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식품과학기술 5년내 미국 85%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스마트 기술 중점 개발…스마트팜·가축전염병 특수대학원 운영
정부가 농림식품과학기술의 경쟁력을 2024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인 미국의 85% 수준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림식품과학기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제3차 농림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을 23일 발표했다.

이 계획은 '농림식품과학기술육성법'에 따라 5년마다 농림식품과학기술의 중장기 정책 목표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자 수립하게 돼 있다.

농식품부는 '개방형 혁신을 통한 지속가능한 미래 농림식품산업 육성'을 비전으로 삼았다. 또 ▲ 무인 자동화 3세대 스마트팜과 수급 예측 시스템 고도화 등 스마트 농업 기술 중점 개발 ▲ 유전자 가위 기술을 활용한 작물 알레르기 제거 등 농생명 바이오 산업 육성 ▲ 메디푸드·식물성 대체 단백질·포스트바이오틱스 등 차세대 농식품 개발 ▲ 농림용 인공위성과 신종질병 발생 예측 등 재난 대응 기술 개발 ▲ 맞춤형 치유농업과 건강한 먹거리 개발 등 국민 삶의 질에 기여 등 5가지 목표를 제시했다.

농식품부는 우선 농식품 연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연구자 간 공유를 지원하는 연구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한다.

내년에는 스마트팜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농가와 연구자의 생육·환경·제어 데이터를 한 곳에 모은다. 또 화학·기계·전자 등 다른 분야의 기술을 접목한 개방형 연구를 확대해 융복합 혁신 기술을 확보한다.

그동안 국가 중심으로 추진하던 농림식품 연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연구 수행 시 민간의 참여를 늘린다.

민간 수요자가 직접 투자하는 연구개발에는 정부 자금 지원을 확대한다. 농식품부는 "개발 기술이 실용화·사업화까지 원활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시제품 개발·신뢰성 검증 등 기술 사업화 연구개발 사업을 확대하겠다"며 "농림식품 분야에 특화한 기술 보증제도를 신설하는 등 금융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농식품부는 이 외에도 AI·빅데이터·로봇·바이오 등 첨단 기술을 농산업과 융복합해 교육하는 특수 대학원을 운영한다.

내년에는 우선 스마트팜과 가축 전염병 분야 2개 특수대학원을 운영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