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성장률 0.4%…'GDP 물가'는 20년만에 최대폭 하락
입력
수정
속보치 대비 건설투자 ↓…민간소비·총수출 ↑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 -1.6%…반도체 등 수출가격 하락 영향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0.4%로 잠정 집계됐다.속보치와 같은 수치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 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기 대비 0.4%를 기록했다.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와 동일했다.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도 속보치와 같은 2.0%로 집계됐다.
잠정치는 속보치 추계 때는 빠졌던 10월 경제활동 지표를 반영해 산출한다.
3분기 성장률이 0.4%를 나타내면서 산술적으로 4분기 성장률이 0.93∼1.30%를 보이면 올해 연간 성장률이 한은 전망대로 2.0%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한은 관계자는 "정부가 재정 집행을 최대화할 경우 달성하기 불가능한 숫자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3분기 성장 요인을 지출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0.2%, 설비투자가 0.6%, 지식재산생산물투자가 1.0%, 수출이 4.6% 각각 전기 대비 늘었다.
건설투자는 전기 대비 6.0% 감소했다.속보치와 비교해보면 건설투자(-0.8%포인트)는 하향 조정된 반면 민간소비(0.1%포인트)와 총수출(0.5%포인트)은 상향 조정됐다.
지출 주체별 성장 기여도를 보면 정부 부문 기여도가 2분기 1.2%포인트에서 3분기 0.2%포인트로 하락했으나, 민간 부문 기여도는 같은 기간 -0.2%포인트에서 0.2%포인트 상승했다.
지출 항목별 성장 기여도를 보면 내수 기여도가 소비, 설비투자, 건설투자 등의 부진 여파로 2분기 1.3%포인트에서 3분기 -1.0%포인트로 하락 전환했다.
반면, 순수출 기여도는 같은 기간 -0.2%에서 1.4%로 상승 전환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0.6% 성장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4% 늘었다.
GNI는 전체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 모든 소득을 합친 것이다.
반도체 등 수출품 가격이 원유 등 수입품 가격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교역조건이 악화했지만, 외국에서 받은 배당금 등이 포함된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어난 덕택에 실질 GDP 성장률(0.4%)을 웃돌았다.
총저축률은 35.0%로 전기 대비 0.4%포인트 상승했고, 총투자율은 30.4%로 전기 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외환위기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목의 가격 급락으로 인해 수출 디플레이터가 크게 하락하면서 GDP 디플레이터를 끌어 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3분기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동기 대비 1.6% 하락, 1999년 2분기(-2.7%)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등락률이 작년 4분기(-0.1%) 이후 올해 1분기(-0.5%), 2분기(-0.7%) 등으로 4분기 연속 마이너스다.
외환위기 직후(1998년 4분기∼1999년 2분기) 3분기 연속 마이너스 기록 이후 처음이다.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에게 밀접한 물가만 측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달리 국내에서 생산한 수출품과 투자재 등을 포함한 국민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준다.지출항목별로 보면 수출물가 디플레이터가 GDP 디플레이터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내수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1.0%로 2분기(1.7%) 대비 많이 축소된 가운데 수출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6.7%를 기록했다.
수입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0.1%였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화학제품, 철강제품 등 주요 수출품의 가격이 크게 떨어진 게 수출 디플레이터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수출 디플레이터 하락은 수출품 가격이 내려갔다는 의미로, 이는 통상 수출 제조업체들의 채산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수출기업 실적 악화는 투자와 고용, 정부 세수 악화는 물론 가계소득이나 소비 부진 등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GDP 디플레이터가 소비자, 생산자, 수출입업자가 관심 갖는 모든 물가를 포괄하다 보니 일반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와는 다를 수 있다"며 "국내 물가와는 상관없는 주력 수출품목 가격 하락폭이 크다는 측면에서 볼 때 디플레이션 우려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비자 입장에선 GDP 디플레이터 하락을 크게 체감하지는 못할 수 있다"면서도 "기업이 수출품을 싸게 팔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기업투자와 고용 악화 측면에서 소비자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우리나라 GDP 디플레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국제유가,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 가격, 환율, 총수요압력 등이 꼽힌다.
