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3박4일 韓·아세안 정상회의 개막…문 대통령 '스마트시티' 직접 세일즈
입력
수정
지면A5
'新남방정책 2.0' 시동문재인 대통령은 ‘세계 최초 스마트시티’ 구현을 목표로 삼은 부산을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국가 정상들에게 선보이며 3박4일간의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일정을 시작했다. 한국의 경제 지평을 넓히기 위해 아세안 지역을 최우선으로 꼽은 만큼 ‘코리아 세일즈’는 물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위한 든든한 우군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기공식 참석
한국형 물 특화도시 모델 소개
싱가포르·브루나이와 정상회담

문 대통령은 또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열리는 부산을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로 선정해 2021년 말이면 부산시민이 스마트시티의 삶을 체험할 수 있게 된다”고 직접 홍보에 나섰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는 국내 최초로 백지상태의 부지 위에서 스마트 혁신기술을 집약적으로 구현하는 프로젝트다. 부산을 국가시범도시로 선정한 뒤 지난 10개월간 밑그림을 그린 스마트시티는 이날 착공식을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도시 곳곳에 설치된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통해 수집한 각종 정보는 인공지능(AI) 데이터 플랫폼의 분석을 거쳐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혁신서비스로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태국, 베트남, 라오스 등 아세안 국가 정상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스마트시티는 혁신적인 미래기술과 신산업을 담아내는 새로운 플랫폼”이라며 “아세안과 한국이 ‘아시아 정신’을 담아낸다면 세계 스마트시티를 선도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문 대통령은 캄보디아를 제외한 아세안 9개국 정상과의 연쇄 회담을 소화할 계획이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가 장모의 건강을 이유로 회의에 불참하면서 정상회담은 취소됐다. 문 대통령은 ‘CEO 서밋’과 ‘문화혁신 포럼’에도 참석하며, 대기업 총수 등이 총출동하는 한·아세안 환영만찬을 통해 아세안 정상 및 기업인들과 친교를 다진다.
부산=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