 오래된 기업이 많이 나와야 할 텐데 걱정스럽다” 등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