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에너지 건전성 지수' 세계 37위…OECD 최하위권
입력
수정
세계에너지총회 '트릴레마 지수'…형평성 A등급, 지속가능성은 '낙제'
"2000년 이후 개선 추세…신재생 확대 정책 등 긍정적"한국이 올해 '에너지 건전성' 평가에서 세계 37위에 그치면서 선진국 진영에서는 최하위권에 랭크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국민의 보편적인 에너지 접근성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성 평가에서는 사실상 '낙제' 점수를 받으면서 정책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1일 에너지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세계에너지총회(WEC)가 최근 발표한 국가별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Energy Trilemma Index)'에서 한국은 71.7점(만점 100점)을 받으며, 조사 대상 128개국 가운데 37위에 올랐다.
지난해보다 2계단 하락한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서는 31위에 그쳤다.올해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OECD 국가는 터키(66위)와 폴란드(53위), 칠레(48위), 그리스(47위), 멕시코(40위) 등 5개뿐이었다.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는 WEC가 매년 세계 각국의 에너지 시스템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표다.에너지 수요의 안정적인 충족, 공급 혼란 최소화 등 '에너지 안보'(30%)와 적정한 가격·공정한 책정에 따른 보편적 접근성을 의미하는 '에너지 형평성'(30%), 환경 피해·기후변화 회피 노력을 평가하는 '에너지 지속가능성'(30%), '국가 고유 특성'(10%) 등을 합산해 점수를 매긴다.한국은 올해 평가에서 형평성은 97점으로 A등급(16위)을 받았으나 안보와 지속가능성은 각각 58점(B등급)과 59점(C등급)으로 '낙제점'을 기록하며 69위와 80위에 올랐다.
보고서는 그러나 한국이 지난 2000년 이후 3개 평가 항목에서 모두 개선되고 있다면서 특히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관리되면서 지속가능성 지수가 비교적 크게 올랐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2000년을 100점으로 했을 때 올해 안보는 107.2점, 형평성은 114.2, 지속가능성은 144.3으로 높아졌다.보고서는 "한국은 에너지 안보와 환경 지속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비율 제고, 미국 셰일가스 등 천연가스 이용 확대 등의 중요한 정책적 조치를 실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올해 1위는 스위스(85.8점)가 차지했으며, 스웨덴(85.2점)과 덴마크(84.7점), 영국(81.5점), 핀란드(81.1점), 프랑스(80.8점), 오스트리아(80.7점), 룩셈부르크(80.4점), 독일(79.4점) 등 유럽 국가가 최상위권을 '싹쓸이'했다.
뉴질랜드(79.4점)가 10위로, 비(非)유럽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은 77.5점으로 15위에 올랐고, 아시아 국가 가운데서는 일본이 31위(73.8점)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홍콩은 34위(72.5점), 중국은 72위(63.7점)에 각각 랭크됐다.에너지경제연구원은 "한국은 올해 평가에서 에너지 형평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안보와 지속가능성은 개선이 진행 중인 국가로 평가되면서 '트릴레마 삼각형'에서 비균형적인 형태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2000년 이후 개선 추세…신재생 확대 정책 등 긍정적"한국이 올해 '에너지 건전성' 평가에서 세계 37위에 그치면서 선진국 진영에서는 최하위권에 랭크된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국민의 보편적인 에너지 접근성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성 평가에서는 사실상 '낙제' 점수를 받으면서 정책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11일 에너지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세계에너지총회(WEC)가 최근 발표한 국가별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Energy Trilemma Index)'에서 한국은 71.7점(만점 100점)을 받으며, 조사 대상 128개국 가운데 37위에 올랐다.
지난해보다 2계단 하락한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서는 31위에 그쳤다.올해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OECD 국가는 터키(66위)와 폴란드(53위), 칠레(48위), 그리스(47위), 멕시코(40위) 등 5개뿐이었다.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는 WEC가 매년 세계 각국의 에너지 시스템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표다.에너지 수요의 안정적인 충족, 공급 혼란 최소화 등 '에너지 안보'(30%)와 적정한 가격·공정한 책정에 따른 보편적 접근성을 의미하는 '에너지 형평성'(30%), 환경 피해·기후변화 회피 노력을 평가하는 '에너지 지속가능성'(30%), '국가 고유 특성'(10%) 등을 합산해 점수를 매긴다.한국은 올해 평가에서 형평성은 97점으로 A등급(16위)을 받았으나 안보와 지속가능성은 각각 58점(B등급)과 59점(C등급)으로 '낙제점'을 기록하며 69위와 80위에 올랐다.
보고서는 그러나 한국이 지난 2000년 이후 3개 평가 항목에서 모두 개선되고 있다면서 특히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관리되면서 지속가능성 지수가 비교적 크게 올랐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2000년을 100점으로 했을 때 올해 안보는 107.2점, 형평성은 114.2, 지속가능성은 144.3으로 높아졌다.보고서는 "한국은 에너지 안보와 환경 지속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비율 제고, 미국 셰일가스 등 천연가스 이용 확대 등의 중요한 정책적 조치를 실행하고 있다"고 평가했다.올해 1위는 스위스(85.8점)가 차지했으며, 스웨덴(85.2점)과 덴마크(84.7점), 영국(81.5점), 핀란드(81.1점), 프랑스(80.8점), 오스트리아(80.7점), 룩셈부르크(80.4점), 독일(79.4점) 등 유럽 국가가 최상위권을 '싹쓸이'했다.
뉴질랜드(79.4점)가 10위로, 비(非)유럽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미국은 77.5점으로 15위에 올랐고, 아시아 국가 가운데서는 일본이 31위(73.8점)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홍콩은 34위(72.5점), 중국은 72위(63.7점)에 각각 랭크됐다.에너지경제연구원은 "한국은 올해 평가에서 에너지 형평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안보와 지속가능성은 개선이 진행 중인 국가로 평가되면서 '트릴레마 삼각형'에서 비균형적인 형태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