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빗장 풀렸지만…" 中 배터리 시장서 긴장하는 한국
입력
수정
'화이트리스트'에 LG·SK 배터리 포함…내년 이후엔 보조금 폐지
中 주요 업체 경쟁력 우위 판단…'무한 경쟁' 심화할 듯
중국 정부가 최근 전기차 배터리 보조금 '화이트리스트'에 한국 업체들을 포함하고 내년 말 이후 자국 업체 보조금 제도를 폐지하기로 하면서 중국 시장에 걸렸던 빗장이 풀린 모양새다.그러나 한국 업체들은 오히려 긴장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한국 업체들을 향한 유화적 제스처가 아닌, 자국 주요업체의 경쟁력에 대한 중국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무한 경쟁'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발표한 '신재생에너지차 보급응용추천 목록'에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등 한국 기업 2곳의 배터리를 사용한 차량들이 포함됐다.목록에는 테슬라 모델3(BEV)가 포함됐는데 이 전기차에는 LG화학 등이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다.베이징벤츠의 E클래스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에는 SK이노베이션 서산 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이 들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화이트리스트라 불리는 이 목록에 오른 업체들은 중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 보호를 위해 외국 업체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해 왔으나, 이번 화이트리스트 배제로 2016년 말 이후 처음으로 한국 업체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차가 보조금을 받게 됐다.
현지 언론은 "최근 위축된 전기차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배터리 공급 부족을 해소하는 한편, 외국 기술의 국산화를 위한 조치"라고 해석했다.
표면적으로는 한국 업체가 보조금 혜택을 새로 받는 것이지만, 실제 업계의 반응은 다르다.전기차 시장은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비싸다는 점 때문에 그간 성장이 더디다가 최근 배터리 가격이 하락하면서 2024년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가격이 거의 같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CATL, BYD 등 주요 업체들은 정부의 보조금 독점 혜택을 업고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급성장했다.
중국 정부는 주요 업체들 덕에 현재 보조금 지급 대상인 전기차가 자체 경쟁력을 갖췄다고 판단하고 이제는 보조금 낭비를 줄이기 위해 경쟁력 없는 자국 업체들은 정리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국 업체들에도 보조금을 개방하면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국 업체들은 자연스럽게 밀려날 것이기 때문이다.
내년 말 이후 보조금을 폐지하면 이런 추세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업계 관계자는 "이번 화이트리스트 포함은 한국 업체들에 결코 혜택이 아니다"며 "자국 후진 업체들은 밀어내고 CATL 등 선두 업체들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패권을 더욱 확대하려는 목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이 한국 업체 인력들에 기존 연봉의 3∼4배를 부르며 영입하려는 것도 같은 맥락에 있다는 설명이다.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9월 기준) 상위 10곳 중 6곳이 중국 업체다.
중국이 점유율 88%를 독식할 정도로 배터리 시장은 중국에 편중돼 있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급속한 약진도 경쟁력 있는 업체 위주로 업계를 재편하는 정책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 3사도 합작법인 설립 등 투자를 계속 확대하며 대응 중이지만 중국, 유럽 등 경쟁국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라며 "무한 경쟁이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中 주요 업체 경쟁력 우위 판단…'무한 경쟁' 심화할 듯
중국 정부가 최근 전기차 배터리 보조금 '화이트리스트'에 한국 업체들을 포함하고 내년 말 이후 자국 업체 보조금 제도를 폐지하기로 하면서 중국 시장에 걸렸던 빗장이 풀린 모양새다.그러나 한국 업체들은 오히려 긴장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한국 업체들을 향한 유화적 제스처가 아닌, 자국 주요업체의 경쟁력에 대한 중국의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것이어서 '무한 경쟁'이 더욱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가 발표한 '신재생에너지차 보급응용추천 목록'에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 등 한국 기업 2곳의 배터리를 사용한 차량들이 포함됐다.목록에는 테슬라 모델3(BEV)가 포함됐는데 이 전기차에는 LG화학 등이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다.베이징벤츠의 E클래스 플러그인하이브리드자동차(PHEV)에는 SK이노베이션 서산 공장에서 생산된 배터리 셀이 들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화이트리스트라 불리는 이 목록에 오른 업체들은 중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중국 정부는 자국 기업 보호를 위해 외국 업체에 대한 보조금을 제한해 왔으나, 이번 화이트리스트 배제로 2016년 말 이후 처음으로 한국 업체 배터리가 장착된 전기차가 보조금을 받게 됐다.
현지 언론은 "최근 위축된 전기차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배터리 공급 부족을 해소하는 한편, 외국 기술의 국산화를 위한 조치"라고 해석했다.
표면적으로는 한국 업체가 보조금 혜택을 새로 받는 것이지만, 실제 업계의 반응은 다르다.전기차 시장은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비싸다는 점 때문에 그간 성장이 더디다가 최근 배터리 가격이 하락하면서 2024년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가격이 거의 같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CATL, BYD 등 주요 업체들은 정부의 보조금 독점 혜택을 업고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급성장했다.
중국 정부는 주요 업체들 덕에 현재 보조금 지급 대상인 전기차가 자체 경쟁력을 갖췄다고 판단하고 이제는 보조금 낭비를 줄이기 위해 경쟁력 없는 자국 업체들은 정리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외국 업체들에도 보조금을 개방하면 경쟁력이 떨어지는 중국 업체들은 자연스럽게 밀려날 것이기 때문이다.
내년 말 이후 보조금을 폐지하면 이런 추세는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업계 관계자는 "이번 화이트리스트 포함은 한국 업체들에 결코 혜택이 아니다"며 "자국 후진 업체들은 밀어내고 CATL 등 선두 업체들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패권을 더욱 확대하려는 목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이 한국 업체 인력들에 기존 연봉의 3∼4배를 부르며 영입하려는 것도 같은 맥락에 있다는 설명이다.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9월 기준) 상위 10곳 중 6곳이 중국 업체다.
중국이 점유율 88%를 독식할 정도로 배터리 시장은 중국에 편중돼 있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급속한 약진도 경쟁력 있는 업체 위주로 업계를 재편하는 정책의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다른 업계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 3사도 합작법인 설립 등 투자를 계속 확대하며 대응 중이지만 중국, 유럽 등 경쟁국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준"이라며 "무한 경쟁이 나날이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