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공시지원금 '찔끔'…발품 팔 자신 없다면 "선택약정" [김은지의 텔레파시]
입력
수정
이통3사 연말 공시지원금 규모 20만~30만원선[편집자주] 정보기술(IT)의 바다는 역동적입니다. 감탄을 자아내는 신기술이 밀물처럼 밀려오지만 어렵고 생소한 개념이 넘실대는 통에 깊이 다가서기 어렵습니다. 독자들의 보다 즐거운 탐험을 위해 IT의 바다 한가운데서 매주 생생한 '텔레파시'를 전하겠습니다.
갤노트10 등 주요 스마트폰 '선택 약정'이 저렴
![사진=한경DB](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AA.18683954.1.jpg)
11일 업계에 따르면 이통3사는 하반기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노트10, 갤럭시A90과 LG전자 V50S 씽큐 등 주요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최저 16만~최대 35만원의 공시지원금을 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사진=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912/ZA.20869386.1.jpg)
공시지원금은 휴대전화 구입시 이통사가 단말기 출고가 일부를 지원해주는 제도. 대리점·판매점이 공시지원금의 최대 15% 내에서 책정하는 별도 추가지원금이 붙는다. 프리미엄(플래그십)·최신·외산폰일수록 공시지원금은 낮게 책정된다. 대표적으로 10월 말 출시된 애플 '아이폰11'에는 10만원 미만의 공시지원금이 실린다.
공시지원금을 택하지 않는 소비자는 선택약정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이통사와 12개월 또는 24개월 약정 계약을 맺고 매월 통신요금을 25% 할인받는 제도다.
따라서 선택약정을 택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통사를 거치지 않고 구매하는 자급제 단말기 수요가 증가하는 것도 선택약정 인기가 높아질 요인으로 꼽힌다.
한 업계 관계자는 "올해 연말에는 정부 눈칫밥에 이통사들 보조금 경쟁이 시들해졌다. 불법보조금을 얹어주는 '성지' 찾기가 어려워지면서 선택약정이 소비자 관심을 받고 있다"며 "아이폰을 필두로 자급제 수요도 늘었다. 자급제로 휴대전화를 구매하고 선택약정 할인을 받는 소비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은지 한경닷컴 기자 eunin11@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