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용암수 공수화 논란…제주도 "공급 끊겠다"
입력
수정
오리온, "공급계약신청 상태"…"공수화 원칙 위반 아니다" 오리온의 제주용암수 국내 시판이 제주 염지하수 공수화(公水化) 문제로 번졌다. 제주도는 오리온이 염지하수(용암해수)를 이용한 제주용암수를 국내에서 판매하겠다면 염지하수 공수화 정책에 따라 더 이상의 염지하수 공급을 허가하지 않겠다고 4일 밝혔다.
화산섬인 제주 자원 중 하나인 염지하수는 바닷물이 화산암반층에 의해 자연 여과돼 땅속으로 스며든 물이다.
식수원으로 이용되는 담수 지하수의 경우 자원 고갈의 우려가 있지만 염지하수는 상대적으로 자원 고갈 우려가 적다. 화산암반층을 통과하면서 미네랄과 영양염류는 물론, 아연, 철, 망간 등 몸에 좋은 희귀 미네랄도 다량 함유됐다. ◇ 도 "국내 판매 안 돼"
도는 염지하수가 제주지하수보다 자원이 풍부하더라도 막대한 양을 쓰다 보면 고갈할 우려가 있어 공공재 개념으로 염지하수를 관리하고 있다.
도는 제주지하수와 마찬가지로 공수화 개념에 따라 애초 염지하수에 대한 민간기업의 제조·판매를 전면 금지했다. 다만, 지방공기업만 허가받은 양만 이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2008년 '제주도지사가 지정·고시하는 지역'에 한해 예외적으로 용암해수 제조·판매를 허용할 수 있도록 제주특별법이 개정됐다.
그 이후 2011년 제주시 구좌읍에 제주용암해수산업단지를 건립하면서 용암해수산업단지가 용암해수 제조·판매 허가 지역이 됐다. 도는 제주도의 공수화 원칙상 염지하수를 이용한 제품은 국외 판매만 가능하며, 국내 판매는 안 된다고 밝혔다.
염지하수를 이용한 제품을 국내에서 판매하게 되면 민간기업이 다량의 공공재를 이용해 이윤을 추구하고 제주자원을 이용해 생수시장에 진출해 제주삼다수를 생산해 판매하는 지방공기업(제주도개발공사)과 경쟁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도는 설명했다.
도는 또 최근 오리온 제주용암수 국내 시판 논란이 불거지자 염지하수를 관리하는 제주테크노파크(JTP)를 통해 용암해수 공급지침에 따른 용수공급계약 체결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오리온은 애초 자체적인 염지하수 관정개발을 도모하다가 2017년 4월 18일 염지하수 개발·이용허가 신청을 자진 취하했다.
오리온은 이후 제주도가 개발한 염지하수를 공급받아 쓰기로 했으나 용암해수 공급지침에 따른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즉, 현재 제주테크노파크와 오리온 사이에는 용수공급계약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는 오리온이 제주용암수 국내 판매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도는 현재 오리온에 공급되는 염지하수 물량은 시제품 생산을 위한 최소한의 공급일 뿐 국내 시판 제품 생산을 위한 공급목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오리온 측은 국외 시장 진출을 위해 국내 시판이 불가피하며 염지하수 공급 계약을 신청한 상태로 취수신청 계획에 따라 물 공급을 받고 있다는 입장이다.
◇ 오리온, "공급받을 권리 있어"
허인철 오리온그룹 총괄부회장은 3일 제주용암수 공장 준공을 기념한 기자 간담회에서 "오리온은 (염지하수 이용 허가지역인) 용암해수센터의 입주 기업으로 물(염지하수)을 받을 권리가 있고 오래전부터 JTP와 공급 계약을 하자고 신청해둔 상태다.
취수신청 계획에 따라 물 공급을 (현재) 받고 있다"고 반론했다.
허 총괄부회장은 "(도가) 물(염지하수)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하면 도와 협의를 통해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 용암수가 공공재라고 인식한다.
용암수를 가지고 해외나 국내에서 사업을 할 때 이익의 상당 부분을 발전 기금이나 제주를 위해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오리온은 국외 판매에 대해 중국과 1차 계약을 맺었고 베트남 등과도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국외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용암해수를 이용한 오리온 제주용암수는 일반 '먹는샘물'(생수)과 달리 식품첨가물인 혼합음료로 분류된다.
즉, 먹는 샘물인 제주삼다수, 농심 백산수 등과 다른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별 기준 및 규격에 따라 관리되는 일반 음료다.
