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대통령 '국민과의 대화'는…열린 형식 호평 속 돌발상황도
입력
수정
1990년 노태우 전 대통령이 처음…노무현 전 대통령은 온라인 대화도
방청객끼리 '말싸움' 촌극…'좌파 신자유주의' 등 어록도 등장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TV로 생중계되는 국민과의 대화에 나서면서 역대 대통령들의 '국민과의 대화'는 어땠는지에도 관심이 쏠린다.문 대통령은 2017년 8월, 280여 명의 국민인수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취임 100일간의 국정운영 성과를 알리는 대국민 보고대회를 열어 질문에 답한 바 있으나 당시 질문은 사전에 선정되는 등 이번 '국민과의 대화'와는 차이가 있다.
국민 패널 선정은 물론 질문까지 청와대가 개입하지 않는 진정한 의미의 '국민과의 대화'는 문재인 정부 들어 이번이 처음인 셈이다.
이렇듯 '국민과의 대화'는 대통령이 언론이 아닌 일반 국민과 '열린 형식'으로 소통하는 장이라는 점에서 격의 없는 문답으로 대개 호평을 받았으나 형식이 자유로웠던 탓에 돌발상황 등이 속출하기도 했다.TV 생중계를 통한 '국민과의 대화'를 처음 시도한 대통령은 노태우 전 대통령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1990년 6월 29일, 6·29 선언 3주년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 각계 대표 120명이 참석한 가운데 2시간 30여분 간 국민과의 대화를 진행했다.
건축가와 시민단체 대표, 변호사, 대학생, 은행원 등 총 12명의 질문자는 정치·경제·사회 각 분야의 현안과 관련한 입장을 물었고, 노 전 대통령은 진지하게 답변을 이어갔다.'국민과의 대화'를 본격적인 소통의 장으로 각인시킨 것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는 데 큰 이견이 없어 보인다.김 전 대통령은 당선자 신분이었던 1998년 1월 18일에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줍시다'라는 제목으로 열린 국민과의 대화에 참석했다.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등으로 새 정부의 경제정책 등에 대한 관심이 컸던 덕에 일반 국민의 참가 신청이 줄을 이었고 종합 시청률은 53.3%에 달했다.지금은 자취를 감춘 PC 통신인 천리안(GO-TO-DJ)을 비롯해 팩스, 편지 등으로는 질문이 쇄도했다.
김 전 대통령은 당시 일문일답에서 경제위기와 관련해 "금고 열쇠 받고 열어보니 그 속에 빚문서만 산더미같이 쌓여있는 것과 흡사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같은 해 5월 10일에 두 번째 '국민과의 대화'를 열었다.
이날은 한 방청객이 "나는 득도(得道)한 사람인데 왜 발언권을 주지 않느냐"고 항의하는가 하면 하나의 현안을 두고 입장이 다른 방청객이 맞고함을 치며 싸우는 등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때문에 청와대는 진행 방식의 개선을 검토해 1999년 2월 세 번째 '국민과의 대화'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질문 관련 조사를 의뢰하는 등 사전 준비에 만전을 기했다.
김 전 대통령은 2000년 2월 네 번째 '국민과의 대화'를 추진하다가 16대 총선을 앞둔 시점에 사전선거운동 논란을 피하고자 이를 연기해 2001년 3월에 개최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김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당선자 시절이던 2003년 1월 18일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게 듣는다'라는 이름으로 열린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새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 등을 설명했다.
노 전 대통령은 4명의 패널 외에 70명의 방청객과 인터넷을 통해 즉석에서 들어오는 질문들에 답변했다.
같은 해 5월 2일에는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패널들은 물론 초등학교 교사, 한총련 의장 등 방청객과도 이라크전 파병 문제와 같은 당시의 첨예한 주제를 놓고 이야기를 주고받았다.노 전 대통령은 2005년 8월에 한 차례 더 '국민과의 대화'에 참석한 뒤 2006년 3월 22일에는 당시 5대 포털사이트가 공동으로 주관한 '국민과의 인터넷 대화'를 통해 양극화 문제 등 주요 국정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참여정부가 이념보다 실리를 중시하는 점을 부각하기 위해 '좌파신자유주의'라는 호칭을 스스로 붙인 것도 이 때였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8년 9월 9일 첫 국민과의 대화를 했다.다만 행사의 공식 명칭이 '대통령과의 대화'였다는 점에서 앞선 '국민과의 대화'와 차이를 보였다.
2009년 1월 30일과 같은 해 11월 27일에 열린 행사 때도 '대통령과의 대화'라는 명칭이 쓰였다.
이 전 대통령은 2009년 1월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당시 최대 현안 중 하나였던 '용산 참사'와 관련한 입장을 설명하는 데 공을 들였다.이 전 대통령은 10달 뒤에 열린 '대통령과의 대화'에서는 세종시 건설 원안을 수정한 데 사과의 뜻을 밝혔다.
