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성석제 "문학은 일상의 낮은 목소리…일단 재밌어야 읽히죠"

산문집 '근데 사실 조금은…'
출간한 소설가 성석제

세상과 일정 거리 유지하면서
문학인으로 살아온 삶의 역정
해학 넘치는 화법으로 풀어내
“산문은 소설과 달리 팩트(사실)와 실제 경험이 전제돼야 합니다. 이야기와 화자 사이의 거리가 매우 좁은 편이죠. 이번 산문집에 실은 글들은 어느 산문보다 제 일상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바라보려 노력했습니다.”
최근 산문집 <근데 사실 조금은 굉장하고 영원할 이야기>를 펴낸 소설가 성석제. /한경DB
‘해학의 아이콘’이자 ‘우리 시대의 이야기꾼’으로 불리는 작가 성석제(59)가 오랜만에 새로 펴낸 산문집 <근데 사실 조금은 굉장하고 영원할 이야기>(문학동네)를 들고 독자들 앞에 섰다. 지난 18일 서울 당산동 한 카페에서 만난 성 작가는 일상과 문학에 대한 경험들을 특유의 경쾌한 입담으로 쏟아냈다. 그는 무엇보다 “소설이든 산문이든 이야기는 일단 재미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단 사람들에게 읽혀야 그 이야기를 통해 정보와 지식도 전달하고 공동체를 결속시킬 수도 있죠. 따분한 이야기와 재미있는 이야기를 구분 짓는 것은 듣는 사람이 그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상상하고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이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습니다.”새 산문집은 성 작가가 그동안 신문이나 잡지 등에 발표한 원고를 엄선해 다듬은 글을 실었다. 자연인으로, 때론 소설가로서 살아오며 느낀 문학과 세상사에 대한 통찰을 풍자와 해학으로 무겁지 않고, 어둡지 않게 풀어냈다. 그는 “글쟁이로서 무엇인가 큰 문학적 결과물을 남겨야 한다는 예술적인 압박과 독자들로부터 작품에 대한 선택과 판단을 받아야 하는 엄정한 시장의 압박을 내 숙명으로 여기면서 살아왔다”며 “문학인으로서 상충되는 두 압박 사이에서 오랜 시간 겪은 망설임과 충돌을 충분히 발효시켜 낸 글들”이라고 설명했다.

1부에는 ‘소설가 성석제’가 탄생하기까지의 과정과 그 속에서 정리한 문학에 대한 사유를 담았다. 작가는 “처음 소설을 쓴 1995년 이후 다시는 시인으로 돌아가지도 못하게 됐다”며 잠시 ‘시인 성석제’로 살았던 시기를 이렇게 회상한다. “1995년은 단군 이래 최대 호황기라 불릴 정도였던 시기라 집마다 책과 문학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어요. 나 같은 사람도 숟가락을 얹고 시를 써볼 수 있었죠. 이후 시는 더 이상 쓰지 못했지만 그때 영향인지 소설을 쓸 땐 여느 작가들처럼 끈기 있게 눌러 앉아 쓰는 힘보다는 시를 쓸 때처럼 에너지와 자원을 축적해 단숨에 쓰는 습성을 갖게 됐습니다.”

작가는 그동안 음식이나 사진 등에 대한 산문을 많이 써 왔다. 이번 산문집에서도 ‘자연인 성석제’로서 음식과 여행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지 않았다. 2부에는 순두부찌개, 비빔밥, 파스타, 누룽지 등에서 찾아낸 자연과 생명, 고향, 인간 본성 등에 관한 글들이 실렸다. 그는 “음식이 가지고 있는 이야기들은 그 음식의 맛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일상 자체를 마냥 재미있게 바꿔준다”고 했다.
‘여행’을 주제로 다룬 4부에 실린 한 산문에서 작가는 “속도가 여행의 질을 결정한다. 주마간산이 아닌 진짜 여행은 이동하는 시공간을 자기화하는 체험”이라고 규정했다. 그는 “우리가 성장과 발전이라는 이름만으로 고속으로 달리며 주변의 풍경을 포착해 내지 못하고 빠르게 휘발되며 흘러온 건 아닌지 여행 속에서 되돌아보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는 2004년 출간한 <즐겁게 춤을 추다가>를 개정한 <말 못하는 사람>(문학동네)도 함께 펴냈다. 40대 중반 작가가 바라본 세상과 지금의 세상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말이 워낙 많아지고 또 문제가 되는 세상이 됐어요. 저는 조용히 그 말들을 주워 모아 밥벌이에 써야 되는데 나도 모르게 동조돼 속에 들어 있는 말을 화려한 겉치레로 포장하는 경향도 생긴 것 같아요. 현실의 번잡스러움에 지나온 시간들이 너나 할 것 없이 그대로 노출되고 그렇게 세상도, 나도 바뀌었습니다.”그의 산문들엔 심각한 상황에서도 한 번쯤은 웃음 짓게 하는 익살이 숨어 있다. 진지함 속에 툭툭 묻어나는 특유의 유머는 읽는 이를 미소 짓게 한다. “기질적으로 누군가를 재미있게 해 주는 것을 좋아하고, 그렇게 하려고 항상 애씁니다. 문학은 그저 주변에서 나직하게 들려오는 소리라고 생각합니다. 세상과 사람에 대해 낮은 목소리로 차근차근 이야기하고 생각하는 공간이 문학이죠. 저는 그 방향대로 세상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유쾌하게 나아가려고 합니다.”

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