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그룹, 글로벌화로 위기 돌파…10년내 해외자산비중 20% 목표"
입력
수정
지면A16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간담회

김태영 은행연합회장(사진)은 11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연합회 금융연수원 금융연구원 국제금융센터 신용정보원 합동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디지털·시너지 전략으로 위기를 넘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김 회장이 생존안으로 제시한 ‘10·20·30 전략’이란 ‘10년 내 해외 자산·이익 비중을 20% 이상으로 늘려 시가총액을 30조원 규모로 키우자’는 뜻이다. 지난해 말 기준 은행권의 총자산 중 해외 비중은 5.1%, 당기순이익에서 비중은 7.0% 수준이다. 김 회장은 “새로운 성장 기반을 확보해 주요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을 높여 나가야 한다”며 “인수합병(M&A)을 통한 적극적 현지화와 디지털 기반 해외 진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금융연구원은 내년 국내 은행들의 자기 자본이익률(ROE)이 7% 전후가 될 것이라는 예상을 내놨다. 올해 평균(8%)보다 1%포인트 낮은 수치다.
핀테크(금융기술) 업체와의 협력을 통한 ‘디지털 전환’도 과제로 제시했다. 김 회장은 “소비자 편익을 높이기 위해 시장 참여자 간 공정한 경쟁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며 “(당국은) 은행의 마이데이터 사업에 대한 주도적 참여를 허용해 은행이 축적한 데이터와 보안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금융지주 내 계열사들이 시너지를 극대화하려면 콜센터, 정보기술(IT) 등 업무를 통합하는 비용을 효율화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각 자회사가 보유한 소비자 정보 공유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파생결합증권(DLS) 손실 사태와 관련한 입장도 밝혔다. 김 회장은 “소비자 피해가 발생한 점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고 송구하다”며 “소비자로부터 신뢰받는 은행산업이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초저금리·고령화·저출산 등 뉴노멀 시대에 맞는 새로운 재산 증식 수단은 남겨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신탁업법을 제정하고 신탁 재산에 대한 포괄주의 정의 방식을 채택하는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소람 기자 ra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