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소비·투자 증가전환했지만…"제조업 회복 예상보다 지연"
입력
수정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가 동반 증가세로 전환하고, 앞으로 경기상황을 예측하는 경기 선행지표가 석달 연속 상승하면서 경기 반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제조업 생산은 부진이 이어지고 있고, 경기동행지수는 2개월째 하락해 전반적인 회복 흐름이 미약하다는 평가가 나온다.경제전문가들은 4분기 지표 추이를 볼 때 올해 2% 경제성장률 달성은 회의적이라고 전망했다.
2%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4분기에 0.93% 이상 성장해야 한다.
◇ 생산·소비·투자 증가 전환…경기선행지표 3개월 연속↑30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는 동반 증가로 전환했다.
생산(전산업생산 10월 0%→11월 0.4%), 소비(소매판매 10월-0.4%→3.0%), 설비투자(10월 -0.7%→1.1%)가 일제히 동반 상승했다.
특히 설비투자는 전년 같은 달보다 보합세를 나타내면서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마이너스 행진을 마감하는 양상을 보였다.소매판매도 내구재·준내구재·비내구재 등이 모두 늘며 지난 8월(3.9%) 이후 최대폭 늘었다.
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에 704개의 참여 기업 중 100개 유통기업 기준 매출액이 12.5% 증가한 데 따른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 생산이 전월보다 큰 폭(1.4%)으로 증가하면서 늘었지만, 광공업 생산은 0.5% 감소해 제조업 부진을 드러냈다.반도체 생산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등으로 9.3% 늘었지만, 수출 급감으로 인한 대형승용차와 자동차부품 생산 감소로 자동차 생산이 7.5%, 금속가공은 6.5% 각각 줄어든 데 따른 영향이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8%로 올해 3월(71.5%) 이후 가장 낮았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년 전보다 0.9% 떨어져 지난해 8월 이후 1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3으로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두 달째 마이너스다.
반면 앞으로의 경기상황을 예측하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보다 0.4포인트 올랐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석 달 연속 상승한 것은 2017년 4∼6월 이후 29개월 만에 처음이다.
상승폭은 93개월 만에 최대치다.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11월 산업활동동향과 관련, "최근 실물 지표의 흐름은 내년 경기 반등 기대를 뒷받침하는 모습으로, 특히 그동안 크게 부진했던 수출도 12월에 마이너스(―) 폭을 크게 줄여나갈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건설기성이 마이너스를 보이고,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하락하는 등 전반적 회복 흐름은 미약하지만,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3개월째 상승해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해 긍정적 신호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 경제전문가 "제조업 반등 늦어져…올해 2% 성장률 달성 회의적"경제전문가들은 제조업 경기 반등이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는 점에 우려하면서 올해 2% 성장률 달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전망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제조업이 수출급감으로 계속 안 좋은 모습을 보인다"면서 "투자는 개선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지표상 올해 경제성장률 2%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움직임을 보면 내려가는 속도는 가파른데 올라가는 속도는 더디다"면서 "경기가 바닥에서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에 빠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제조업이 살아나는 게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다"면서 "민간 체감 경기는 확실히 안 좋은 것으로 보이며, 경기 저점은 올해 4분기나 내년 1분기 근방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아직 경기 저점이라 보기는 좀 이른 것 같다"면서 "경기가 작년 5월 이후로 낮춰진 다음에 어떤 달은 플러스 됐다가 마이너스가 되면서 왔다 갔다 하고 있지만 진폭이 크지는 않다"고 말했다.그는 올해 2% 성장률 달성에 관해서는 "회의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하지만 제조업 생산은 부진이 이어지고 있고, 경기동행지수는 2개월째 하락해 전반적인 회복 흐름이 미약하다는 평가가 나온다.경제전문가들은 4분기 지표 추이를 볼 때 올해 2% 경제성장률 달성은 회의적이라고 전망했다.
2% 성장률을 달성하려면 4분기에 0.93% 이상 성장해야 한다.
◇ 생산·소비·투자 증가 전환…경기선행지표 3개월 연속↑30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달 생산과 소비, 투자는 동반 증가로 전환했다.
생산(전산업생산 10월 0%→11월 0.4%), 소비(소매판매 10월-0.4%→3.0%), 설비투자(10월 -0.7%→1.1%)가 일제히 동반 상승했다.
특히 설비투자는 전년 같은 달보다 보합세를 나타내면서 지난해 11월부터 시작된 마이너스 행진을 마감하는 양상을 보였다.소매판매도 내구재·준내구재·비내구재 등이 모두 늘며 지난 8월(3.9%) 이후 최대폭 늘었다.
올해 코리아세일페스타 기간에 704개의 참여 기업 중 100개 유통기업 기준 매출액이 12.5% 증가한 데 따른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 생산이 전월보다 큰 폭(1.4%)으로 증가하면서 늘었지만, 광공업 생산은 0.5% 감소해 제조업 부진을 드러냈다.반도체 생산은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등으로 9.3% 늘었지만, 수출 급감으로 인한 대형승용차와 자동차부품 생산 감소로 자동차 생산이 7.5%, 금속가공은 6.5% 각각 줄어든 데 따른 영향이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8%로 올해 3월(71.5%) 이후 가장 낮았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년 전보다 0.9% 떨어져 지난해 8월 이후 1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3으로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두 달째 마이너스다.
반면 앞으로의 경기상황을 예측하는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보다 0.4포인트 올랐다.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석 달 연속 상승한 것은 2017년 4∼6월 이후 29개월 만에 처음이다.
상승폭은 93개월 만에 최대치다.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송년 기자간담회에서 11월 산업활동동향과 관련, "최근 실물 지표의 흐름은 내년 경기 반등 기대를 뒷받침하는 모습으로, 특히 그동안 크게 부진했던 수출도 12월에 마이너스(―) 폭을 크게 줄여나갈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건설기성이 마이너스를 보이고,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하락하는 등 전반적 회복 흐름은 미약하지만,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3개월째 상승해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해 긍정적 신호를 보여줬다"고 말했다.
◇ 경제전문가 "제조업 반등 늦어져…올해 2% 성장률 달성 회의적"경제전문가들은 제조업 경기 반등이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는 점에 우려하면서 올해 2% 성장률 달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으로 전망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제조업이 수출급감으로 계속 안 좋은 모습을 보인다"면서 "투자는 개선되고 있지만, 전반적인 지표상 올해 경제성장률 2% 달성은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의 움직임을 보면 내려가는 속도는 가파른데 올라가는 속도는 더디다"면서 "경기가 바닥에서 반등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더블딥에 빠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김성태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제조업이 살아나는 게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다"면서 "민간 체감 경기는 확실히 안 좋은 것으로 보이며, 경기 저점은 올해 4분기나 내년 1분기 근방 아닐까 싶다"고 말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아직 경기 저점이라 보기는 좀 이른 것 같다"면서 "경기가 작년 5월 이후로 낮춰진 다음에 어떤 달은 플러스 됐다가 마이너스가 되면서 왔다 갔다 하고 있지만 진폭이 크지는 않다"고 말했다.그는 올해 2% 성장률 달성에 관해서는 "회의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