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LG·SK 분쟁 틈타 한국 배터리 전문인력 '빼가기' 시도"
입력
수정
무역협회 보고서…반도체·항공 분야 등도 '노골적 스카우트'중국의 배터리, 반도체, 항공 업체들이 한국의 전문인력 '빼가기'를 노골화하고 있어 이를 차단하기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특히 최근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법적 분쟁이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인력 탈취' 시도에 기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3일 한국무역협회가 발간한 '중국, 인재의 블랙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5년부터 산업고도화 추진 전략인 '중국 제조 2025'를 추진하면서 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중국 기업들도 최근 파격적인 복지 혜택을 제시하며 한국 인재를 집중 유치하고 있다.
보고서는 대표적인 '한국 인재 빼가기' 업종으로 배터리, 반도체, 항공 등을 꼽았다.배터리 업계의 경우 세계 1위 기업인 중국 CATL이 지난 7월 대규모 채용을 진행하면서 한국 인재를 대상으로 기존 연봉의 3∼4배를 제시했고, 전기차 기업인 비야디(BYD)도 연봉 외에 자동차, 숙소 등의 조건을 제공하며 한국 인재 채용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국 최대 부동산그룹 '헝다(恒大)'는 올초 신에너지차 기업을 설립하면서 8천여명의 글로벌 인재를 채용했는데, 특히 한국, 일본, 독일, 스웨덴 등 9개국 출신 경력자를 우대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한국 인재들이 타깃이 되고 있다"면서 "특히 핵심 기술 침해 및 인재 유출 논란으로 법적 다툼을 벌이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혼란을 틈타 경쟁력이 높은 한국 전문 인력을 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반도체 업종에서도 푸젠진화(JHICC)가 올 4월 인력 채용 공고를 내면서 '10년 이상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경력자 우대'를 명시하는 등 인력 빼가기를 노골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중국 반도체 업체로 이직한 D램 설계 담당 전 임원에 대해 전직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이 임원은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장을 받은 인물로 전해졌다.특히 중국 기업들은 전직 금지 관련 소송 등을 피하기 위해 투자회사나 자회사에 취업시키는 형식으로 한국 인재들을 영입하고 있어 반도체 인력 유출은 통계로 제대로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이밖에 항공 업계의 경우 2014년부터 올 7월까지 한국에서 460여명의 조종사가 외국 항공사로 이직했는데, 이 가운데 최소 367명(80%)이 중국 항공사로 간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배터리와 반도체 산업의 고급 인력 유출은 기술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고, 항공 산업은 안전성 저해, 신규노선 개척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서 "인력 유출 방지와 인재 유치에 대한 장기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무역협회에 따르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발표한 '두뇌유출 지수'에서 한국은 지난해 4.00점을 받아 63개 조사 대상국 중 43위에 그쳤다.10점 만점의 이 지수는 점수가 낮을수록 해외로 나간 인재가 국내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합뉴스
3일 한국무역협회가 발간한 '중국, 인재의 블랙홀'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2015년부터 산업고도화 추진 전략인 '중국 제조 2025'를 추진하면서 해외 우수 인재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중국 기업들도 최근 파격적인 복지 혜택을 제시하며 한국 인재를 집중 유치하고 있다.
보고서는 대표적인 '한국 인재 빼가기' 업종으로 배터리, 반도체, 항공 등을 꼽았다.배터리 업계의 경우 세계 1위 기업인 중국 CATL이 지난 7월 대규모 채용을 진행하면서 한국 인재를 대상으로 기존 연봉의 3∼4배를 제시했고, 전기차 기업인 비야디(BYD)도 연봉 외에 자동차, 숙소 등의 조건을 제공하며 한국 인재 채용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국 최대 부동산그룹 '헝다(恒大)'는 올초 신에너지차 기업을 설립하면서 8천여명의 글로벌 인재를 채용했는데, 특히 한국, 일본, 독일, 스웨덴 등 9개국 출신 경력자를 우대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한국 인재들이 타깃이 되고 있다"면서 "특히 핵심 기술 침해 및 인재 유출 논란으로 법적 다툼을 벌이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의 혼란을 틈타 경쟁력이 높은 한국 전문 인력을 노리고 있다"고 지적했다.반도체 업종에서도 푸젠진화(JHICC)가 올 4월 인력 채용 공고를 내면서 '10년 이상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경력자 우대'를 명시하는 등 인력 빼가기를 노골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중국 반도체 업체로 이직한 D램 설계 담당 전 임원에 대해 전직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이 임원은 반도체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5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장을 받은 인물로 전해졌다.특히 중국 기업들은 전직 금지 관련 소송 등을 피하기 위해 투자회사나 자회사에 취업시키는 형식으로 한국 인재들을 영입하고 있어 반도체 인력 유출은 통계로 제대로 파악조차 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이밖에 항공 업계의 경우 2014년부터 올 7월까지 한국에서 460여명의 조종사가 외국 항공사로 이직했는데, 이 가운데 최소 367명(80%)이 중국 항공사로 간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는 "배터리와 반도체 산업의 고급 인력 유출은 기술 경쟁력 약화를 초래하고, 항공 산업은 안전성 저해, 신규노선 개척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서 "인력 유출 방지와 인재 유치에 대한 장기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무역협회에 따르면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발표한 '두뇌유출 지수'에서 한국은 지난해 4.00점을 받아 63개 조사 대상국 중 43위에 그쳤다.10점 만점의 이 지수는 점수가 낮을수록 해외로 나간 인재가 국내로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