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앞둔 변혁의 4가지 고민…"시즌 1보다 초라한 시즌 2가 될까?"

낮은 당선 가능성이 가장 큰 문제
"총선 출마는 정치적 자살"이란 주장까지
감동없는 창당 명분도 문제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모임인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 유승민 의원이 지난달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변혁 의원 비상회의에서 의원들과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바른미래당 비당권파인 '변화와 혁신을 위한 비상행동(변혁)'이 창당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변혁은 이번주 일요일(8일) 창당발기인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당초 자유한국당과의 통합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지만 변혁 측은 "한국당과 통합은 없다. 우리 길을 갈 것"이라고 일축했다. 총선은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창당까지 갈 길은 멀기만 하다. 창당을 앞둔 변혁의 고민 4가지를 짚어봤다.

가장 큰 문제는 당선 가능성이다. 현재 변혁 대표 선수 격인 유승민 의원과 하태경 의원도 야권이 분열된 상태로 내년 총선에 나서면 당선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지방선거에서 상당수 바른미래당 후보들은 선거비용을 보전받을 수 없을 만큼 초라한 성적을 얻어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후보자가 득표율 15% 이상을 얻을 경우 선거비용의 100%를 보전 받을 수 있고, 득표율 10% 이상을 얻을 경우 선거비용의 50%를 보전 받을 수 있다. 10% 미만을 득표한 후보는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한다.

당시 바른미래당 소속으로 종로구청장 선거에 출마했던 김복동 전 후보는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당에서 15%는 충분히 넘길 수 있다고 하니까 선거 비용을 거의 상한액까지 써서 피해가 더 컸다"면서 "(선거 비용을) 여기저기 돈 빌려서 썼는데…"라며 말을 잇지 못했다.

지난 지방선거를 옆에서 지켜본 일부 바른미래당 인사들 사이에서는 "변혁으로 총선에 출마하는 것은 정치적 자살"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변혁의 두 번째 고민은 감동 없는 창당 명분이다. 계파 싸움에 질려 바른미래당을 탈당했다는 한 인사는 "변혁이나 바른미래당 당권파나 지금까지 기존 정당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모습을 보여준 것이 있나. 오히려 기존 정당보다 더 추잡한 계파 싸움을 해오지 않았나. 창당 2년도 안 돼 또 당을 깨고 신당을 만들면서 표를 달라는 것은 염치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과거 국민의당 시절엔 '새정치'라는 대표적인 구호가 있었지만 변혁에는 국민 눈길을 끌만 한 새로운 아젠다나 정치적 구호도 보이지 않는다.

세 번째 고민은 꽉 막힌 인재영입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야권이 분열된 상태로 총선을 치르면 변혁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희박하다. 이런 상황에서 인쟁영입을 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심지어 안철수 전 바른미래당 의원조차 변혁 참여를 망설이고 있다. 당초 총선 전 국내 복귀가 예상됐던 안 전 의원은 지난 10월 6일 돌연 미국행을 발표했다.

안 전 의원이 합류해 유승민 의원과 내년 총선에서 돌풍을 일으켜 줄 것이라고 기대했던 변혁 의원들은 미국행 발표에 당황한 기색을 숨기지 못했다.

앞서의 전직 바른미래당 인사는 "영화도 시즌 1보다 시즌 2가 화려하고 스케일도 커져야 흥행에 성공하지 않나. 변혁은 국민의당 보다도 쪼그라든 모습인데 흥행에 성공할 수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마지막 고민은 계파 갈등이다. 현재 변혁에는 유승민계 의원 8명과 안철수계 의원 7명이 참여하고 있다.

바른미래당 시절 유승민계와 안철수계의 케미(조화)가 잘 맞지 않는다는 것이 이미 확인됐다.

한 바른미래당 인사는 "막상 통합하고 보니 (진보 인사가 다수인)국민의당과 (보수 인사가 다수인)바른정당 문화가 달라도 너무 달랐다"며 "당 행사에서 국민의당계 인사들과 바른정당계 인사들이 잘 융합되지가 않았다"고 했다.

또 지난 지방선거에서 유승민계와 안철수계는 공천권을 놓고 심각하게 대립했다. 내년 총선에서도 계파갈등이 변혁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변혁에서는 이미 유승민계와 안철수계의 파열음이 들려오고 있다. 일례로 안철수 전 의원이 국내 복귀를 거부하자 유승민계 의원들은 "꽃가마를 보내드리면 올 분" "해외에서 객사할 것"이라고 언급해 국민의당계의 반발을 샀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