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이 새 먹거리"…통신사, 차세대 교통시스템 수주戰
입력
수정
광주시·울산시 커넥티드카5세대(5G) 이동통신을 상용화한 통신 3사의 새 먹거리로 자율주행 통신인프라 분야가 떠올랐다. 통신 3사는 국토교통부가 광주시, 울산시와 함께 진행 중인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구축 사업 입찰에 뛰어들어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이고 있다.자율주행 인프라는 새 먹거리C-ITS는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간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든 도로 인프라다. 신호등 등 교통체계를 중앙에서 관제하거나 폐쇄회로TV(CCTV) 등을 통해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인프라 구축 사업에 3社 참전
이를 이용한 광주시와 울산시의 커넥티드카 인프라 구축 사업 등에는 향후 3년간 각각 230억원, 240억원 규모의 예산이 들어간다. 국토부는 2027년까지 자율주행차 핵심부품(시스템·부품·통신) 분야에 1조7000억원에 이르는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미 서울과 제주에서 C-ITS 사업자를 선정해 사업을 하고 있다. 서울에선 SK텔레콤이 상암 등에 인프라를 구축했다. 제주에서는 KT가 사업을 맡았다. KT는 제주에서 렌터카 3000대에 C-ITS 단말을 설치해 교통정보를 실시간 전달하고 있다. 또 완전자율주행이 가능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두 대도 운행 중이다.통신 3사에 광주와 울산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두 지역 모두 사업 규모가 큰 데다 울산은 화물 등 물류 중심지라는 상징성도 있다. 통신사 각각의 사정도 있다. KT는 가장 먼저 제주에서 사업권을 따냈지만, 최대 규모인 서울 지역을 SK텔레콤이 가져갔다. LG유플러스는 아직 C-ITS 사업지역이 없어 이번에 광주와 울산 중 한 군데의 구축 사업이라도 따내는 게 급선무다.
국토부가 추진 중인 사업 외에도 지방자치단체별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도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게 세종시의 규제 자율특구다. KT와 LG유플러스는 세종시에서 자율주행 셔틀 실증사업을 하고 있다. 내년에는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상용화하는 게 목표다. 경기 성남시 판교의 ‘제로 시티’와 대구의 ‘테크노폴리스’에는 KT, 경기 화성 알파시티에는 통신 3사가 모두 참여했다.
“통신이 자율주행 상용화 앞당겨”통신사들이 자율주행 관련 통신인프라 구축에 나선 건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찾기 위해서다. 현재 자율주행 기술은 와이파이와 비슷한 형태인 ‘웨이브’와 통신 기반인 ‘C-V2X’로 나뉜다. 통신사들이 밀고 있는 건 C-V2X다. 자율주행 기술에서 통신이 주도권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C-V2X 기반 인프라가 구축되면 자율주행 시대가 보다 빨리 올 수 있다고 예상한다. 현재 구글이나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현대자동차 등 제조사가 개발 또는 운행하고 있는 자율주행차는 레이더, 라이다 등 센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센서 기반 자율주행 차량의 정확도는 높은 편이다.
문제는 비용이다. 센서 가격이 수천만원에 이른다. 센서를 여러 개 부착한 자율주행차 한 대 값은 수십억원으로 확 뛴다. 업계에서는 차 한 대 가격이 1억원 이하로 내려가야 자율주행차 대중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통신사 관계자는 “통신을 보완하면 센서를 줄이더라도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며 “그만큼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통신사들은 자율주행 주도권을 잡으려고 완성차 업체들과의 ‘짝짓기’에도 적극적이다. SK텔레콤은 현대자동차 등과 협력하고 있다. KT는 언맨드솔루션과 자율주행 셔틀을 개발했다. 현대모비스 등과도 자율주행 기술 관련 협업을 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LG전자, LG이노텍 등 LG그룹 계열사들과의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다.
홍윤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