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 불청객' 황사, 온난화 탓에 11월에 더 자주왔다
입력
수정
지구 온난화로 발원지 기온 오른 영향…12월 황사 가능성은 작아 '봄 불청객'으로 알려진 황사가 올해에는 가을에 유독 기승을 부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으로 확장해 보면 늦가을인 11월에 황사가 가장 많이 찾아온 것으로 파악됐다.
8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황사가 관측된 일수는 이틀이었다.
올해 내내 잠잠하던 황사는 10월에 하루 관측되더니 11월에는 1일 더 관측됐다. 올해가 끝나려면 아직 20여일 남았지만 현재로선 지난달이 올해 서울에서 황사가 가장 많이 나타난 달이 되는 셈이다.
보통 황사는 봄인 3∼5월 찾아오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엔 이 같은 상식에서 벗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제 황사는 가을에도 찾아오는 불청객이 됐다. 특히 막바지 가을인 11월 황사가 나타나는 날이 최근 부쩍 늘었다.
11월 서울의 황사 관측 일수를 보면 2017년 3일로 동월 기준으로 7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고, 지난해인 2018년에도 2일 나타났다.
2017∼2019년 월별로 서울에서 황사 관측 일수가 가장 많은 달은 11월(7일)로, 봄인 5월(6일), 4월(3일)을 모두 제쳤다. 3월에는 최근 3년간 하루도 황사가 관측되지 않았다.
중국·몽골발 황사의 길목에 있는 백령도의 경우에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올해 백령도에서도 역시 가을인 10월(3일)에 황사가 가장 많이 관측된 달이었고 2위는 11월(2일)이었다.
봄인 4월과 5월에는 각각 1일씩 황사가 관측됐고 다른 달에는 황사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 최근 3년 황사 관측 일수를 따지면 봄인 5월(8일), 4월(7일)이 차례로 1, 2위였다.
11월은 6일로 3위를 차지했다.
2017년 4∼5월에 황사 관측 일수가 각각 3일, 6일에 달할 정도로 봄 황사가 기승을 부린 탓이다.
최근 가을 황사가 자주 찾아오는 것은 지구 온난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상청 관계자는 "보통 10월께가 되면 황사가 발원하는 몽골, 중국 네이멍구 지역에 기온이 떨어지면서 고기압이 발달하고 눈이 내려 황사가 나타나기 힘들다"라면서 "그러나 최근 온난화로 이 지역의 가을 기온이 높아져 눈이 적게 쌓이고 따뜻한 공기가 황사를 대기 상층으로 끌어 올리면서 우리나라 쪽으로 황토 먼지가 날아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 11월 황사가 잦아졌다고는 해도 12월까지 황사가 나타날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12월 황사가 관측된 것은 서울과 백령도 모두 2014년(1일)이 마지막일 정도로 드문 일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구 온난화라 하더라도 12월에는 몽골, 네이멍구 지역에 눈이 내려 쌓이고 기온이 떨어져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황사가 발원하기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8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에서 황사가 관측된 일수는 이틀이었다.
올해 내내 잠잠하던 황사는 10월에 하루 관측되더니 11월에는 1일 더 관측됐다. 올해가 끝나려면 아직 20여일 남았지만 현재로선 지난달이 올해 서울에서 황사가 가장 많이 나타난 달이 되는 셈이다.
보통 황사는 봄인 3∼5월 찾아오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엔 이 같은 상식에서 벗어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제 황사는 가을에도 찾아오는 불청객이 됐다. 특히 막바지 가을인 11월 황사가 나타나는 날이 최근 부쩍 늘었다.
11월 서울의 황사 관측 일수를 보면 2017년 3일로 동월 기준으로 7년 만에 최다를 기록했고, 지난해인 2018년에도 2일 나타났다.
2017∼2019년 월별로 서울에서 황사 관측 일수가 가장 많은 달은 11월(7일)로, 봄인 5월(6일), 4월(3일)을 모두 제쳤다. 3월에는 최근 3년간 하루도 황사가 관측되지 않았다.
중국·몽골발 황사의 길목에 있는 백령도의 경우에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올해 백령도에서도 역시 가을인 10월(3일)에 황사가 가장 많이 관측된 달이었고 2위는 11월(2일)이었다.
봄인 4월과 5월에는 각각 1일씩 황사가 관측됐고 다른 달에는 황사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 최근 3년 황사 관측 일수를 따지면 봄인 5월(8일), 4월(7일)이 차례로 1, 2위였다.
11월은 6일로 3위를 차지했다.
2017년 4∼5월에 황사 관측 일수가 각각 3일, 6일에 달할 정도로 봄 황사가 기승을 부린 탓이다.
최근 가을 황사가 자주 찾아오는 것은 지구 온난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상청 관계자는 "보통 10월께가 되면 황사가 발원하는 몽골, 중국 네이멍구 지역에 기온이 떨어지면서 고기압이 발달하고 눈이 내려 황사가 나타나기 힘들다"라면서 "그러나 최근 온난화로 이 지역의 가을 기온이 높아져 눈이 적게 쌓이고 따뜻한 공기가 황사를 대기 상층으로 끌어 올리면서 우리나라 쪽으로 황토 먼지가 날아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단 11월 황사가 잦아졌다고는 해도 12월까지 황사가 나타날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12월 황사가 관측된 것은 서울과 백령도 모두 2014년(1일)이 마지막일 정도로 드문 일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구 온난화라 하더라도 12월에는 몽골, 네이멍구 지역에 눈이 내려 쌓이고 기온이 떨어져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황사가 발원하기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