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코노미] "아이 둘 낳으면 걱정"…너무 좁은 신혼희망타운
입력
수정
다자녀 우선하지만 초소형 비중 높아
"면적 늘리거나 설계 다변화할 필요"

◆가족 많을수록 당첨 유리하지만…18일 LH(한국토지주택공사)에 따르면 서울 수서역세권 신혼희망타운 청약이 이날부터 시작됐다. 강남권에 처음 공급되는 희망타운이다. 전체 398가구가 모두 전용면적 60㎡ 미만 소형 아파트다. 이 가운데 전용 55㎡가 153가구, 46㎡가 245가구다. 초소형 주택형의 비중이 절반을 넘는다.
전용 46㎡는 공급면적(71㎡) 기준으로 옛 21평형대다. 안방을 제외한 보조침실이 한 칸에 불과해 4인 가족 이상이 지내기엔 다소 좁다는 평가가 나온다. 자녀가 둘이거나 노부모를 함께 모시는 경우 방을 나눠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동안 공급된 신혼희망타운은 전용 40㎡ 안팎 초소형 주택형의 비중이 높다. 첫 희망타운으로 지난해 분양한 위례신도시의 경우 전체 340가구 가운데 전용 46㎡ 주택형이 204가구로 60%를 차지했다. 경기 하남 감일지구(44%)도 절반에 가깝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넓은 주택형에 경쟁이 몰린다. 평균경쟁률 54 대 1을 기록했던 위례신도시 희망타운의 경우 전용 55㎡A형이 143 대 1로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 전용 46㎡B형이 9 대 1에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올여름 청약을 받은 양원지구 희망타운 또한 전용 55㎡A형은 24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반면 전용 46㎡ 주택형 두 가지는 각각 16 대 1과 14 대 1로 집계됐다. 이번 수서 희망타운에 청약할 예정인 이수영 씨는 “방 두 칸짜리 집은 나중에 아이를 하나 더 낳고 살기엔 너무 좁다”면서 “그나마 더 넓은 주택형을 노리고 있지만 가점 경쟁에서 밀릴 것으로 보여 걱정”이라고 전했다.
◆소형으로 ‘공급 쪼개기’?
좁은 공공주택의 면적 문제는 그동안 꾸준히 지적됐다. 1인당 평균 주거면적이 갈수록 넓어지는 반면 정부의 기준은 시대를 역행하고 있어서다. 국토교통부가 정하고 있는 최소 주거면적은 3인 가구일 때 35㎡, 4인 가구는 43㎡다. 이 기준은 2011년 이후 8년째 그대로다. 임대주택인 행복주택의 경우 신혼부부에겐 전용 36㎡ 주택을 공급해 오다 집이 협소하다는 지적에 그나마 44㎡로 기준을 높였다.신혼부부의 생애주기에 맞춰 보다 넓은 주택을 공급할 수 있는 법적 토대는 이미 마련된 상태다. 그동안 신혼희망타운 등 공공분양 주택은 전용 60㎡ 이하로만 건설이 가능했다. 하지만 지난해 4월 ‘공공주택 업무처리지침’이 개정돼 전용 60㎡ 초과~85㎡ 이하 주택도 15%의 비율 안에서 지을 수 있게 됐다. LH 관계자는 “최대한 많은 신혼부부들이 저렴한 비용에 입주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위주로 공급하고 있다”며 “향후 지구계획 승인 등의 절차에서 전용 84㎡ 등의 주택형도 검토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전형진 기자 withmol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