/연합뉴스
방청객끼리 '말싸움' 촌극…'좌파 신자유주의' 등 어록도 등장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TV로 생중계되는 국민과의 대화에 나서면서 역대 대통령들의 '국민과의 대화'는 어땠는지에도 관심이 쏠린다.문 대통령은 2017년 8월, 280여 명의 국민인수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취임 100일간의 국정운영 성과를 알리는 대국민 보고대회를 열어 질문에 답한 바 있으나 당시 질문은 사전에 선정되는 등 이번 '국민과의 대화'와는 차이가 있다.
국민 패널 선정은 물론 질문까지 청와대가 개입하지 않는 진정한 의미의 '국민과의 대화'는 문재인 정부 들어 이번이 처음인 셈이다.
이렇듯 '국민과의 대화'는 대통령이 언론이 아닌 일반 국민과 '열린 형식'으로 소통하는 장이라는 점에서 격의 없는 문답으로 대개 호평을 받았으나 형식이 자유로웠던 탓에 돌발상황 등이 속출하기도 했다.TV 생중계를 통한 '국민과의 대화'를 처음 시도한 대통령은 노태우 전 대통령이었다.
노 전 대통령은 1990년 6월 29일, 6·29 선언 3주년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국민 각계 대표 120명이 참석한 가운데 2시간 30여분 간 국민과의 대화를 진행했다.
건축가와 시민단체 대표, 변호사, 대학생, 은행원 등 총 12명의 질문자는 정치·경제·사회 각 분야의 현안과 관련한 입장을 물었고, 노 전 대통령은 진지하게 답변을 이어갔다.'국민과의 대화'를 본격적인 소통의 장으로 각인시킨 것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는 데 큰 이견이 없어 보인다.김 전 대통령은 당선자 신분이었던 1998년 1월 18일에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줍시다'라는 제목으로 열린 국민과의 대화에 참석했다.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사태 등으로 새 정부의 경제정책 등에 대한 관심이 컸던 덕에 일반 국민의 참가 신청이 줄을 이었고 종합 시청률은 53.3%에 달했다.지금은 자취를 감춘 PC 통신인 천리안(GO-TO-DJ)을 비롯해 팩스, 편지 등으로는 질문이 쇄도했다.
김 전 대통령은 당시 일문일답에서 경제위기와 관련해 "금고 열쇠 받고 열어보니 그 속에 빚문서만 산더미같이 쌓여있는 것과 흡사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같은 해 5월 10일에 두 번째 '국민과의 대화'를 열었다.
이날은 한 방청객이 "나는 득도(得道)한 사람인데 왜 발언권을 주지 않느냐"고 항의하는가 하면 하나의 현안을 두고 입장이 다른 방청객이 맞고함을 치며 싸우는 등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때문에 청와대는 진행 방식의 개선을 검토해 1999년 2월 세 번째 '국민과의 대화'에는 여론조사 기관에 질문 관련 조사를 의뢰하는 등 사전 준비에 만전을 기했다.
김 전 대통령은 2000년 2월 네 번째 '국민과의 대화'를 추진하다가 16대 총선을 앞둔 시점에 사전선거운동 논란을 피하고자 이를 연기해 2001년 3월에 개최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도 김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당선자 시절이던 2003년 1월 18일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에게 듣는다'라는 이름으로 열린 '국민과의 대화'를 통해 새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 등을 설명했다.
노 전 대통령은 4명의 패널 외에 70명의 방청객과 인터넷을 통해 즉석에서 들어오는 질문들에 답변했다.
같은 해 5월 2일에는 MBC '100분 토론'에 출연해 패널들은 물론 초등학교 교사, 한총련 의장 등 방청객과도 이라크전 파병 문제와 같은 당시의 첨예한 주제를 놓고 이야기를 주고받았다.노 전 대통령은 2005년 8월에 한 차례 더 '국민과의 대화'에 참석한 뒤 2006년 3월 22일에는 당시 5대 포털사이트가 공동으로 주관한 '국민과의 인터넷 대화'를 통해 양극화 문제 등 주요 국정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참여정부가 이념보다 실리를 중시하는 점을 부각하기 위해 '좌파신자유주의'라는 호칭을 스스로 붙인 것도 이 때였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2008년 9월 9일 첫 국민과의 대화를 했다.다만 행사의 공식 명칭이 '대통령과의 대화'였다는 점에서 앞선 '국민과의 대화'와 차이를 보였다.
2009년 1월 30일과 같은 해 11월 27일에 열린 행사 때도 '대통령과의 대화'라는 명칭이 쓰였다.
이 전 대통령은 2009년 1월 '대통령과의 대화'에서 당시 최대 현안 중 하나였던 '용산 참사'와 관련한 입장을 설명하는 데 공을 들였다.이 전 대통령은 10달 뒤에 열린 '대통령과의 대화'에서는 세종시 건설 원안을 수정한 데 사과의 뜻을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