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에 미친 영감"…문서에 고객결재 칸 만들어

구자경 회장이 이룬 업적

勞使 대신 勞經 - 소통과 화합
70여개 연구소 설립 - 기술 중시
민간기업 최초 IPO - 투명 경영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은 1950년 25세 나이에 락희화학공업주식회사에 입사했다. 부친인 구인회 LG 창업주가 별세하자 1970년 1월 그룹 회장직에 올랐다. 1995년 경영일선에서 은퇴할 때까지 45년간 LG를 비약적으로 성장시켰다.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앞줄 왼쪽 세 번째)이 2012년 4월 미수연(米壽宴·88세)에서 구본무 LG그룹 회장(앞줄 왼쪽 첫 번째·2018년 별세)과 구본준 LG그룹 고문(뒷줄 왼쪽 두 번째), 구광모 LG그룹 회장(세 번째),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네 번째) 등이 지켜보는 가운데 축하 떡을 자르고 있다. /LG 제공
구 명예회장이 25년간 회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LG그룹은 매출 260억원에서 30조원대로 약 1150배 성장했다. 임직원도 2만 명에서 10만 명으로 증가했다. 주력사업인 화학과 전자는 물론 부품소재 분야로도 영역을 확대했다. 이 과정에서 기술 중시, 고객 중심, 계열사 자율경영 같은 오늘날 LG그룹의 경영 철학이 뿌리내렸다는 평가를 받는다.구 명예회장은 ‘고객’이라는 개념이 희미했던 1980~1990년대 ‘고객을 위한 가치창조’라는 경영 철학을 제시했다. 자신의 경영혁신 사례를 담은 책 오직 이 길밖에 없다(1992년 발간)에서 스스로를 “고객에 미친 영감”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다.

구 명예회장은 사내 문서의 결재란에 ‘고객결재’칸을 자신의 결재란 위에 뒀다. 회의실마다 ‘고객의 자리’도 마련하도록 지시했다. 신제품 개발 전에 고객평가단 의견을 들어 한 항목에서라도 ‘노(no)’를 받으면 제품 개발에 들어가지 않았다.

노사화합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도 노력했다. 지금은 LG그룹 내 노사갈등이 거의 없지만, 1980년대만 해도 달랐다. 1989년 LG전자 노조원들이 지게차를 몰고 붉은 깃발을 흔들며 창원대로(경남 창원)를 질주하는 모습이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구 명예회장을 비롯한 LG 경영진은 대립적인 노사 문화를 바꾸기 위해 ‘노사(勞使)’라는 말 대신 ‘노경(勞經)’이라는 단어를 쓰면서 노조와의 소통에 나섰다. 이후 노사관계는 서서히 달라졌다. 회사가 에어컨 판매 부진에 시달리자 노조가 자발적으로 판매 운동을 벌였다.

구 명예회장은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 활동에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1976년 국내 민간기업으로는 최초로 금성사에 전사적 차원의 중앙연구소를 설립하도록 했다. 이후 회장 재임 기간에 70여 개의 연구소를 설립했다. 그는 “연구소를 잘 지어라. 그래야 우수한 과학자가 오게 된다”고 했다.

구 명예회장은 기업공개를 통해 민간 기업의 투명경영을 선도했다. 1970년 2월 그룹의 모체 기업인 락희화학이 국내 민간 기업 중 처음으로 기업공개(IPO)를 통해 증시에 상장했다. 곧이어 전자업계 최초로 금성사가 IPO를 하면서 주력 기업을 모두 공개한 한국 최초의 그룹이 됐다.구 명예회장은 1995년 2월 장남인 구본무 LG그룹 회장(2018년 별세)에게 경영권을 물려주고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정인설/고재연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