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재발견] 무역선·사신선 머문 국제항…한·중·일 연결한 가야의 해양 무역
입력
수정
지면A26
(13) '해양의 나라' 가야연맹

가야는 서기 42년부터 562년까지 존속했다. 전기에는 백제, 신라와 자웅을 겨뤘다. 가장 먼저 일본 열도로 진출했고 무역으로 번성한 나라였다. 하지만 중앙집권적 고대국가를 이루는 데 실패해 일찍 멸망했다. ‘삼국시대’가 아니라 ‘사국(四國)시대’라는 용어를 만들지 못한 가야의 성공과 실패는 해양과도 깊은 연관이 있었다.아유타국 허황옥 설화

그런데 중국은 기원전 3세기에도 그 지역들과 교류가 활발했다. 그렇다면 허황옥 집단이 인도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왔을 가능성이 열려 있다. 하지만 시기와 지역, 국제적인 상황, 유물, 유적 등 해결할 과제는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허황옥이 해양력을 갖추고 가야 지역을 목표로 진출한 집단의 대표라는 점은 분명하다.中·日과 활발히 교류한 ‘삼한’
이 지역에는 기원전 1세기 초부터 한반도 서북부의 세형동검 등 청동기 및 철기문화와 토기문화가 유·이민과 함께 들어왔다. 이 무렵 만들어진 창원의 다호리 고분에서는 청동검과 중국제 거울, 각종 철제품, 오수전과 토기들, 붓, 화살 등이 출토됐다. 근처 사천의 늑도 유적지에서는 철기류와 토기들이 나왔으며 일본 야요이 중기의 토기도 출토됐다. 1세기 유적인 김해 양동리 일대에서도 철기 유적이 나타났다. 실제로 《삼국지》 변진(弁辰 또는 卞辰)조에는 나라에서 철을 생산하니 한(韓) 예(濊) 왜(倭)가 와서 취하며, 매매할 때는 철을 사용한다는 기록이 있다.
또 연나라 명도전(원조선의 화폐라는 주장이 나온다)과 그 후의 오수전, 화천 같은 화폐가 서해 북부 해안지대를 거쳐 한반도 남부 해안을 지나 제주도, 일본 열도까지 발견된다. 일종의 화폐 유통권이 성립된 상황을 반영한다. 삼한 소국의 일부는 바다를 건너 중국 지역은 물론 일본 열도와 무역을 하고 식민지도 건설했다. 일본 열도에는 기원을 전후한 시대에 100여 개의 소국이 있었고, 3세기 전반 무렵에는 30여 나라가 있었으며, 야마대국이 제일 컸다. 당연히 이 소국들의 주체는 한륙도에서 건너간 개척민이었다.
도시국가 연맹체의 한계
하지만 가야는 하항(河港) 도시국가들과 해항(海港) 도시국가들의 연맹체였으므로 몇 가지 한계가 있었다. 내부적으로 통일이 불완전했고, 소국 간에도 물길의 장악과 무역권을 놓고 불필요한 갈등을 벌였다. 김수로왕은 바다를 건너온 석탈해가 자신의 자리를 빼앗으려 하자 주사(舟師) 500척을 동원해 해전을 벌인 끝에 승리했다. 또 3세기 초 남해 중부의 해양소국들이 가야를 공격한 ‘포상팔국(浦上八國)의 난’이 발생했을 때 신라의 도움으로 극복했다. 마치 에게해에서 해양폴리스 간에 벌어진 갈등과 비슷하다.
그런데 4세기에 들어서면서 동아시아 질서에 더 큰 변화가 생겼다. 고구려가 남진을 시작하고, 일본 열도의 가치에 주목한 백제는 전라도를 장악한 뒤 남해안의 해상권과 무역권을 놓고 경쟁체제에 들어갔다. 동쪽에서는 신라가 남부 해양 질서에 도전장을 내기 시작했다. 또한 왜 소국들은 가야를 피해 백제 남안과 서안을 거쳐 중국 해역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가야는 왜를 필요로 하는 백제와 우호관계를 맺으면서 무역권을 넓게 확장했다.
이렇게 역사의 전환기에 직면하면서 가야는 초기의 ‘디아스포라(고국을 떠나는 사람·집단의 이동)’ 단계를 넘어 일본 열도에 조직적으로 진출했다. 문화 경제를 넘어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 때문에 일본 열도에 건국신화와 지명 등을 비롯해 가야와 연관된 흔적을 많이 남겼다(윤명철, 《한국해양사》). 만약 강력한 정치세력이 무력을 이용해서라도 가야연맹의 통일을 이룩했다면 더 강력한 고대국가로 발돋움했을지 모른다. 물론 그 결과가 가야나 한민족에게 긍정적으로 나타난다고 확신할 순 없다. 그래도 여전히 아쉬움은 남는다.400년, 백제를 항복시킨 광개토태왕은 신라의 구원 요청을 명분으로 낙동강 하류까지 진격해 임나가라(任那加羅)를 급습했다. 이 여파로 전기 가야연맹은 궤멸되고, 일부는 북쪽의 고령 대가야를 중심으로 계속 발전했다. 그리고 일부는 일본 열도로 진출해 대한해협의 양안을 지배하는 해양제국으로 발걸음을 내딛기 시작했다.
윤명철 < 동국대 명예교수·한국해양정책학회 부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