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크리스마스 선물' D데이 北 예의주시…'도발 자제' 관측도
입력
수정
軍 대북 감시·경계태세 강화 등 北 동향에 촉각 세워
訪中서 北에 우회로 '도발 자제' 메시지…'성탄절은 지나갈 것' 관측도 나와청와대는 북한이 예고했던 '크리스마스 선물'의 D데이인 25일 북한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비핵화 대화의 진전 없이 북미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북한의 도발까지 이어진다면 비핵화 시계가 거꾸로 갈 수 있는 만큼 청와대도 긴장감 속에 북한의 움직임에 예민할 수밖에 상황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만 말할 뿐 더 이상의 언급은 삼갔다.
실제로 한미 군 당국은 지상의 탄도탄조기경보레이더(그린파인)를 가동하고, 해상에서는 탄도미사일을 탐지할 수 있는 SPY-1D 레이더를 탑재한 이지스 구축함을 출동시키는 등 대북 감시·경계태세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청와대로서는 실제로 북한이 무력시위를 감행할 경우 비핵화 대화는 물론 문재인 대통령이 공을 들여온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판'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이 우려스럽다.
전쟁위협을 제거하고 한반도 평화를 앞당겨 현 상태까지 비핵화 대화를 끌어온 상황에서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는다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올 가능성이 크다.
비핵화 대화의 교착 상태를 넘어서 북한이 도발을 결단하고 미국이 이에 힘을 과시하는 형태로 대응한다면 문 대통령의 '촉진자역'은 더욱 험난해지게 된다.문 대통령이 24일에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 청두(成都)를 방문하기에 앞서 빠듯한 스케줄을 쪼개 하루 전 베이징에 들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한 것도 북미 간 긴장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었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회담에서 북미 간 대화 모멘텀을 유지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한중일 정상회의에서도 3국은 한반도 평화가 공동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에 노력하기로 했다.이는 D데이를 앞둔 북한에 우회적으로 도발을 자제하라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동시에,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움직임이라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북한의 '크리스마스 도발' 확률은 낮아진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북한의 뒷배를 자처하는 중국까지 나서서 도발을 자제하라고 촉구한 만큼 한 번에 동북아 정세를 격랑으로 몰아넣을 부담을 감수하고 무력시위를 감행하기란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24일(현지시간) 기자들을 만나 북한의 '성탄선물'과 관련한 질문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볼 것"이라면서도 "좋은 선물일 수도 있다"고 말해 크리스마스가 조용히 지나가리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문 대통령과 청와대에서는 섣불리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기류가 읽힌다.
'선물'의 대상인 미국의 현지시간으로 크리스마스가 지나가기 전까지는 어떤 변수가 발생할지 알 수 없는 탓이다.결국 한국시간으로 26일 오후까지 북한의 도발이 없다면 이를 토대로 북한의 향후 움직임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정부의 대응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訪中서 北에 우회로 '도발 자제' 메시지…'성탄절은 지나갈 것' 관측도 나와청와대는 북한이 예고했던 '크리스마스 선물'의 D데이인 25일 북한의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비핵화 대화의 진전 없이 북미 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북한의 도발까지 이어진다면 비핵화 시계가 거꾸로 갈 수 있는 만큼 청와대도 긴장감 속에 북한의 움직임에 예민할 수밖에 상황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라고만 말할 뿐 더 이상의 언급은 삼갔다.
실제로 한미 군 당국은 지상의 탄도탄조기경보레이더(그린파인)를 가동하고, 해상에서는 탄도미사일을 탐지할 수 있는 SPY-1D 레이더를 탑재한 이지스 구축함을 출동시키는 등 대북 감시·경계태세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청와대로서는 실제로 북한이 무력시위를 감행할 경우 비핵화 대화는 물론 문재인 대통령이 공을 들여온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판'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이 우려스럽다.
전쟁위협을 제거하고 한반도 평화를 앞당겨 현 상태까지 비핵화 대화를 끌어온 상황에서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는다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인내심에도 한계가 올 가능성이 크다.
비핵화 대화의 교착 상태를 넘어서 북한이 도발을 결단하고 미국이 이에 힘을 과시하는 형태로 대응한다면 문 대통령의 '촉진자역'은 더욱 험난해지게 된다.문 대통령이 24일에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중국 청두(成都)를 방문하기에 앞서 빠듯한 스케줄을 쪼개 하루 전 베이징에 들러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회담한 것도 북미 간 긴장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었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회담에서 북미 간 대화 모멘텀을 유지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뤘다.
한중일 정상회의에서도 3국은 한반도 평화가 공동의 이익에 부합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에 노력하기로 했다.이는 D데이를 앞둔 북한에 우회적으로 도발을 자제하라는 메시지를 발신하는 동시에,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한 움직임이라는 게 대체적인 해석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의 방중을 계기로 북한의 '크리스마스 도발' 확률은 낮아진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북한의 뒷배를 자처하는 중국까지 나서서 도발을 자제하라고 촉구한 만큼 한 번에 동북아 정세를 격랑으로 몰아넣을 부담을 감수하고 무력시위를 감행하기란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24일(현지시간) 기자들을 만나 북한의 '성탄선물'과 관련한 질문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지켜볼 것"이라면서도 "좋은 선물일 수도 있다"고 말해 크리스마스가 조용히 지나가리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문 대통령과 청와대에서는 섣불리 긴장을 늦춰서는 안 된다는 기류가 읽힌다.
'선물'의 대상인 미국의 현지시간으로 크리스마스가 지나가기 전까지는 어떤 변수가 발생할지 알 수 없는 탓이다.결국 한국시간으로 26일 오후까지 북한의 도발이 없다면 이를 토대로 북한의 향후 움직임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정부의 대응도 구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