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칩 더 촘촘히 쌓게…패키징 장비 국산화
입력
수정
지면A18
코스텍시스템·네패스 손잡고인공지능(AI), 지능형 로봇,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스마트기기에 들어가는 반도체 부품이 진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선 소량 다품종 시스템LSI(비메모리 고밀도집적회로), 설계된 다양한 반도체를 맞춤 생산해주는 파운드리(웨이퍼 생산)를 비롯해 반도체칩 패키지 제조와 테스트를 맡는 후공정(OSAT)업체들이 받쳐줘야 한다.
웨이퍼 휨 막는 기술 개발
일본산보다 30% 싸게 공급
지난해 기준 국내 후공정업체 총매출은 20억달러로 세계 시장(341억달러)의 5.8%에 그쳤다. 이들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와 업계가 공동 연구개발(R&D)에 나선 이유다.수입에 의존하던 반도체 장비 국산화
경기 평택에 있는 반도체 장비업체 코스텍시스템은 2년여 만에 네패스와 웨이퍼 임시 본더(타우루스-300FOB·사진)와 디본더(타우루스-300FOD) 생산 장비를 국산화했다. 반도체패키징 중견기업인 네패스는 코스텍의 주요 고객사다.이 장비는 네패스가 현재 사용하는 기술인 팬아웃(fan-out) 반도체칩 패키지 공정에서 웨이퍼의 휨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지지대(캐리어 웨이퍼)를 임시로 붙였다가 떼는 것이다.
반도체는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3차원(3D)으로 칩을 쌓는다. 그러려면 디바이스 웨이퍼(혹은 패널) 뒷면을 갈고 이를 관통하는 수천 개의 미세 구멍(TSV)을 뚫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웨이퍼의 휨을 막아야 하는데 이것이 핵심 기술이다. 접착 필름을 붙일 때 빈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압력을 조절하는 기술, 300㎛ 웨이퍼에 부착한 필름접착제 및 보호필름을 떼는 기술이 모두 코스텍의 자체 특허 기술로 구현됐다.
코스텍은 임시 접착제로 필름을 사용해 네패스의 최종 양산테스트를 통과했다. 그동안 시장을 장악한 독일 오스트리아 일본산 제품 가격(70억~140억원)보다 30% 저렴해 시장 경쟁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된다.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2017년부터 3년간 지원(수요자 연계형 소재부품개발사업)해 준 덕분이다. 김용섭 코스텍시스템 전무는 “일본의 수출규제와 정부의 지원정책, 업계의 국산화 의지가 한데 모인 결과”라고 말했다.
16개 기업·기관 공동 R&D에 150억원 투입
‘팬아웃 웨이퍼 레벨 패키지(FOWLP)를 이용한 3D 집적회로(IC) 제조를 위한 핵심소재 및 공정기술개발’ 사업은 네패스(총괄 주관기업)를 포함해 16개 기업과 대학·기관이 함께하고 있다. 5년간 총 사업비는 154억여원에 달한다.웨이퍼 레벨 패키지(WLP)는 칩을 작고 얇게 생산할 수 있는 초미세 패키징 기술로 스마트폰 자동차 통신기기에 들어가는 첨단 반도체에 적용된다. 팬아웃 패키지는 반도체칩 공정이 미세화되면서 좁아진 칩 면적에서 입출력 단자 배선을 바깥으로 빼내는 기술이다.
김종헌 네패스 전무는 “국내에서 정부가 지원하는 단일 R&D사업으로는 보기 힘든 규모”라며 “네패스가 이미 글로벌 수준의 생산을 하고 있지만 여러 소재, 부품, 테스트 장비 중소·중견기업들과 협력하며 국내 시스템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동 개발에는 켐이, 마이크로프랜드, 덕산하이메탈, 에스모스소재기술연구소, 서울테크노파크, 서울과학기술대, 한국전자기계융합기술원 등이 참여하고 있다.
오송·평택=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