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가구추계] 서울 가구수 10년 뒤부터 줄어든다

2년전 추계와 비교해 정점 6년 미뤄져…가구분화 가속화·인구유출세 둔화 영향
전국 가구 수 정점은 3년 당겨진 2040년…서울 이외 시도 정점 당겨져
2047년 부산·대전 평균 가구원수 2명 미만

서울의 가구 수가 10년 뒤면 줄어들기 시작할 전망이다. 인구 감소 등에 따라 가구 수 감소 현상은 필연적이지만, 최근 서울에서 타지역으로 빠져나가는 속도가 둔화하고 가구 분화가 계속 이뤄지면서 서울 가구 수 정점은 종전 추계보다 6년 밀렸다.

서울을 제외하고 향후 30년 내 가구 수가 감소할 것이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대체로 정점이 당겨지는 모습이었다.
16일 통계청의 '장래가구특별추계(시도편): 2017∼2047년'에 따르면 전국 총가구 수는 2017년 1천957만1천가구에서 2040년 2천265만1천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할 전망이다. 매년 감소폭이 커지면서 2047년에는 전국 총가구가 2천230만3천가구로 떨어진다.

이는 2017년 장래가구 추계보다 가구 감소 시계가 3년 앞당겨진 셈이다.

당시 전국 가구 정점은 2043년(2천245만6천가구)이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만 가구 수가 정점에 이르는 시점이 뒤로 밀렸다.

앞선 추계에서는 당장 2022년 서울 가구가 379만7천가구로 정점을 찍고 이듬해부터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번 특별추계에서는 서울의 가구는 2017년 380만4천가구에서 2028년 391만2천가구까지 늘었다가 이듬해에야 약 3천가구(-0.02%)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는 '전세난민' 등의 신조어가 양산되는 가운데 인구유출세가 가팔랐지만, 최근 들어 주춤한 영향이 정점이 지연된 원인으로 꼽힌다.

김진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미혼가구가 늘어나는 등 기존 가구가 분화하는 속도가 빨라졌고 과거에는 서울에서 인구가 유출하는 속도가 빨랐는데 이 부분이 둔화하면서 영향을 줬다"며 "전국에서 서울만 정점이 미뤄졌다"고 설명했다.
가구 감소 현상이 관찰되는 다른 시도에서는 오히려 정점이 당겨지는 모습이 두드러졌다.

부산의 가구 정점은 2030년(138만5천가구), 대구와 광주는 2032년(98만8천가구·61만2천가구)이었다.

2년 전 추계에서 부산의 가구 정점은 2036년(142만4천가구), 대구와 광주는 2035년(98만6천가구·62만3천가구)이었다.

세종과 제주, 충남을 제외하고 모든 시도에서 향후 30년 내 가구가 감소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신생 도시인 세종의 경우 2017년 10만가구가 2047년에는 25만5천가구로 155.5% 증가하고, 제주는 2017년 23만7천가구에서 2047년 36만2천가구로 53.2% 늘어난다.

2017년과 2047년 가구 수만 놓고 보면 2047년의 가구 수가 2017년보다 더 적은 시도는 서울과 부산, 대구, 울산 등이다.

가구원 수는 2017년 평균 2.48명에서 계속 줄어들어 2047년이면 2.03명까지 떨어질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다. 특히 2047년이면 강원도의 평균 가구원 수가 1.86명에 그치며, 부산과 대전이 각각 1.99명, 1.94명일 것으로 추계됐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