/연합뉴스
GDP 디플레이터 상승률 -1.6%…반도체 등 수출가격 하락 영향올해 3분기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0.4%로 잠정 집계됐다.속보치와 같은 수치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3분기 국민소득' 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전기 대비 0.4%를 기록했다.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와 동일했다.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도 속보치와 같은 2.0%로 집계됐다.
잠정치는 속보치 추계 때는 빠졌던 10월 경제활동 지표를 반영해 산출한다.
3분기 성장률이 0.4%를 나타내면서 산술적으로 4분기 성장률이 0.93∼1.30%를 보이면 올해 연간 성장률이 한은 전망대로 2.0%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한은 관계자는 "정부가 재정 집행을 최대화할 경우 달성하기 불가능한 숫자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3분기 성장 요인을 지출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0.2%, 설비투자가 0.6%, 지식재산생산물투자가 1.0%, 수출이 4.6% 각각 전기 대비 늘었다.
건설투자는 전기 대비 6.0% 감소했다.속보치와 비교해보면 건설투자(-0.8%포인트)는 하향 조정된 반면 민간소비(0.1%포인트)와 총수출(0.5%포인트)은 상향 조정됐다.
지출 주체별 성장 기여도를 보면 정부 부문 기여도가 2분기 1.2%포인트에서 3분기 0.2%포인트로 하락했으나, 민간 부문 기여도는 같은 기간 -0.2%포인트에서 0.2%포인트 상승했다.
지출 항목별 성장 기여도를 보면 내수 기여도가 소비, 설비투자, 건설투자 등의 부진 여파로 2분기 1.3%포인트에서 3분기 -1.0%포인트로 하락 전환했다.
반면, 순수출 기여도는 같은 기간 -0.2%에서 1.4%로 상승 전환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 대비 0.6% 성장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4% 늘었다.
GNI는 전체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임금, 이자, 배당 등 모든 소득을 합친 것이다.
반도체 등 수출품 가격이 원유 등 수입품 가격보다 더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교역조건이 악화했지만, 외국에서 받은 배당금 등이 포함된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어난 덕택에 실질 GDP 성장률(0.4%)을 웃돌았다.
총저축률은 35.0%로 전기 대비 0.4%포인트 상승했고, 총투자율은 30.4%로 전기 대비 1.5%포인트 하락했다.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외환위기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목의 가격 급락으로 인해 수출 디플레이터가 크게 하락하면서 GDP 디플레이터를 끌어 내린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3분기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동기 대비 1.6% 하락, 1999년 2분기(-2.7%) 이후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등락률이 작년 4분기(-0.1%) 이후 올해 1분기(-0.5%), 2분기(-0.7%) 등으로 4분기 연속 마이너스다.
외환위기 직후(1998년 4분기∼1999년 2분기) 3분기 연속 마이너스 기록 이후 처음이다.
GDP 디플레이터는 소비자에게 밀접한 물가만 측정하는 소비자물가지수와는 달리 국내에서 생산한 수출품과 투자재 등을 포함한 국민경제 전반의 종합적인 물가수준을 보여준다.지출항목별로 보면 수출물가 디플레이터가 GDP 디플레이터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내수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1.0%로 2분기(1.7%) 대비 많이 축소된 가운데 수출 디플레이터 상승률이 -6.7%를 기록했다.
수입 디플레이터 상승률은 0.1%였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화학제품, 철강제품 등 주요 수출품의 가격이 크게 떨어진 게 수출 디플레이터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한은 관계자는 "수출 디플레이터 하락은 수출품 가격이 내려갔다는 의미로, 이는 통상 수출 제조업체들의 채산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며 "수출기업 실적 악화는 투자와 고용, 정부 세수 악화는 물론 가계소득이나 소비 부진 등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GDP 디플레이터가 소비자, 생산자, 수출입업자가 관심 갖는 모든 물가를 포괄하다 보니 일반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와는 다를 수 있다"며 "국내 물가와는 상관없는 주력 수출품목 가격 하락폭이 크다는 측면에서 볼 때 디플레이션 우려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소비자 입장에선 GDP 디플레이터 하락을 크게 체감하지는 못할 수 있다"면서도 "기업이 수출품을 싸게 팔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기업투자와 고용 악화 측면에서 소비자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우리나라 GDP 디플레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국제유가, 반도체 등 주요 수출품 가격, 환율, 총수요압력 등이 꼽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