혼합음료는 먹는 물 또는 동·식물성 음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가공한 제품이다. 이에 대해 도는 제주용암수를 소비자들이 먹는샘물로 오인해 구매할 수 있는 만큼 제주삼다수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화산섬인 제주 자원 중 하나인 염지하수는 바닷물이 화산암반층에 의해 자연 여과돼 땅속으로 스며든 물이다.
식수원으로 이용되는 담수 지하수의 경우 자원 고갈의 우려가 있지만 염지하수는 상대적으로 자원 고갈 우려가 적다. 화산암반층을 통과하면서 미네랄과 영양염류는 물론, 아연, 철, 망간 등 몸에 좋은 희귀 미네랄도 다량 함유됐다. ◇ 도 "국내 판매 안 돼"
도는 염지하수가 제주지하수보다 자원이 풍부하더라도 막대한 양을 쓰다 보면 고갈할 우려가 있어 공공재 개념으로 염지하수를 관리하고 있다.
도는 제주지하수와 마찬가지로 공수화 개념에 따라 애초 염지하수에 대한 민간기업의 제조·판매를 전면 금지했다. 다만, 지방공기업만 허가받은 양만 이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2008년 '제주도지사가 지정·고시하는 지역'에 한해 예외적으로 용암해수 제조·판매를 허용할 수 있도록 제주특별법이 개정됐다.
그 이후 2011년 제주시 구좌읍에 제주용암해수산업단지를 건립하면서 용암해수산업단지가 용암해수 제조·판매 허가 지역이 됐다. 도는 제주도의 공수화 원칙상 염지하수를 이용한 제품은 국외 판매만 가능하며, 국내 판매는 안 된다고 밝혔다.
염지하수를 이용한 제품을 국내에서 판매하게 되면 민간기업이 다량의 공공재를 이용해 이윤을 추구하고 제주자원을 이용해 생수시장에 진출해 제주삼다수를 생산해 판매하는 지방공기업(제주도개발공사)과 경쟁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도는 설명했다.
도는 또 최근 오리온 제주용암수 국내 시판 논란이 불거지자 염지하수를 관리하는 제주테크노파크(JTP)를 통해 용암해수 공급지침에 따른 용수공급계약 체결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오리온은 애초 자체적인 염지하수 관정개발을 도모하다가 2017년 4월 18일 염지하수 개발·이용허가 신청을 자진 취하했다.
오리온은 이후 제주도가 개발한 염지하수를 공급받아 쓰기로 했으나 용암해수 공급지침에 따른 새로운 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즉, 현재 제주테크노파크와 오리온 사이에는 용수공급계약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는 오리온이 제주용암수 국내 판매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도는 현재 오리온에 공급되는 염지하수 물량은 시제품 생산을 위한 최소한의 공급일 뿐 국내 시판 제품 생산을 위한 공급목적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오리온 측은 국외 시장 진출을 위해 국내 시판이 불가피하며 염지하수 공급 계약을 신청한 상태로 취수신청 계획에 따라 물 공급을 받고 있다는 입장이다.
◇ 오리온, "공급받을 권리 있어"
허인철 오리온그룹 총괄부회장은 3일 제주용암수 공장 준공을 기념한 기자 간담회에서 "오리온은 (염지하수 이용 허가지역인) 용암해수센터의 입주 기업으로 물(염지하수)을 받을 권리가 있고 오래전부터 JTP와 공급 계약을 하자고 신청해둔 상태다.
취수신청 계획에 따라 물 공급을 (현재) 받고 있다"고 반론했다.
허 총괄부회장은 "(도가) 물(염지하수)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하면 도와 협의를 통해 문제를 풀어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주 용암수가 공공재라고 인식한다.
용암수를 가지고 해외나 국내에서 사업을 할 때 이익의 상당 부분을 발전 기금이나 제주를 위해 환원하겠다고 약속했다"며 "오리온은 국외 판매에 대해 중국과 1차 계약을 맺었고 베트남 등과도 계약을 추진하고 있다면서 국외 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용암해수를 이용한 오리온 제주용암수는 일반 '먹는샘물'(생수)과 달리 식품첨가물인 혼합음료로 분류된다.
즉, 먹는 샘물인 제주삼다수, 농심 백산수 등과 다른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별 기준 및 규격에 따라 관리되는 일반 음료다.
혼합음료는 먹는 물 또는 동·식물성 음료에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가공한 제품이다. 이에 대해 도는 제주용암수를 소비자들이 먹는샘물로 오인해 구매할 수 있는 만큼 제주삼다수 판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